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완벽정리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완벽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란?
2.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원리
3.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특징
4.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장점
5.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단점
6.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활용방안
7.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향후전망

본문내용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란?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란, 유연한 디스플레이를 의미하며, 디스플레이 기판을 손상 없이 휘거나 구부릴 수 있는 유연성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기판이다. 기존의 유리 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여 구부림와 휘어짐이 가능하다. 얇고 가벼운 것이 특징이며, 충격에도 강하다.

<중 략>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가 사용자의 눈에 들어오기까지는 위와 같은 구조의 디스플레이의 구조적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TFT Array는 액정을 눕히거나 세워서 통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고, Liquid Crystal은 LCD의 핵심물질로써 빛의 밝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Color Filter는 빛을 색으로 바꿔서 내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여기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TFT Array층과 Color Filter를 최대한 얇게 만들어 구부리거나 휘어지는 특성을 좋게 만들고, Back light의 부피를 줄인 다음, 기존 유리재질의 커버 대신 얇은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 사용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다.
현재까지의 기술은 위의 LCD보다는 자체발광이 가능한 OLED를 사용한다. 이것은 디스플레이 자체적으로 스스로 빛을 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OLED는 백라이트가 필요없다. 소자 자체적으로 플라스틱 필름을 성형하기에 매우 수월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특징
기존의 디스플레이는 보통 유리를 기판으로 사용하지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경우는 유리 대신 유연성을 가능하게 하는 플라스틱이나 금속박막을 기판으로 사용한다. 기판의 변경은 두께를 유리 대비 약 20% 얇게 줄일 수 있으며, 휴대성이 높고, 굽히거나 구부릴 수 있는 저항력이 크다.
  • 가격1,2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4.01.05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9010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