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도계질환과 간호케이스 (담석증, 담낭염, 총담관 결석증, 담관염, 경화성 담관염, 담낭암, 선천성기형)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담도계질환과 간호케이스 (담석증, 담낭염, 총담관 결석증, 담관염, 경화성 담관염, 담낭암, 선천성기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담석증

Ⅱ. 담낭염

Ⅲ. 총담관 결석증

Ⅳ. 담관염

Ⅴ. 경화성 담관염

Ⅵ. 담낭암

Ⅶ. 선천성기형

본문내용

치(Malposition of the Gallbladder)
담낭의 이상위치는 담낭이 간 실질속에 매몰된 경우와 담낭이 좌측간에 있는 경우, 담낭이 후복벽에 위치한 경우 등 다양하다.
9) 좌측 담낭(Left Sided Gallbladder)
① 내장 횡역위종(Situs inversus transversus)에서 심장과 복강내 장기가 전위된 경우
② 담낭만 전위된 경우: 매우 드문 경우
10) Retrodisplacement of Gallbladder
담낭이 담낭와(gallbladder fossa)에 위치해 있지 않고 간의 다른 부위나, 간에서 떨어져 있거나, 후복벽에 위치하고 있어, 기저부가 후방을 향해 위치하고 있기도 하는데, 이 경우 담낭 절제술시 담낭의 노출 및 조작이 매우 힘들다.
11) Floating Gallbladder
약 4%에서 관찰되는데 담낭은 장간막 형태의 복막에 싸여 있으며 담낭과 담낭와 사이에는 간으로부터 유래된 복막으로 연결되어 있고, 오직 담낭과에 의해서만 지주되어 외적인 충격에 의해 담낭이 손상받기 쉽다. 이러한 담낭은 담낭염뿐만 아니라, 경이 꼬이면 심한 상복부 통증을 동반하면서 빈맥 및 백혈구 증가증이 나타나며, 담낭의 괴사 및 천공등이 생기는데, 경이 꼬인 경우 즉각적인 담낭절제가 필요하다.
12) 간내 담낭(Intrahepatic Gallbladder)
간내에 담낭의 전체 또는 일부가 함몰되어 있는데, 담낭조영술 소견상 담낭의 위치가 정상적 위치보다 매우 높은 위치에 있을 때 일단 의심해야 한다. 성인에서는 약 60%에서 담석을 동반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간내담낭이 일부만 함몰되어 있어 개복시 힘들지 않게 발견할 수 있고, 그 조작도 별로 힘들지 않다. 담낭이 완전히 함몰되어 있는 경우는 그 수술조작이 매우 힘들어, 우선 담관과 연결되어 있는 담낭관을 우선 분리하여 담낭으로 향해 역으로 박리해 가면서, 함몰시킨 간조직을 절제하는 것을 권한다. 가끔 담낭을 제거하는 것이 매우 힘들고 위험한 경우, 담석만 제거하고 담낭 조루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13) 선천성 담낭 유착(Congenital adhesions to the Gallbladder)
매우 빈번하게 발견되며 태생학적으로 이런 peritoneal sheet는 소망을 형성하는 anterior mesentery의 확장으로 인한 것이다. 이런 sheet는 총수담관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담낭을 덮고 십이지장이나 결장의 간굴복부로 뻗어나가거나 간우엽으로 까지 뻗어 나갈 수 있으며 foramen of Winslow를 덮기도 한다. 경한 형태인 경우에는 band of tissue가 소망으로부터 담낭관을 질러 담낭앞으로 뻗어 있거나 loose veil이 담낭으로 mesentery를 형성하기도 한다.(부유 담낭)
3. 원인
Folded gallbladder는 담낭 체부와 누두 사이나, 체부와 기저부 사이에 형성된 격막으로 인하여 주름이 생긴것이 원인이고, 담낭 발육 부전(Rudimentary Gallbladder)은 유아나 어린아이의 경우 대부분 선천성 발육부전으로 인해 생긴 것이다.
4. 병태생리
담낭의 기형은 대개 임상증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러므로 다른 이유로 영상검사나 수술 중 우연히 발견된다. 기형의 종류로는 담낭이 창자사이막까지 길게 늘어져 쉽게 뒤틀릴 수 있는 부유담낭(floating gallbladder),간 속에 뭍이거나 간좌엽에 붙어 있는 이소담낭, 담낭무발생증, 중복담낭, 담낭형성장애, 담낭이 종축 또는 횡축의 중격에 의해 두 개의 방으로 나뉜 기형, 담낭 기저부가 내강으로 접혀들어온 기형(phrygian cap) 등이 있다. 간외담관 자체의 기형보다 담낭동맥이나 간동맥가지와 같은 혈관의 변형이 많기 때문에 이 부위의 수술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5. 증상과 징후
담낭의 선천성 기형은 대부분 무증상이다.
6. 진단
담낭의 기형은 매우 드문 질환이지만 담도계 수술을 하는 경우 수술 전 이런 기형을 진단하고 정확히 평가하는 것이 동반되는 담도의 손상이나 재수술을 막는다는데 의의가 있다. 가장 기본적이고 비 침습적인 초음파가 담낭 기형의 진단에 사용된다. 하지만 초음파는 담낭관 관찰이 어려워 비 침습적인 MRCP나 CT를 시행하여 담낭 기형을 진단 할 수 있다. ERCP가 담낭 기형의 정확한 진단에 도움이 되지만 무증상이 대부분인 담낭 기형 진단을 위해 진단적인 ERCP를 시행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담도 통증을 동반되는 담석증이나 담도의 평가를 위한 ERCP 검사 과정에서 우연히 담낭의 기형이 관찰 되는 경우도 있다.
7. 치료
대부분의 담낭 기형 자체로는 임상적 의의가 없어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특별한 치료는 필요 없으나 증상이 있는 담석증이 있어 담낭 절제술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동반된 담낭의 기형을 미리 인지하여 수술을 시행한다면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담도 손상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8. 간호
정보제공: 치료 방법이나 진단 과정과 관련된 지식부족에 대한 간호 중재는 대상자가 편안한 상태일 때 설명한다. 간결하고 명료하게 기록된 정보지를 제공한다.
신체손상 위험성 예방: 담석제거술을 시행하는 환자는 내시경의 통과가 원활하도록 인두 뒷부분에 국소 마취제를 투여받으므로 시술 후 구강섭취를 하기 전에 연하 반사가 돌아왔는지를 반드시 점검한다.
불안 경감: 진단적 절차, 수술전 절차와 관련된 환자의 불안 정도를 사정하여 환자를 두렵게 하는 것들에 대해 철저하게 설명하고 가족이나 친지들이 환자와 함께 머무는 것을 적당히 허락한다.
환자교육: 환자의 학습의 잠재성과 학습 요구를 사정하고 수술 후 가능한 빨리 가정 간호에 대해 교육한다.
* 참고문헌
이향련/성인간호학I(2008)/수문사/p510~511
SHEILA SHERLOCK/간담도 질환(1989)/고려의학 출판부/p449~452
강대환/담도학(2008)/대한췌담도학회/p47~51
김상준/담도계 외과(1992)/군자출판사/p7~12
강대영/병리학 제5판(2003)/고문사/p628~629
순천향대학교의과대학소화기연구소/소화기학(2004)/고려의학/p679~680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4.01.02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08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