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간호학] 임신·출산관련 각국의 문화적관습 (임신과 출산의 정의, 임신 (행복과 두려움), 출산 (분만법과 산후조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성간호학] 임신·출산관련 각국의 문화적관습 (임신과 출산의 정의, 임신 (행복과 두려움), 출산 (분만법과 산후조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A. 임신과 출산의 정의
  1. 임신
  2. 출산

Ⅱ. 본론
A. 임신 (행복과 두려움)
  1. 출산 장소
  2. 남편의 도움

B. 출산 (분만법과 산후조리)
  1. 출산 장소
  2. 남편의 도움
  3. 산파의 도움
  4. 출산 두려움 줄여주는 의식
  5. 진통
  6. 분만자세
  7. 아기를 땅과 접촉
  8. 탯줄
  9. 탯줄과 태반의 처리
  10. 신생아 관리
  11. 산후조리

Ⅲ. 결론
A. 참고문헌

본문내용

월 동안 지속되어온 개념으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선 신체내의 ‘hot-cold balance'를 유지하는 것을 중시
① 기독교 사회 : 구약성서의 [레위기] : 산모는 40일동안 부정한 상태이므로 칩거 기간이 끝나면 성모 마리아가 했던 것처럼 성당에서 정화의례를 치름.
② 이탈리아 중부 지방(19세기 말) : 일 주일간 씻지도 않고 침대보도 갈지 않은 상태로 일정 기간 집에서만 지냈음. 새 침대보의 흰색이 피를 불러서 치명적인 출혈을 유발한다고 믿었기 때문.
③ 프랑스 페이드코 지방 : 1950년대까지만 해도 일 주일 간, 산파나 이웃 사람이 집안일을 돌봐주면 열흘동안 누워 있었음. 가난한 사람은 출산 후 이틀만에 다시 일을 시작하는 경우도 많았음.
④ 캐나다의 사게네 지방 : 20세기 초까지 40일 간의 산후조리 기간을 지킴. 처음 9일 동안 침대에 누워서만 지내고, 다음 30일 간은 일어나 움직였지만 빨래를 하거나 청소 등 일을 전혀 하지 않음. 일거리가 있을 경우 가족이나 ‘구완부’라 불리는 하인의 도움을 받음.
⑤ 이슬람 문화권 : 기독교 문화권과 마찬가지로 산모를 40일간 격리시키는 관습.
⑥ 아프리카 북부의 항구도시 스팍스 : 공중 건강프로그램에 산후조리 기간으로 40일을 명시하고 40일이 지나면 산부인과에 화서 의무적으로 건강진단을 받도록 규정하고, 이 절차를 끝내야만 집안일을 다시 시작하고 대중 앞에 나설 수 있도록 함.
⑦ 러시아 부랴트족 : 칩거기간은 단지 하루정도이며, 태반을 묻고 나면 칩거 기간은 끝남. 불의 신으로 하여금 잘 돌봐달라는 봉헌의 의미로 버터를 불에 부음. 산파나 출산 보조자가 산모의 옷과 침대보를 달어 가문비나무 껍질이나 노간주나무를 지피는 잉걸불 위에 놓인 향로 위로 지나가게 하여 향기로운 연기로 정화시킴. 산모의 몸이 어느정도 회복 된 뒤 친정 부모님을 방문함.
⑧ 베트남의 전통사회 : 건강한 아이의 오줌을 쌀로 만든 술과 원기를 돋구는 약과 함께 섞어 마심. 산모가 누워있는 동안, 침대 밑에서 숯불을 지핌(아들-7일, 딸-9일). 마을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집 앞에 작은 잿더미를 쌓아 놓음(아들-7개, 딸-9개).
⑨ 프랑스 : 산후조리가 끝나고 산모가 처음으로 바깥 외출을 할 때 ‘산후 감사의식’ 의례를 치룸. 산모가 처음 자리에서 일어났다고 여기는 날에 의식을 치룸. 이 의식을 치뤄야만 비로소 아내의 역할, 즉 남편과 성관계를 가질 수 있고 집안일을 할 수 있었으며, 신앙활동도 비로소 가능하여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할 수 있었음. 20세기 초 이 의식을 치르지 않은 여자의 경우 공동체로 복귀하는 의례를 치르지 않았기 때문에 평판이 무척 나빴음.
