[일본문학, 일본, 근대문학]일본의 근대문학, 일본의 사실주의문학, 일본의 아동문학, 일본의 고전소설, 일본의 설화, 일본의 한자, 일본의 형용동사, 일본의 관용구, 일본의 상징어, 일본의 자국어능력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문학, 일본, 근대문학]일본의 근대문학, 일본의 사실주의문학, 일본의 아동문학, 일본의 고전소설, 일본의 설화, 일본의 한자, 일본의 형용동사, 일본의 관용구, 일본의 상징어, 일본의 자국어능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일본의 근대문학
1. 메이지 계몽기
2. 낭만주의
3. 자연주의
4. 반자연주의
5. 예술파와 프롤레타리아 문학

Ⅱ. 일본의 사실주의문학

Ⅲ. 일본의 아동문학
1. 일본아동문학의 효시 이와야사자나미『こがね丸』와 박문관
2. 「소년문학」총서 제1편 『こがね丸』
3. 소년문학, 어가신라는 용어
4. 일본석신
5. 소년세계

Ⅳ. 일본의 고전소설

Ⅴ. 일본의 설화
1. 설화문학의 의미
2. 시대적 배경
3. 출전

Ⅵ. 일본의 한자
1. 한자정리안
2. 자체정리안
3. 상용한자표
4. 한자자체정리안
5. 표준한자표
6. 당용한자자체표

Ⅶ. 일본의 형용동사
1. 한자말 + だ
2. 접두어 + 형용동사
3. 한자말 + 的 + だ

Ⅷ. 일본의 관용구
1. 관용구의 정의와 특징
1) 관용구의 정의
2) 관용구의 특징
2. 언(ことわざ)의 정의와 특징
1) 언(ことわざ)의 정의
2) 언(ことわざ)의 특징

