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의 M&A 추세와 국제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기업의 M&A 추세와 국제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한국기업에 의한 M&A 추이

2. 주요 분류별 M&A 동향

 1) 산업별

 2) 규모별

 3) 성격별 

3. 동북아시아 주요국의 M&A 추이

 1) 일본기업의 M&A 추이

 2) 중국기업의 M&A 추이


4. 참고

본문내용

8
10,853
5,469
10,971
22,873
84,143
6,403
2,000
3,937
2,571
2,775
17,685
1억달러 이상 비중
90.3
73.8
68.5
77.4
82.2
80.8
92.4
87.8
87.5
91.4
85.5
89.2
10억달러 이상 비중
66.0
38.3
27.6
36.6
55.4
49.3
67.1
26.9
54.4
23.1
34.2
40.7
(단위: 백만 달러)
3) 성격별 동향
IN-IN형 및 IN-OUT형 M&A 모두에서 우호적인 M&A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적대적인 M&A는 존재하지 않았다. 07~11년 간 우호적인 M&A 규모는 IN-IN형이 837억 달러, IN-OUT형이 400억 달러로 다른 성격의 M&A에 비해 그 규모가 월등히 높은 반면, 적대적인 M&A는 IN-IN형과 IN-OUT형 모두에서 존재하지 않았다. 특히 IN-OUT형 M&A의 경우 전체 M&A에서 우호적인 M&A가 차지하는 비중은 92.1%로 매우 높았는데, 이는 국내기업이 주로 우호적인 M&A를 선호하는 가운데 외국기업을 인수할 경우 절대적으로 우호적인 M&A를 선택하고 있음을 살펴 볼 수 있다.

(단위: 백만 달러, %)
국내기업 인수(IN-IN형) 외국기업 인수(IN-OUT형)
3. 동북아시아 주요국의 M&A 추이
1) 일본기업의 M&A 추이
2010년 일본기업의 외국기업 M&A 건수 가운데, 아시아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52%였다. 일본기업에 의한 아시아기업의 M&A가 확대된 이유는 높은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되는 아시아 기업을 인수하여 아시아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일본기업의 전략이 담겨 있다. 기린맥주는 싱가폴 음료회사를, 일본 제지그룹은 중국 제지기업에 출자 확대하였고, 동양고무는 말레이시아의 타이어 회사를 인수하였다.
자금여력이 풍부한 아시아기업에 의한 일본기업 M&A도 증가되는 추세인데, 전년대비 24% 증가한 73건을 기록했고, 금액 베이스로는 87% 증가한 1179억 엔을 달성 하였다.
말레이시아기업이 홋카이도의 리조트시설을 매수하는 등 동남아시아 기업과 펀드가 일본부동산을 매수하는 사례가 늘고 있고, 그 밖에 중국기업이 파나소닉의 자동차용 니켈수소전지사업을 인수한 사례도 주목되고 있다.
2) 중국기업의 M&A 추이
M&A컨설팅회사인 RECOF에 의하면, 2010년 1-8월동안 중국기업의 일본기업 M&A건수는 26건으로 전체 건수의 약 30%를 차지했다고 조사 하였다.
경영의 어려움에 직면한 일본 중견·중소기업 제조업을 매수하는 것은 전형적인 중국기업의 對일본 투자 패턴이며, 제조업이 중심이었던 중국이 최근에는 소매업이나 서비스업 등 비제조업까지 확대하여 인수합병 함으로서 일본기업의 경영노하우 학습, 중국기업과 일본기업 간의 상호보완 관계 구축, 인재교류의 이점까지 가지게 되었다.
4. 참고
www.kjc.or.kr 한일재단 일본지식정보센터 「일본기업의 M&A 동향」
www.kiep.go.kr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국내기업에 의한 최근 M&A의 주요 특징과 시사점」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10.04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843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