⑩ 베트남 :‘퐁롱(Phong Long)’이라 부름. 보톡 석 달 열흘, 즉 100일임. 생선이나 연체동물을 먹지 말아야 하며 가급적 약초 달인물을 마셔야 하고, 몸과 마음이 부정한 사람을 만나지 말고 길한 사람만 만나야 함.
⑪ 중국 청나라 시대 : 한 달 동안 추위와 습기를 막아주는 방에서 지내며 바깥사람들을 만나지도 않음, 수태와 출산, 출혈 등으로 몸이 쇠약해졌으므로 원기를 북돋아주는 영양식을 섭취하며 몸조리를 해야한다고 생각함.
⑫ 아프리카 : 도곤족(일 주일), 줄루족(한 달). 요리를 하거나 다른 사람과 함께 식사를 해서도 안됨.
⑬ 우리나라 : 한의학과 서양의학이라는 이원적 의료체계의 병립으로 인해 산후조리의 관점이 동시에 혼재.⑭ 미국 : 질식분만 후 적어도 48시간, 제왕절개 시술 후에는 96시간 병원에 입원할 것을 요구. 조기 퇴원으로 인한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과 안전에 대한 위험을 최소화 하기 위함.
⑮ 중국 문화권(중국, 대만, 홍콩) : “Tso-Yueh-Tzu"("doing-the-month") - 이 기간 동안 지켜야할 규율. 무거운 물건 들지 않기, 밖에 나가지 않기, 쪼그리고 앉지 않기, 반듯이 누워 있기, 오래 서있지 않기, 울지 않기, TV나 독서 보지 않기, 머리 감지 않기, 외출할 때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감싸기, 바람맞지 않기, 찬물에 닿지 않기, 목욕하지 않기, 따뜻한 물 사용하기, 날것이나 생야채 먹지 않기, 찬 음료나 얼음 먹지 않기, 찬 음식 먹는 것 피하기, 딱딱한 음식 먹지 않기, 맹물먹지 않기, 짠 음식 먹지 않기, 절에 가지 않고 향 피우지 않기, 성교하지 않기, 산실에는 가까운 친척이나 가족만 들어가기, 치킨 수프 섭취하기, 돼지의 콩팥이나 동물의 내장 섭취하기, 두충 섭취하기.
네덜란드 : 모성도우미가 산후 7일간 집에서 도움을 줌. 위생 상태 관리, 신생아의 체온유지, 목욕, 돌연사 예방, 모유 수유 등과 같은 사모와 신생아에 대한 간호. 신생아 돌보는 방법에 대한 교육이 중점적.
핀란드 : 공중보건 간호사가 신생아와 가족에게 육아정보제공, 지도, 지지의 역할을 함. 신생아의 체중, 신장, 시력, 청력 등을 측정하여 신생아의 전반적인 발달 상황을 평가, 육아에 대한 정보 제공. 산모의 경우 피로도, 불안감, 우울증, 모성 역할에 대한 일반적인 자신감을 평가, 아버지의 책임을 강조하여 가족을 지지하게 하는 등 바람직한 환경을 조성하게 하는 역할.
라틴 아메리카(콰테말라) : 산후에 따뜻하게 할 것 강조하여 데운 물 이용. 뜨거운 목욕이 신체의 하부에 있는 젖을 가슴으로 보내주어 유즙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유즙이 차가워지는 것을 방지 한다고 생각. 종교적인 의식의 의미도 있음.
인도 : “Chillia”- 40일간 휴식. 산모와 신생아 모두 저항력이 약한 상태이기 때문에 사악한 기운이나 나쁜 질병에 노출 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함. 몸 따뜻하게 하고, 균형 가져다주는 음식을 먹게 함. 아프리카 : 산후의 산모를 남편과 떨어진 방에서 휴식하도록 제한하고, 요리, 청소, 아기돌보기 같은 산모의 일상적인 일들을 대신 해줌. 거주 장소는 토굴과 같은 집을 지어 찜통처럼 덥게 하기도 함.
Ⅲ. 결론
A. 참고문헌
도서
출산과 육아의 풍속사(2002) / 카트린 롤레, 나은주 옮김 / 사람과 사람
논문
문화별 산후조리의 전통과 실재에 대한 고찰(2009) / 배경미 외 2명 / 대한한의학회/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4.07.25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02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