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커 디스플레이의 설계와 기대효과 (플라스틱기판, OLED, 전력 방식, 접착 방식, 모델 설명)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티커 디스플레이의 설계와 기대효과 (플라스틱기판, OLED, 전력 방식, 접착 방식, 모델 설명)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플라스틱기판
 2.2. OLED
 2.3. 전력 방식
 2.4. 접착 방식
 2.5. 모델 설명

3. 결 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초소수성을 가진 게코 도마뱀 발바닥을 모사한 인공 나노 섬모가 상용화 단계까지 개발된다면, 스티커 디스플레이의 접착 면으로 사용하여 쉽게 탈부착이 가능하고 접착의 흔적이 남지 않으며, 초소수성으로 인해 이물질이 묻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스티커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8]
2.5. 모델 설명
기본적으로 스티커 디스플레이의 위층에는 OLED 기판이 위치한다. 아래층에는 게코 도마뱀 접착제가 증착되는데 내구성이 뛰어나고, 접착력 또한 우수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우측에는 unflexible한 내장형 배터리를 부착하여 휴대에 용이하도록 설계하였다.
스티커 디스플레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첫 번째 조건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소스의 존재이다. 이를 위해 우리는 앞서 설명한 모듈에서 디스플레이까지 유선을 이용한 케이블을 설계하였다. 이 케이블은 모듈로부터 출력된 올인원 데이터 케이블이다. 유선의 경우, 무선에 비해 설치가 복잡하지만 많은 양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송신장치를 따로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신호의 끊김 없이 보다 안정적인 인터페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강점이 있다.
스티커 디스플레이는 가볍고, 설치가 간단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앞에서 언급한 유선 케이블로 인해 휴대성의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우리는 휴대용 배터리를 부착하여 유선 케이블이 없어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림 17.은 내장형 배터리의 충전원리를 나타내고 있다. 원기둥 형태의 배터리 중앙 부분에 선 커넥터를 연결함으로써 충전이나 데이터송신의 역할을 할 수 있다.
3. 결 론
스티커 디스플레이는 현재 디스플레이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뿐더러 미래형 디스플레이를 현실에 보다 폭넓고, 경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게 한다.
세대가 넘어감에 따라 디스플레이 기술은 발전하고, 기술적 패러다임이 변할 때 마다 우리는 기존의 디스플레이와는 확연히 다른 새로운 디스플레이 적용에 고심하게 된다. 기존의 공간구조를 완전히 뒤집어야 하는데 그에 따른 부가비용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스티커 디스플레이는 이러한 부분을 완전히 해결해 주었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스티커 디스플레이는 space-saving, flexible, durable한 부분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기에 하루빨리 스티커 디스플레이가 상용화 될 수 있기를 바라는 것이다.
우리가 설계한 스티커 디스플레이를 요약해서 정리하자면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해 OLED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것이다. 여기까지는 현재에도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방법이기 때문에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 생각되어진다. 가장 중요한 부착방식으로는 생체모방 기술을 이용한 게코 발바닥의 구조를 생각하였으며 디스플레이 소자와의 연결을 위해 열적인 문제의 해결을 위해 부가적인 열이 필요 없는 나노구조로 게코 발바닥 구조를 모사한 나노드로잉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생각을 하였으며, 전자제품에서 빠질 수 없는 전력공급의 문제는 평소에는 올인원 유선형 케이블을 통해 충전이 가능하게 설계하였고, 원기둥 형태의 휴대용 배터리를 장착시킴으로써 휴대용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참고 문헌
[1] 김기현 외 1명, “디스플레이용 플라스틱 기판의 현황”, 2009.
[2] 이준신 외 4명, “디스플레이 공학”, 홍릉과학출판사, 2009.
[3] 정찬덕, “안트라피라졸 화합물을 이용한 청색 유기전기발광물질의 합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 조선대학교, 2009.
[4] BACK LIGHT UNIT, 네이버 백과 사전, 2010,http://terms.naver.com/entry.nhn?cid=367&docId=503168&mobile&categoryId=367
[5] LG 55인치 OLED TV의 작동 원리, 네이버 블로그2012, http://narekata.blog.me/20148351993
[6] J. H. Kim, Chul lee, C. W. Lee, C. S. Kim, “Low Power Contrast Enhancement Algorithm for OLED Displays," KOREA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pp.284-294, Korea, Mar., 2012.
[7] 차태곤, 생체모방 나노구조 표면의 적심성 및 점착력 제어, 서울대학교대학원, 2009.
[8]김정훈 서갑양, 자연모사 바이오 접착 패치 개발, 서울대학교, 2011.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12.08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28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