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불화 화합물 조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과불화 화합물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과불화 화합물의 문제제기
2. 과불화 화합물의 종류 및 유래
3. 과불화 화합물의 위해성
4 과불화 화합물을 줄이기 위한 노력

본문내용

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하수에서의 처리 공정
PFCs는 매우 안정화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난분해성으로 기존의 생물학적 처리공정과 산화공정에 의해서 분해제거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물리화학적 처리방법에 의한 PFCs의 제거에 관한 문헌
자료는 거의 없다. 최근의 여러 연구결과들에서 이온교환 수지, 제올라이트 및 활성탄 등을 이용하여 PFCs 제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활성탄 흡착의 경우 GAC(granular activated carbon) 공정 보다는 PAC(powder activated carbon)를 이용한 경우가 훨씬 PFCs 제거에 효과적으로 나타났고, 그 이유는 PAC의 경우 흡착제 크기가 GAC 보다 작기 때문에 흡착속도가
GAC 보다 40배 정도 단축되어 빠른 시간내에 흡착제거
가 가능하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Ochoa-Herrera와 Sierra-Alvarez는 PFCs 제거에 있어서 GAC 흡착공정도 효율적인 공정으로 평가하였으며, PFOS와 PFOA에 대한 흡착용량이 각각 182 mg/g GAC와 57 mg/g GAC로 나타나 PFOS가 활성탄 흡착으로 제거가 더 용이하며, 이것은 PFCs의 탄소고리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활성탄에 대한 흡착력이 증가하고, 탄소고리의 길이가 동일할 때는 carboxyl 치환기 보다 sulfone 치환기에 대한 활성탄의
흡착력이 더 강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PFCs의 흡착제거에서는 제올라이트의 실리카 (Si) 함량이 높을수록 PFCs의 흡착용량이 증가한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제올라이트의 경우 활성탄 보다는 PFCs에 대한 흡착용량이 작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초음파 및 UV 조사 (irradiation)를 이용한 제거법에 대해서도 현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나노막 (NF)과 역삼투막 (RO)을 이용한 PFCs의 제거 연구도 많이 진행중이다.
3-2 일상 생활에서의 과불화 화합물
과불화 화합물이라는 용어는 생소하지만 가정마다 하나씩은 있음직한, 재료가 들러붙지 않도록 코팅된 프라이팬, 물기가 스며들지 않는 방수천이나 일회용 종이컵 등에 들어있을 수 있다. 우리에게 익숙한 테플론이나 고어텍스등의 상표가 과불화 화합물과 관련이 있다. 이는 물과 기름 모두에 강한 과불화 화합물의 독특한 성격 때문이다. 문제는 과불화 화합물의 환경독성과 건강영향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안정한 화학적 구조로 인해 생태계에서 분해성이 낮아 오랫동안 잔류하고 생체 내에서 쉽게 대사되지 않아 생물 농축을 유발하는 문제가 생긴다. 난분해성(=미생물에 의하여 분해가 잘 되지 아니함)으로 인해 환경 내에 잔류하여 전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인체나 동식물까지 폭넓게 오염되어 있다. 생물체에 장기적으로 축적될 시 암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됨에 라 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과불화 화합물은 생산 및 사용 폐기되는 상품의 전생애 과정에 걸쳐 생활 환경과 생태계로 유입되고 있다.
3-3 세계적인 문제점
인체 문제 : 과불화 화합물은 인공적으로 생산된 화학성분으로 1950년대부터 산업용도로 활발하게 사용되면서 환경에 잔류하게 되었다. 사람의 혈액에서 처음으로 과불화 화합물이 발견된 것은 1976냔 초 였으며, 그 이후로 과불화 화합물이 세계 각국의 인체에서 검출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미국과 유럽, 아시아에서 입수된 모든 혈청 시료에서 과불화 화합물 중 독성이 높은 PFOS가 검출 되었는데, 이 화합물이 산업적으로 생산되기 이전에 한국전쟁에 참전한 미군의 혈액 시료에서만 PFOS가 검출되지 않앗다고 한다. 미국에서 약 3,000명의 혈액을 체취한 결과 대부분의 혈액에서 PFOA가 검출되었으며, 환경실무그룹의 연구는 98%의 미국인에게서 과불화 화합물이 검출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어린이 뿐만 아니라 태반에서까지 전 연령에 걸쳐 오염이 광범위하게 퍼져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1990년도 까지 꾸준히 증가하던 혈청 내 과불화 화합물의 농도는 2000년대 부터는 규제가 신설되고 강화됨에 라 줄어드는 추세를 보인다. 유해물질 관리 정책에 따라 과불화 화합물에 오염되는 정도가 줄어드는 추세이다
생태계 문제 : 최근 연구에 따르면 과불화 화합물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종류인 PFOA는 이탈리아, 미국, 일본, 러시아, 벨기에, 캐나다에서 모두 발견되었으며, 도시와 멀리 떨어진 야생 보호구역과 가까운 지역에서도 검출되었다.
4 과불화 화합물을 줄이기 위한 노력
현재 과불화 화합물 전반에 대한 규제는 정해져 있지 않다. 다만 과불화 화합물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독성이 알려진 PFOA, PFOS의 경우 유렵연합, 미국, 일본 등에서 유해성을 인정하고 규제 및 관리하고 있다.
예로 미국에서는 2015년 까지 단계적 폐지를 선언했다.
미국 환경보호청과 PFOA를 생산하는 8대 업체는 2010년까지 PFOA를 95%까지 줄이고 2015년까지 사용하지 않기로 협정을 맺었다고 한다. 이처럼 우리는 강하게 할 필요는 없지만 과불화 화합물 사용에 대해 신중히 생각하고 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우리는 그리하여 이러한 요구들을 정부에 제공했으면 좋겠다.
정부
과불화 화합물에 대한 규제 수준을 확립하고 관리 감독 실시
- 과불화 화합물의 사용 실태 조사 및 대책 수립
- 일회용 종이컵 보증금 제도 재실시 및 종이컵 사용 저감 대책 마련
- 위해성 정보의 보급 및 국민 보건 대책 정립
커피전문점 및 음료판매점
- 과불화 화합물이 포함되지 않은 제품 사용
(ex. 스타벅스, 맥카페 등에서 과불화 화합물의 높은 비율로 발견.)
- 매장 내 일회용 종이컵 사용 자제 및 재활용을 위한 수거 노력
- 유해성분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 및 정보 공개
소비자
- 일회용 종이컵을 비롯해 일회용품 사용을 가능한 자제
- 자기컵 들고 다니기 생활화를 통한 종이컵 사용 자제
- 환경과 건강을 고려한 제품 이용 및 친환경 생활 습관 형성
을 통하여 우리나라도 다른나라에 비해 훨씬 앞서가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과불화 화합물에 대한 인식이 조금 더 깨어 있어야합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8.06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24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