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고지(원고용지) 문장부호, 교정부호, 원고지(원고용지)와 논술,글짓기, 원고지(원고용지)와 독서감상문, 원고지(원고용지) 글 구성방법, 원고지(원고용지) 사용방법, 원고지(원고용지)와 원고지의 사용방법 교육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원고지(원고용지) 문장부호, 교정부호, 원고지(원고용지)와 논술,글짓기, 원고지(원고용지)와 독서감상문, 원고지(원고용지) 글 구성방법, 원고지(원고용지) 사용방법, 원고지(원고용지)와 원고지의 사용방법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원고지(원고용지)의 문장부호
1. 마침표
1) 온점(.)
2) 물음표(?)
3) 느낌표(!)
2. 쉼표
1) 반점(,)
2) 가운뎃점(․)
3) 쌍점( : )
3. 따옴표
1) 큰따옴표(???? ????)
2) 작은따옴표(???? ????)
4. 안드러냄표
1) 숨김표(××, ᄋ ᄋ )
2) 줄임표(……)

Ⅲ. 원고지(원고용지)의 교정부호

Ⅳ. 원고지(원고용지)와 논술
1. 논술의 뜻
2. 지도 목표
3. 지도 방법
4. 지도 내용

Ⅴ. 원고지(원고용지)와 글짓기
1. 글짓기 공부는 왜 하는가
2. 어떤 글이 좋은 글인가
3.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가
1) 글감 잡기
2) 쓰는 요령
3) 글 쓰는 차례
4) 글감에 대한 조사와 관찰

Ⅵ. 원고지(원고용지)와 독서감상문
1. 독서감상문을 쓰기 전에 알아야 할 일
2. 독서감상문에 쓸 내용
3. 독서감상문은 어떻게 쓰는가
4. 글의 종류에 따른 독서감상문 쓰기

Ⅶ. 원고지(원고용지)의 글 구성방법
1. 구성의 개념
2. 구성의 원리
1) 단계성
2) 통일성
3) 응집성
3. 구성 방법
1) 시간적 구성
2) 공간적 구성
3) 추보식 구성
4) 물리적 구성
5) 단계식 구성
6) 포괄식 구성
7) 열거적 구성
8) 인과적 구성
9) 점층 점강식
10) 유의점

