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 평가 및 2014년 전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출입 평가 및 2014년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2013년 수출입 동향 및 평가

Ⅱ. 2014년 무역·통상환경 전망

Ⅲ. 2014년 수출입 전망

본문내용

달러 흑자 추정
세계경기 회복세 둔화에도 불구하고 우리 수출은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며 총 무역액은 3년 연속 1조 달러 초과
수출은 IT 제품의 선전 및 對중국對아세안 수출 호조로 전년 대비 증가
품목별로는 무선통신기기, 반도체 등 IT제품, 자동차 및 부품 수출은 증가하였으나, 선박 및 석유제품 수출은 부진
지역별로는 중국, 미국, 아세안으로의 수출이 증가한 반면, EU, 일본 등으로의 수출은 부진
수입은 자본재와 소비재 수입은 증가하였으나, 주요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에 따라 원자재 수입은 감소
(2) 수출 동향 (2013년 1~10월)
2013년 1~10월 중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 증가한 4,638억 달러 기록
1~6월 수출 부진(0.6% 증가)에도 불구하고 7~10월 수출이 호조세를 보임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소폭 증가
- 8월부터 수출증가폭이 점차 확대되면서 일평균 수출도 전년 동기 대비 증가
수출 최고치(′11.7월 489.5억 달러)를 경신
- 최대 시장인 중국으로의 수출이 연중 지속적으로 플러스 증가율(2월 제외)을 보이면서 수출 증가를 견인
철강제품, 석유제품 등 주요 수출품목의 단가 하락에도 불구하고 수출물량 증가 세가 지속되면서 전체 수출금액이 증가
[품목별] 1~10월 중 무선통신기기, 반도체 등 IT 제품, 자동차
및 부품은 수출이 크게 증가하였으나, 선박 및 석유제품 수출은 부진
무선통신기기(25.4% 증가)는 갤럭시S4갤럭시노트3G2 등 플래그십 제품의 선전으로 전략 스마트폰과 무선통신부품 모두 호조세
반도체(13.2% 증가)는 단가 상승 등으로 견조한 증가세 시현
한편, 자동차(및 부품)는 임단협 이후 공급 정상화에 따른 대형차종 수출 확대 및 단가 상승, FTA 효과 등에 힘입어 증가
반면, 선박은 시황침체기(’09~’10년)에 수주한 저가 선박이 작년에 이어 올해 집중적으로 인도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12.6% 감소
석유제품은 단가 하락, 중국 석유자급률 상승 및 아시아 수요 감소 등으로 마이너스 증가율(-5.8%) 기록
[지역별] 1~10월 중 중국, 아세안, 미국으로의 수출은 증가한 반면, EU, 일본 등으로의 수출은 감소
[중국] 중국 경제성장률 둔화에도 불구하고 무선통신기기반도체 등 IT 제품의 선전으로 전년 동기 대비 9.2% 증가
[미국] 소비심리 개선에 따른 무선통신기기자동차석유제품 등의 수출 호조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5.7% 증가
[EU] 경기 부진이 다소 개선되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對EU 수출 감소 폭도 (-2.0%) 2012년(-11.4%)에 비해 완화
[일본] 무선통신기기반도체 수출 부진으로 감소세(-10.9%) 지속
아세안으로의 수출은 IT 품목 호조에 힘입어 지난해에 이어 증가세(7.2%)를 지속했으며, 중동으로의 수출은 산업기계, 철강제품 등의 수출부진으로 크게 감소
(3) 수입 동향 (2013년 1~10월)
2013년 1~10월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한 4,280억 달러 기록
자본재와 소비재 수입은 전년 동기 대비 증가했으나 원자재 수입은 주요 국제 원자재 도입단가 하락으로 감소
- 자본재 수입은 수출용 수입이 증가하면서 운반하역기계(18.4%), 반도체제조장비 (13.9%) 등을 중심으로 증가세 기록l
- 또한 소비재 수입은 점진적인 내수 경기 회복과 소비심리 상승에 힘입어 전년동기 대비 7.3% 증가
(4) 무역수지 (2013년 1~10월)
2013년 1~10월 중 수출은 소폭 증가하고 수입은 감소하여 무역수지 흑자 규모는 2012년보다 증가한 357억 달러 기록
원유수입 감소에도 불구하고 對중동 무역수지 적자는 지난해에 이어 확대되었으며, 對미對아세안對중 무역수지 흑자폭은 지난해에 비해 확대
2. 수출입 평가
세계경기 침체에도 불구 세계 수출 순위 7위, 3년 연속 무역 1조 달러 달성 전망
IT제품의 수출 호조와 단가 회복이 수출 호조에 기여한 반면 중동 경기 침체에 따른 對중동 수출과 엔저에 따른 對일 수출은 부진
명 암
- 수출 세계 7위 유지
- IT제품 수출 호조
- 수출단가 회복
- 지역별 수출 양극화
- 對중동 수출 부진
- 엔저에 따른 對일 수출 부진
금년 세계무역은 세계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부진
IMF는 2013년 세계경제 성장률을 연초 3.5% 수준으로 예상했으나 점차 하향 조정하여 10월 2.9% 성장 전망
세계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금년 세계무역도 2012년에 이어 부진
금년 세계 상품수입 증가율(2.6%)은 2011년(6.8%)의 2/5 수준에 불과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 변화> <세계 상품수입 증가율>
우리나라는 금년 9월까지 수출 금액 기준 세계 7위로 선전
중국의 수출이 상반기 호조세를 보이다 최근 둔화되고 일본의 수출이 마이너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반면 우리 수출은 상반기 부진에서 벗어나 하반기 들어 점차 호조세
국가명 수출액 증가율
1 중 국 16,149 8.0
2 미 국 11,696 1.6
3 독 일 10,775 2.1
4 일 본 5,342 -12.2
5 네덜란드 4,895 1.2
6 프랑스 4,279 1.0
7 한 국 4,133 1.3
8 영 국 4,092 15.5
9 홍 콩 3,943 9.6
10 러시아 3,828 -1.6
3. 2014년 수출 전망
국내 수요 부진 및 공급여력 확대로 수출물량 확대 노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국제시황 약세로 수출금액의 큰 폭 증가는 어려울 전망
주력 수출품목인 판재류의 국내 공급여력 확대에 따른 업계의 수출증대 노력으로 수출물량은 금년 대비 소폭 증가할 전망
- 다만, 미국 등 선진국으로 확대되고 있는 수입규제가 세계 철강수요 회복 여부와 함께 국내 철강 수출의 최대 불안요인으로 작용 예상
내년 국제시황은 올해 대비 소폭(2% 내외) 회복이 기대되나 글로벌 공급과잉 심화는 국제시황 회복의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
- 이에 따라 국내 수출단가도 올해 수준 유지 또는 소폭 회복될 것으로 보임
철강 수출단가가 올해 수준에 머물고 수출물량이 소폭 증가하면서 내년도 철강 수출금액은 금년 대비 3% 내외 증가한 330억 달러를 기록할 전망
  • 가격1,2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1.06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11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