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양반전>, 1000석에 대한 문제제기
2-2 면천군수 박지원, 정조의 명을 받고 <과농소초>를 쓰다.
2-3 고을, 양반을 돕다.
3. 맺음말
2. 본론
2-1 <양반전>, 1000석에 대한 문제제기
2-2 면천군수 박지원, 정조의 명을 받고 <과농소초>를 쓰다.
2-3 고을, 양반을 돕다.
3. 맺음말
본문내용
대해 설파한 것이 되겠다.
맺음말
이상으로 본고의 <양반전> 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학적 장치로도 1000석을 온전히 설명 할 수 없다는 문제제기에 이어 박지원이 철저한 사대부였다는 점과 <과농소초>를 지을 만큼 민생고에 관심이 깊었다는 주장을 하고 유학적인 개념에 대해 짤막하게 소개했다. 그 다음에는 <양반전>에 나와 있는 텍스트들을 이용하여 <양반전>은 양반에 대한 각성과 천부에 대한 비판으로 박지원의 신분적 입장(양반)에서 쓰인 글이라는 주장을 하게 되었다. <양반전>의 핵심 주제는 양반의 노블레스 오블리주에 대해 설파한 것이라는 게 본고의 주장이다. 또한 <양반전>의 양반의 등장인물에 대한 긍정이 되겠다.
미진한 아쉬움이 있다. 박지원이 쓴 <과농소초>와 <면양잡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양반전> 주제에 대한 본고의 주장에 대한 가능성을 더욱 보여주고 싶었다. 면천군수 시절에 쓴 <과농소초>와 <면양잡록>, 그리고 당대 유학자들의 생각을 이용하여 박지원이라는 인물을 형상화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도서관에는 이 둘과 관련된 단행본이나 서적이 없었고, 있더라도 작품 필사본으로 한문을 해석해야 할 난감한 상황에 처했었다. 때문에 <양반전>의 텍스트 해독은 잘 되었다고 생각하지만 유교와 관련된 박지원의 생각에 대한 증거 부족으로 정황을 이어나가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다만 본고의 주장에서 의의를 갖자면 <양반전>에서 양반에 대한 박지원의 긍정과, 박지원의 신분적인 입장이 작품 속에도 녹아 있을 것이다라는 생각을 해보게 만들었다는데 있다. 박지원을 보수적인 유학자라 생각한 기존연구들은 많았지만, 박지원의 작품 속에서 그의 보수성을 찾은 연구는 없기 때문이다. 다음에는 <과농소초>와 <면양잡록>을 면밀히 분석하여 본고의 주장의 가능성과 타당성을 더욱 올릴 생각이다.
<참고문헌>
『고전비평의 이해 강의자료』, 이기대, 2013
「고등학교 『국어』및 『문학』관련 교과서에 수록된 <양반전>의 양상과 특징」, 이기대, 어문연구학회, 2013
『금오신화·허생전 외』, 김시습, 하서, 1998
『면양잡록』, 김문식 해제, 문예원, 2012
『박지원의 미의식과 문예이론』 ,박수밀, 태학사, 2005
『(세상을 등지고 세상을 가르친) 연암 박지원』, 박지원, 거송미디어, 2004
『한국인이 뽑은 한국 고전소설 모음집』, 김시습 외 4명, 북앤북, 2006
『호질·양반전·허생전 외』, 박지원, 범우사, 2002
맺음말
이상으로 본고의 <양반전> 주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문학적 장치로도 1000석을 온전히 설명 할 수 없다는 문제제기에 이어 박지원이 철저한 사대부였다는 점과 <과농소초>를 지을 만큼 민생고에 관심이 깊었다는 주장을 하고 유학적인 개념에 대해 짤막하게 소개했다. 그 다음에는 <양반전>에 나와 있는 텍스트들을 이용하여 <양반전>은 양반에 대한 각성과 천부에 대한 비판으로 박지원의 신분적 입장(양반)에서 쓰인 글이라는 주장을 하게 되었다. <양반전>의 핵심 주제는 양반의 노블레스 오블리주에 대해 설파한 것이라는 게 본고의 주장이다. 또한 <양반전>의 양반의 등장인물에 대한 긍정이 되겠다.
미진한 아쉬움이 있다. 박지원이 쓴 <과농소초>와 <면양잡록>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양반전> 주제에 대한 본고의 주장에 대한 가능성을 더욱 보여주고 싶었다. 면천군수 시절에 쓴 <과농소초>와 <면양잡록>, 그리고 당대 유학자들의 생각을 이용하여 박지원이라는 인물을 형상화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도서관에는 이 둘과 관련된 단행본이나 서적이 없었고, 있더라도 작품 필사본으로 한문을 해석해야 할 난감한 상황에 처했었다. 때문에 <양반전>의 텍스트 해독은 잘 되었다고 생각하지만 유교와 관련된 박지원의 생각에 대한 증거 부족으로 정황을 이어나가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다만 본고의 주장에서 의의를 갖자면 <양반전>에서 양반에 대한 박지원의 긍정과, 박지원의 신분적인 입장이 작품 속에도 녹아 있을 것이다라는 생각을 해보게 만들었다는데 있다. 박지원을 보수적인 유학자라 생각한 기존연구들은 많았지만, 박지원의 작품 속에서 그의 보수성을 찾은 연구는 없기 때문이다. 다음에는 <과농소초>와 <면양잡록>을 면밀히 분석하여 본고의 주장의 가능성과 타당성을 더욱 올릴 생각이다.
<참고문헌>
『고전비평의 이해 강의자료』, 이기대, 2013
「고등학교 『국어』및 『문학』관련 교과서에 수록된 <양반전>의 양상과 특징」, 이기대, 어문연구학회, 2013
『금오신화·허생전 외』, 김시습, 하서, 1998
『면양잡록』, 김문식 해제, 문예원, 2012
『박지원의 미의식과 문예이론』 ,박수밀, 태학사, 2005
『(세상을 등지고 세상을 가르친) 연암 박지원』, 박지원, 거송미디어, 2004
『한국인이 뽑은 한국 고전소설 모음집』, 김시습 외 4명, 북앤북, 2006
『호질·양반전·허생전 외』, 박지원, 범우사, 20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