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교육론 공통] 외국어 교수법 중 한국어 교육에 크게 영향을 끼친 교수법을 2개 골라 그 특징과 원리를 기술하고, 구체적인 예(한국어 교육에 적용 예)를 제시 (교수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교육론 공통] 외국어 교수법 중 한국어 교육에 크게 영향을 끼친 교수법을 2개 골라 그 특징과 원리를 기술하고, 구체적인 예(한국어 교육에 적용 예)를 제시 (교수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외국어 교수법
1) 문법 번역식 교수법 (The Grammar Translation Method)
2) 직접식 교수법 (The Direct Method)
3) 청각구두식 교수법 (Audio-lingual Method)
4) 침묵식 교수법 (The Silent Way)
5) 공동체(집단) 언어교수법 (Community Language Learning)
6) 암시 교수법 (Suggestopedia)
7) 의사소통 교수법 (Communicative language learning)
8) 전신반응 교수법 (Total Physical Respond)
9) 자연 교수법 (The Natural Approach)
10) 형태초점 교수법 (Focus On Form Approach)

2. 외국어 교수법 중 한국어 교육에 크게 영향을 끼친 교수법의 특징과 원리
1) 문법 번역식 교수법의 특징과 원리
2) 의사소통 교수법의 특징과 원리

3. 문법 번역식 교수법 구체적인 예(한국어 교육에 적용 예)

4. 의사소통 교수법 구체적인 예(한국어 교육에 적용 예)

5.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장을 맞는 문장(A)과 틀린 문장(B)으로 나누어 보십시오. 번호를 쓰세요.
2. B의 틀린 문장을 친구와 함께 고쳐 보십시오.
3. 고치지 않은 문장과 문제 2번의 고친 문장을 종류별(種類別)로 두 개로 나누어 보십시오.
4. 문장에 공통점(共通點)이 있습니까?
4. 의사소통 교수법 구체적인 예(한국어 교육에 적용 예)
일반적으로 외국어를 공부 할 때 ‘의사소통’ 학습으로 단어를 자주 제시한다. 의사소통이란 언어 사용자가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언어를 사용하는 행위로서 크게 표현과 이해로 나뉜다. 언어는 사람들 간의 교류가 잘 진행하기 위하여 생긴 교류수단이다. 언어의 사용자는 언어를 능숙하게 사용하려면 그 언어의 의미, 표현방식, 문화까지 잘 알아야 쓸 수 있다. 또한 자기의 하고 싶은 말을 표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대방의 말에 대해서도 어울리는 답을 해야 하는 것이다. 언어 사용 기능을 신장 시키는 데에 있어서 어휘 사용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이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외국어 교육에서 속담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속담은 문어보다 구어에서 훨씬 더 자주 쓰이고 있으므로 속담 교육은 문자 언어를 사용하는 읽기와 쓰기보다 음성 언어를 사용하는 말하기와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더 많은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다양한 속담을 많이 알면 어휘력과 표현력을 신장시킬 수 있고 의사소통의 목적 중의 하나인 발신자와 수신자 간의 관계,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속담을 사용하면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된다.
외국인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배우는 과정에서 한국어로 의사소통의 능력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것이 문법, 어휘, 한국의 사회에 대한 이해, 문화 등에 대하여 이해력이 넓어지는 것으로 인해 한국어의 의사소통 능력이 늘어날 수 있는 것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속담을 교육할 때도 개인이 갖고 있는 한국어 실력은 한국어 능력 시험의 평가 기준에 있는 등급에 따라 진행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외국어를 배울 때 초급, 중급, 고급의 단계별에 따라 알아야 할 어휘의 양도 다르다. 또한 외국어 교육하는 데에 있어 교육용 어휘를 선정할 때 단계별로 선정하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하는 데에 있어서 한국어 능력과 수준에 맞는 교육용 속담을 선정해야 한다. 초급, 중급, 고급단계에서는 문법이나 어휘, 한국 사회 문화에 대한 이해 등 원인의 한정으로 인해 한국어 속담을 선정할 때는 각 요소를 다 고려해야 하는 것이 좋다.
① 한국어: 우물 안의 개구리
뜻풀이: 넓은 세상이 있다는 것을 몰라 생각의 폭이 좁은 사람들.
중국어로 제시: 우물(井) 안(里 )의 개구리(蛙)
중국어: 井底之蛙
② 한국어: 시작이 반이다
뜻풀이: 모들 일은 시작이 중요하다.
일을 시작하는 것은 어렵지만 일단 시작하면 이미 반은 한 것과 같다.
중국어로 제시: 시작(始作, 始)이 반( 半 )이다
중국어: 始是成功的一半
③ 한국어: 천리 길도 한 걸음부터
뜻풀이: 큰일도 작은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중국어로 제시: 천리(千里) 길(路 )도 한(一) 걸음(步)부터
중국어: 千里之行始于足下
④ 한국어: 해가 서쪽에서 뜬다
뜻풀이: 표현은 평소와 다르다는 표현이 빗대어 하는 말이다.
중국어로 제시: 해(太)가 서쪽(西)에서 뜬다(升起)
중국어: 太西出
5. 시사점
현재 한국어 교육의 흐름을 보면 의사소통적 맥락 안에서 문법 교수의 방향에 대한 논의는 많이 있다. 하지만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문법적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을 촉진하기 위한 문법 교수에 대한 논의는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런 현 시점을 바탕으로 최근 영어 교육 분야에서는 문법 교육의 흐름인 입력 강화와 문법 의식 상승과업에 대한 논의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문법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 학습 방법인 ‘문법 의식 고양 과업’을 제시하였다. 또한 실제의 교육 현장에서 문법 의식 고양 과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업 모형을 제시하고 실험을 하였다. 따라서 한국어 초급, 중급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문법 의식 고양 과업이 한국어 피동표현 학습과 의미 이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문법 지도 방안을 알아보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외국어 교수법 중 한국어 교육에 크게 영향을 끼친 교수법을 2개 골라 그 특징과 원리를 기술하고, 구체적인 예(한국어 교육에 적용 예)를 제시해 보았다. 한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에 있다. 한국어 문법 역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기초 지식으로서 의미를 가져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문법 교수의 최상의 방법은 수업 환경 속에서 또는 담화 맥락 속에서 학습자가 스스로 문법을 의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제2언어 습득 이론에서 제시하는 문법 학습 과정에 대한 모형은 학습자가 일방적으로 지식을 수용하는 것이 아닌 지식을 구성해 가는 능동적 입장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한국어 문법 교수는 학습자에게 문법 지식을 주입해 주는 것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한국어 문법 교수에 대한 이러한 관점은 교수가 학습자의 학습 과정을 고려하여야만 효과적이 될 수 있다. 이때 교수는 학습자에게 완성된 지식을 전수해 주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자신의 인지 과정 속에 지식을 구성해 갈 수 있도록 진행해야 한다. 그리고 학습의 주체는 학습자이므로 교수는 학습자의 능동성이 최대한 발현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정렬(2002), 영어교육론, 한국문화사.
김영만(2005), 한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도서출판 역락.
고영근 외(2008),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박혜숙(1998), 문법지도가 제 2언어습득에 미치는 영향, 영어교육.
최정순(2006),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교육과정과 평가, 이중언어학.
박덕재 외(2000), 영문법 교육의 실태와 개선방안, 인문사회과학논문집.
이해영(2001),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 이중언어학.
김중섭(2002), 한국어 읽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 21세기 한국어교육학의 현황과 과제, 한국문화사.

키워드

  • 가격3,6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4.09.12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96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