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선망][유선망 의미][유선망 형태][유선망 성질][유선망 분석][유선]유선망의 의미, 유선망의 형태, 유선망의 성질, 유선망의 분석 고찰(유선망, 유선망 의미, 유선망 형태, 유선망 성질, 유선망 분석, 유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선망][유선망 의미][유선망 형태][유선망 성질][유선망 분석][유선]유선망의 의미, 유선망의 형태, 유선망의 성질, 유선망의 분석 고찰(유선망, 유선망 의미, 유선망 형태, 유선망 성질, 유선망 분석, 유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유선망의 의미

Ⅲ. 유선망의 형태

Ⅳ. 유선망의 성질

Ⅴ. 유선망의 분석
1. 지하수 경계면의 유형
1) 일정수두 경계(constant-head boundary)
2) 유동 경계(flow boundary)
2. 유선망의 형태적 특성
3. 유선의 굴절
4. 이방성계와 변형계(Anisotropic system and Transformed system)
5. 유선망을 이용한 지하수 유량분석 - Square method

참고문헌

본문내용

게 나타난다!!!
이와 반대로, 야외 조사시 일정한 간격으로 수위변화를 측정하였을 때,
수위가 dh1 = 1m, dh2 = 2m, dh3 = 2m ... 이라면;
이때, dL = constant 이므로...
구간 ①, ②, ③ 에서의 수리경사도는 이다.
이로부터 K1 > K2 = K3 임을 알 수 있다.
⇒ 한 대수층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측정한 수위변화는 매질의 투수성 변화를 보여준다!)
3. 유선의 굴절
- 지하수가 수리전도도가 다른 매질을 통과하여 흐를 때, 유선은 tangent 법칙을 따른다.
- 유선은 K 가 큰 매질에서 작은 매질로 진입하면서 매질의 수직방향에 가깝게 굴절된다.
→ 즉, 짧은 거리의 변화에도 큰 수두차를 보여, 수리경사도가 커진다!
4. 이방성계와 변형계(Anisotropic system and Transformed system)
- 자연상태의 지질매체는 대체로 Kx ≒ Kz × (100~10) 이다.
따라서 이러한 이방성계에서 유선망을 그리면 대부분의 수직관계가 변하게 된다.
- 그러므로, 지하수의 유동량(배출량)이나 유속 등의 계산에는,
을 이용한다.
- 실제적인 지하수의 유동방향은 수리전도도 타원(conductivity ellipse)를 그려서 알아낸다.
; 수리경사도의 방향과 유체의 흐름방향이 일치하지 않으며,
등수위선과 유선이 수직으로 교차하지 않는다.
5. 유선망을 이용한 지하수 유량분석 - Square method
- 수리전도도가 K 이고, 두께가 b 인 대수층에서,
;
; ...
일정한 지역을 통하여 유동하는 지하수량은,
유선망을 그릴 때, 두 유선의 간격을 임의로 동일하게 그린다면,
(즉, L1=L2, L3=L4, L5=L6 ... 처럼 그린다면,)
이때 n = 정사각형의 수.
- 등수위선이 곡선으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 곡선부에서의 정사각형은 중간 교차선의 길이에 의하여 결정한다.
- 유동량(flux)은 반드시 한 유관(one flow-tube)에서만 계산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ⅰ. 김정대 외 3명(2010), 경기만 및 한강하구의 순유량 및 확산모형의 불확실성 분석, 한국해양공학회
ⅱ. 박광진(2013), 토질 및 기초, 성안당
ⅲ. 박용원, 김병일 외 2명(2010), 토질역학, 새론
ⅳ. 윤용남(2008), 기초수문학, 청문각
ⅴ. 전일권(2000), 토목환경수리학, 동화기술교역
ⅵ. Soki Yamamoto 외 1명(2010), 지하수 수문학, 원기술
  • 가격6,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8.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74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