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역속벽,탑다운공법,토공장비 및 계측관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하역속벽,탑다운공법,토공장비 및 계측관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지하층 밑에서 작업하므로 작업능률 저하
② 정밀한 시공계획 필요
③ 공사비 증대 우려
④ 지하공사시 환기 및 전기시설이 필수
4) 탑다운공법 적용에 따른 공기단축 이유
(1) 기상변화에 따른 이유
1층 바닥의 구조체가 완료되면 1층 바닥을 작업장으로 이용하여 기상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 공사를 진행할 수 있으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2) 공정순서에 따른 이유
지상층과 지하층을 동시에 시공할 수 있으므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
3
토공장비
1. 기계화 시공
1) 건설기계의 개요 및 목적
(1) 개요
건설기계란 건설공사에 사용되는 모든 기계를 말하며 공사의 효율성을 위해 공사규모, 시공방법, 작업능률, 공사기간, 현장조건 등을 조사하여 기계를 선정해야 한다.
(2) 기계화 시공의 목적
① 공기단축② 공비절감
③ 품질향상
2) 필요성 및 특징
(1) 기계화 시공의 필요성
① 건물의 대형화② 건물의 고층화
③ 노동력 절감의 필요성④ 시공 생산성 향상
(2) 기계화 시공의 특징
장 점
단 점
① 공기단축
② 공비절감
③ 품질향상
④ 인력으로 불가능한 공사 해소
⑤ 노동력 절감
① 기계구입비 고가
② 숙련된 운전자 필요
③ 수리설비가 필요
④ 소규모 공사에서는 인력시공보다 고가
3) 선정방법 및 고려사항
(1) 건설기계의 경제적 선정방법
① 공사규모에 따른 선정② 사용시간에 따른 선정
③ 표준기계의 선정④ 기계의 용량과 비용에 따른 선정
(2) 토공장비 선정시 고려사항
① 굴착깊이(장비의 규모)
② 흙의 처리(야적장과의 거리, 반출거리)
③ 흙의 종류
④ 공사기간(장비의 유형, 크기, 수)
2. 토공기계
1) 굴착용
종 류
특 징
파워쇼벨
(Power Shovel)
① 기계가 위치한 지반보다 높은 곳을 굴착한다.
② 굴착깊이 2m 정도이다.
③ 경질기반 굴착에 적당하다.
드래그쇼벨(Drag Shovel)
=백호(Backhoe)
① 기계가 위치한 지반보다 낮은 곳을 굴착한다.
② 굴착깊이 5~8m 정도이다.
③ 경질지반 굴착에 적당하다.
종 류
특 징
크램쉘
(Clamshell)
① 좁은 곳을 수직 굴착한다.
② 낮은 곳의 흙을 좁고, 깊게 판다.
③ 지하연속벽 공사에 사용한다.
④ 굴착깊이 최대 18m 정도이다.
⑤ 연약지반, 사질지반 굴착에 적당하다.
드래그라인
(Dragline)
① 지반보다 낮은 연질의 흙을 긁어모으거나 판다.
② 넓은 범위의 수직굴착에 유리하다.
③ 굴착깊이 8m이다.
④ 연약지반 굴착에 적당하다.
트렌쳐
(Trencher)
① 일정한 폭의 구덩이를 연속으로 판다.
② 좁고 깊은 도랑파기에 적당하다.
파워쇼벨
드래그쇼벨(백호)
크램쉘
크램쉘 버킷
드래그라인
트렌쳐
2) 상차용
종 류
특 징
로더(Loader)
굴착한 토사의 상차작업을 한다.
포크리프트(Forklift)
창고하역, 벽돌, 목재 등을 나르는 지게차이다.
로더
포크리프트
3) 배토정지용
종 류
특 징
불도우저
(Bulldozer)
① 운반거리 50~60m 이하의 배토작업을 한다.
② 최대운반거리 100m이다.
그레이더
(Grader)
땅고르기(노면정리, 정지)를 한다.
스크레이퍼
(Scraper)
① 흙을 긁어모아 적재하여 토사운반을 한다.
② 운반거리 100~150m이다.
불도우저
그레이더
스크레이퍼
4) 다짐용
(1) 개요
(1) 개요
지반 밀도를 증대시키고 흡수성을 적게 하기 위한 다짐에 사용된다.
(2) 종류
① 롤러(Roller)
② 램머(Rammer)
③ 플레이트 컴팩터(Plate Compactor)
롤러
램머
플레이트 컴팩터
5) 운반용
(1) 비자주식
종 류
내 용
엘리베이터 타워
(Elevator Tower)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공사재료 등을 수직으로 운반한다.
컨베이어
(Conveyor)
공사재료 등을 수직 혹은 경사로 운반한다. 종류로는 벨트 컨베이어와 스크류 컨베이어가 있다.
(2) 자주식
종 류
내 용
덤프트럭
(Dump Truck)
적재함에 적재물을 기동성 있게 운반할 수 있는 운반장비이고 자동으로 부릴 수 있다.
트레일러
(Trailer)
건설기계 등의 중량물을 적재하여 운반할 수 있는 운반장비이다.
트랙터
(Tractor)
비교적 소규모의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는 운반장비이다.
덤프트럭
트레일러
트랙터
6) 크레인 부착장비
① 파일드라이버② 드래그라인
③ 크램쉘④ 파워쇼벨
⑤ 드래그쇼벨(백호)
4
계측관리
1. 개요
1) 계측관리의 필요성
흙막이벽의 불균일과 지반 및 지하수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설계와 시공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공사장과 주위 구조물의 안전을 위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2) 계측관리의 목적
① 시공 전후의 안전성 확보 ② 시공법 개선 및 유지보수에 대한 정보 획득
③ 위험 징후에 대처 ④ 설계 보완 및 검토 자료 축적
⑤ 민원대비를 위한 계측자료 수집
3) 중점관리 사항
① 흙막이 배면의 지반침하② 굴착저면의 히빙파괴 및 보일링
③ 흙막이 배면의 지하수
2. 계측관리 항목 및 기기
관리항목
관리내용
측정기기
지 반
토질, 지반의 구성
육안
지하수
지하수위측정
Water Level Meter(지하수위계)
간극수압측정
Piezometer(간극수압계)
보일링, 파이핑
육안
주 변
도로, 매설관, 주변지반, 주변건물의 침하
Level and Staff(지표면 침하계)
주변건물의 경사
Tiltmeter(건물 경사계)
주변지반의 수평이동
Transit(트랜싯)
흙막이벽
측압, 수동토압
Earth(Soil) Pressure Gauge(토압계)
두부변형, 침하
Transit(트랜싯), Level and Staff(지표면 침하계)
중간부 변형
Inclinometer(지중 경사계)
응력
Strain Gauge(변형계)
지보공
버팀대 축력
Load Cell(축력계)
버팀대 온도
온도계
버팀대, 띠장의 변형, 지지말뚝의 침하, 올라옴
Level and Staff(지표면 침하계)
주1
간극수압 : 지하수 중의 수압이다.
Water Level Meter
Piezometer
Level and Staff
Tiltmeter
Transit
Earth(Soil) Pressure Gauge
Inclinometer
Strain Gauge
Load Cell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4.10.16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16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