Ⅸ. 일본의 상징어
1. 개별 상징어 사전 편찬 실태
2. 상징어 대조(비교) 사전 편찬 실태

Ⅹ. 일본의 자국어능력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제시된 것들이 있을 뿐이다.
상징어에 대한 그 동안의 무성한 논의들에 비하면 한국어 상징어사전 편찬에 매우 소홀해 왔다고 할 수 있다.
현재 김홍범·박동근님의 <한국어 상징어 사전>이 발간을 기다리고 있고, 1977년도부터 자료를 모아온 박선자의 <우리 시늉말 모이(가칭)>는 초교가 끝난 상태이다.
일본어 개별 상징어 사전으로는, 1,600여 낱말을 싣고 있는 <日本語敎育事典 資料II>의 擬聲語擬態語一覽이 있고, 天沼寧의「擬音語擬態語典」(1974, 東京堂出版), 野鶴子의「擬音語擬態語典」(1978, 角川書店), 白石大二의「擬語擬態語慣用句典」(1983, 東京堂出版), 水庭進 編「現代俳句擬音擬態語典」(1993, 博友社), 飛田良文, 田秀子의「現代擬音語擬態語用法典」(2002, 東京堂出版), 山口仲美의「暮らしのことば擬音擬態語典」(2003, 講談社), 阿刀田稔子, 星野和子의「擬音語擬態語使い方典」(2003, 創拓社出版), 五味太「日本語擬態語典」(2004, 講談社) 들이 있다.(편찬 연대순)
이같이 일본은 한국어보다 상징어 어휘 수가 적고 비교적 단순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꾸준하고 체계적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해 왔고, 아울러 사전 편찬에 있어서도 어휘 사전과 용법 사전 및 학습사전 등으로 현재까지 꾸준히 간행해 오고 있다.
2. 상징어 대조(비교) 사전 편찬 실태
대조언어학 쪽에 일찍 눈을 돌려 일본어의 언어적 특징을 드러내어 알리고자 하는 일본어학계의 노력은 상징어 대조 사전의 편찬에도 예외일 수 없다.
일본어와 중국어의 상징어를 다룬, 日本語と中語の照究「日本語中語表現用例集 擬擬態語」(1978, 日本語と中語の照究), 郭華江의「日中擬語擬態語典」(1994, 東方書店)과, 일본어와 영어의 상징어를 다룬, 尾野秀一「日英 擬音擬態語活用典」(1984, 北星堂書店), 藤田孝「和英 擬音語擬態語典」(1984, 金星堂), チャン, A(アンドレ)「<和英> 擬音語擬態語 分類用法典」(1990, 大修館書店), 五味太「英語人と日本人のための日本語擬態語典」(1989, ジャパンタイムズ), ピエ ブックス「ぎおんごぎたいごじしょ A dictionaly with illustrations photographs and stories inspired by 969 words 」(2004, ピエ ブックス) 들이 있는데, 이들 가운데는 활용상의 용법을 다룬 것, 그림과 이야기를 곁들인 것도 있어, 그들은 자국어의 특징적인 것을 최대한 살리려고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전으로 편찬되지는 않았으나 허경희(1989)는,「擬音語擬態語辭典」(天沼寧, 東京堂出版)에서 일본어의 음상징어 1,566개 낱말을,「韓日辭典」(安田吉實, 孫洛範 編著, 民衆書林)에서 한국어 음상징어 2,348개 낱말을 찾아 한·일 상징어 비교 자료로서 연구한 것으로 한·일 상징어 사전에 충실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Ⅹ. 일본의 자국어능력
일본에서는 국회의원 입법으로 \"문화 예술 진흥 기본 법안\"이 성립되었다. 이 법안은 자민당, 공명당, 보수당, 민주당의 4당 공동 발의로 성립되었는데, 일본의 예술, 문화에 대한 지원을 촉진하기 위해 국가의 책무를 내걸고, 관련 법 제도와 재정 지원 등의 정비를 촉구하고 있다. 또한, 지방 자치 단체에도 국가의 책무와 연계한 시책의 추진을 요구하고, 문부과학대신이 새로 설치된 「문화 심의회」의 의견을 들어 문화 예술 진흥책이 종합적으로 제시된 「기본 방침」을 책정하도록 정하고 있다. 특히, 이 법안의 제18조(국어에 대한 이해)에 따르면, \'국가는 국어가 문화 예술의 기반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 비추어, 국어에 대해서 올바른 이해를 깊게 하기 위해, 국어 교육의 충실, 국어에 관한 조사 연구 및 지식의 보급과 기타 필요한 시책을 강구하도록 한다\'고 되어 있어, 이 법안의 성립과 더불어 일본의 국어 교육에 대한 범국가적 지원 체제가 마련되었기 때문에 일본의 국어 교육에서 2001년 11월 30일은 매우 의미 있는 날이라고 볼 수 있다.
일본의 국어와 관련된 정책은 1902년에 설치된 「국어 조사 위원회」, 1921년에 설치된 「임시 국어 조사회」를 거쳐, 1934년부터는 「국어심의회」의 심의에 입각하여 시행되어 왔고, 2001년부터는 「국어 심의회」가 폐지되면서 새로 설치된 「문화심의회(국어분과회)」에서 국어 문제를 심의하고 있다. 1934년에 설치된 국어심의회는 종래 주로 표기 문제를 거론하여 일반 국민의 사회생활에 기준이 되는 「상용한자표」(1981년), 「현대 가나 표기법」(1986년), 「외래어 표기」(1991년) 등의 답신을 내어, 이것이 내각 고시내각 훈령으로서 국어 시책에 반영되고 있다. 또한, 오늘날 과제로 되어 있는 경어를 중심으로 한 언어 사용 문제와 워드 프로세서 등의 보급에 따른 상용한자 이외의 한자의 글꼴 문제, 국제화 시대의 일본어의 위상과 외래어외국어 증가 문제, 일본인의 이름의 로마자 표기 문제에 대해서 2000년 12월에 「현대 사회에서의 경어 표현」, 「상용한자 외 한자의 자체 0표」 및 「국제 사회에 대응하는 일본어의 위상」을 답신하여 이것이 국어 정책에 반영되고 있다.
한편, 국어 교육에 관한 정책을 입안하고 시행하는 기관인 문화청 문화부 국어과에서는 매년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국어에 관한 여론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일반에게 공개하고 다. \"국어에 관한 여론 조사(주제 : 가정과 직장에서의 언어 사용)\"에는 언어의 혼란과 사용법, 속담과 외래어 인식에 관한 내용, 로마자 표기에 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어, 일반 국민의 국어에 관한 조사 당시의 의식과 시대의 흐름에 따른 의식의 변화를 알 수 있다.
참고문헌
대죽성미, 일본의 아동문학교육 실태와 발전과제, 한국문학교육학회, 2003
신언철, 한국 현대소설에 투영된 사실주의 문학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1982
이광수, 일본어 문제 형용동사에 대하여,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06
자안선방, 근대일본의 한자와 자국어인식,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07
한기련, 일본근대문학연구 : 한국적 한의 시각에서, 중앙대학교일본연구소. 2010
홍성무, 고전과 현대판 일본설화의 비교연구, 부경대학교, 2011

추천자료

  • 가격9,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3.08.0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91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