Ⅷ. 원고지(원고용지)의 사용방법
1. 글을 꼭 원고지에 쓰는 습관을 가진다
2. 원고지 쓸 때 주의해야 할 점

Ⅸ. 원고지(원고용지)와 원고지(원고용지) 사용방법 교육

Ⅹ.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음에는 뒤부터 세 칸을 비운다.)
⑥ 이름은 다섯째 자리 오른쪽에 쓴다.(이름과 성은 붙여쓰는데 꼭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는 띄어 쓴다. 그리고 이름 다음에는 두 칸을 비워 둔다.)
⑦글을 시작될 때나 문단이 시작될 때는 그 행의 첫 칸은 반드시 비우고 둘째 칸부터 쓴다.)
⑧ 큰따옴표나 작은따옴표도 둘째 칸에서부터 쓴다.
⑨ 행의 맨 끝에 비울 칸이 없을 때에는 끝에 띄는 표(∨)만 하고, 다음 줄의 첫 칸에서부터 이어 쓴다.
아라비아 숫자는 한 칸에 두 자씩 쓴다.
Ⅸ. 원고지(원고용지)와 원고지(원고용지) 사용방법 교육
제 7차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창의적인 국어 사용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이다.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은 국어과의 성격을 ‘한국인의 삶이 배어 있는 국어를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 정보 사회에서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국어 생활을 영위하고, 미래 지향적인 민족의식과 건전한 국민 정서를 함양하며, 국어 발전과 국어 문화 창달에 이바지하려는 뜻을 세우게 하는 교과’로 규정하였다. 성격에 제시된 교육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교육 내용의 범주를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국어 지식, 문학의 여섯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 내용 체계 중에서 원고지 사용법은 쓰기와 국어 지식 영역에 관련이 깊다. 특히 쓰기 영역의 내용체계 중에서 쓰기의 원리의 ‘표현’ ‘고쳐쓰기’와 관계가 깊다. 국어 지식 영역에서는 ‘국어의 규범과 적용’에 관련된다.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쓰기’를 보다 잘 수행하는 데 필요한 쓰기의 필요성, 목적, 방법, 상황 등 ‘본질’에 관한 학습, 실제의 쓰기 수행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원리’에 관한 학습, 바람직한 글쓰기의 ‘태도’에 관한 학습이 구체적인 언어자료의 산출과 통합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국어지식 영역의 ‘국어 규범’ 범주의 교육 내용은 맞춤법 및 표준 발음 등과 관련된 각종 규범에 대한 지식 습득과 그 지식을 실제의 국어 생활에 활용하여 보다 향상된 국어 생활을 영위하는 데 도움을 주어야 한다는 점을 중시하고 있다. 쓰기의 실제 영역을 살펴보면 정보를 전달하는 글쓰기, 정서표현의 글쓰기, 친교의 글쓰기로 제시되어 있다. 학습자들이 글쓰기의 실제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밝히고 독자들에게 문장의 의미를 제대로 전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맞춤법과 띄어쓰기의 원리를 제대로 지켜 글을 써야 한다. 이를 위해 쓰기의 원리와 국어지식에 관해 효율적으로 지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들에게 원고지에 글을 쓰도록 하여 맞춤법과 띄어쓰기 다양한 원고지 사용법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주어야 한다. 원고지가 아닌 지면에 글을 쓸 때에도 글쓴이의 의도에 맞는 표현이 될 때 학습자들은 마음껏 자신의 생각을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글쓰기에 대해 재미를 느끼고 표현할 수 있도록 원고지 사용법을 시청각자료를 통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료를 제작하게 된 것이다.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자신감 있게 표현할 때 보다 창의적인 국어사용자가 될 수 있을 것이다.
Ⅹ. 결론
다변화하는 세계적 흐름의 현실 속에서 정보화 사회가 요구하는 인간의 능력은, 급변하는 새로운 상황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스스로 찾고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인 인간의 능력이다. 따라서 학생 스스로가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하여 자신이 필요로 하는 자료를 찾아 적절히 이용하고, 창의적이며 자율적인 자기 학습 능력의 신장에 도움이 되도록 지도하는 것은 오늘날 학교 교육이 당면한 문제이며 인터넷의 적극적인 활용 및 자기 주도적 정보 활용능력의 신장은 일선 교육 현장에서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인 것이다. 특히 국어과는 창조적 국어사용 능력 신장과 태도 형성을 돕는 교과로서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기간 10년을 하나의 단위로 한 교육과정 구성의 한 축을 형성하는 중심교과다. 이러한 국어과 교육의 목표를 ‘언어활동과 언어와 문학의 본질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언어활동의 맥락목적대상내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국어를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며, 국어의 발전과 민족의 언어문화 창달에 이바지 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기르는 것이고, 그 첫째가 언어활동과 언어 그리고 문학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익혀 이를 다양한 국어사용 상황에서 활동하는 능력을 기른다.’로 규정한 것은 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가 학생이 생각을 언어로 표현하고 언어를 통해 의미를 이해하는 고등정신 능력을 신장시켜 주는데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쓰기 교육의 실제적인 모습은 작문 이론의 변화와 중요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데. 작문이론에서 규명한 작문의 본질적 성격을 바탕으로 전개되어 왔다. 즉, 쓰기 교육의 전개를 위해서 필요한 자양분을 작문 이론에서 취하였던 것인데, 이는 작문 이론이 언어적 정식화를 통해서 작문을 바라보는 본질적인 관점을 제시하여 왔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글쓰기는 목표가 분명해야 하는 데 이오덕은 그 목표를 다음과 같이 하고 있다. 글쓰기 교육의 목표는 아이들을 정직하고 진실한 사람으로 키우는 데 있다. 곧 아이들의 삶을 가꾸는 것이다. 글을 쓸거리를 찾고 정하는 단계에서는 , 쓸거리를 생각하고 정리하는 가운데서 ,실지로 글을 쓰면서 쓴 것을 고치고 비판하고 감상하는 과정에서 삶과 생각을 키워 가는 것이 목표가 되어야 한다. 즉 소박하고 솔직하고 아름다운 마음을 가지고 풍부한 느낌을 잘 표현하며 사물의 참모습을 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글쓰기 학습은 반드시 제대로 이루어져야 하지만 학교에서 글쓰기 교육을 지도하려고 해도 정작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글쓰기 교수 학습 방법에 관한 지도서’ 나 ‘좋은 글을 지도하기 위한 교수 학습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참고문헌
김선(2008), 맞춤법 띄어쓰기 원고지 사용법, 예문당
김태하(1999), 원고지 쓰기 완전학습장, 꼬마나라
임융웅(2000), 원고지 쓰기 연습장, 예문당
장덕진(2009), 원고지 이음말 사용법, 동아기획
정치희(1990), 원고지 사용법, 명지출판사
편집부(2006), OK 논술 원고지 쓰기, 우민OK출판사
  • 가격7,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08.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27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