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론적 관점에서 지능이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보처리론적 관점에서 지능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보처리론적 관점에서 지능이론 (심리)


1. 들어가며
2. 상황 하위 이론
3. 경험 하위 이론
4. 지적 활동 하위 이론
5. 유동지능과 결정지능

본문내용

장기기억, 인지), 5종류의 내용 (contents:시각적, 청각적, 도형적, 상징적, 언어적, 행동적), 6종류의 결과 (products:단위, 유목, 관계, 체계, 변환, 함축)로 이루어진 지능의 구조를 마치 180개(6조작 x 5내용 x 6결과)의 벽돌을 쌓아놓은 것처럼 표현하였다. 그는 이러한 분류를 통하여 기존 지능검사가 주로 언어적 내용만 측정하는 것은 잘못이며 모든 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외에도 Jensen은 지능을 자극에 대한 반응 시간으로 보았고, Eysenck는 뇌파를 측정함으로써 지능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Stankov(1983)는 주의(attention)가 지능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하면서 주의를 통해서 지능을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한편 Vygotsky는 지능의 실제 발달수준 뿐 아니라 잠재적 발달수준까지도 지능에 포함시킴으로써 근접발달대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개념에 의해 지능을 정의하고 측정하려 한다(한순미, 1994).
그러나 많은 지능 이론 중에서 교육에 가장 강력한 시사를 주는 것은 Gardner(1989)의 복합지능 이론이다.
  • 가격1,3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3.08.23
  • 저작시기2013.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747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