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항생제를 이용한 항균실험 : 항생제는 미생물을 제거하거나 감염방지를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 항생제와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여 항생제에 대한 미생물의 감수성 정도 측정하고 항생제 항균능력 확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05.항생제를 이용한 항균실험 : 항생제는 미생물을 제거하거나 감염방지를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 항생제와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여 항생제에 대한 미생물의 감수성 정도 측정하고 항생제 항균능력 확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실험주제

2.실험목적

3.개요
1)화학요법
2)항생물질(항생제, 항미생물제)
3)항생제 감수성 검사
4)화학요법제의 효과
5)실험기구 및 시약

4.실험방법

5.실험결과

6.고찰

7.참고문헌

본문내용

량이 부족한 경우이다. 우리 조의 실험결과를 통해 보면 E.coli에서 Tetracycline의 항균작용은 2㎕, 4㎕에서는 나타나지 않다가 6㎕, 8㎕에서는 작용이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특정 미생물에 대해 항균력이 있는 항생제라도 항균제 용량을 적게 사용하면 작용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세 번째로, 항생제의 선택의 부적절이다. 각 미생물마다 가장 잘 작용하는 적절한 항생제가 있기 때문에 미생물에 맞지 않는 항생제를 사용할 시 항균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우리 조의 실험결과에서 E.coli Enterococus는 Ampicillin에서 저해가 전혀 일어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Ampicillin는 E.coli Enterococus에서 항균력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네 번째로, 내성균의 출현이다. 원래 특정 항생제에 항균작용이 일어나던 미생물인데 이 미생물에 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생기게 되면 이제 더 이상 그 항생제에 의해 항균작용이 일어날 수 없을 것이다. 다섯 번째로, 동일 균의 중복감염이다. 한번 항균제를 통해 항균작용이 일어난 곳에 동일한 미생물에 의해 다시 감염이 되었을 경우 실험결과가 제대로 확인 될 수 없다. 여섯 번째로, 디스크사이의 간격이다. 각 디스크에 투여되는 항균제의 용량이 다르기 때문에 항균제가 작용하고 퍼져나가는 범위도 다르게 된다. 그런데 디스크사이의 간격이 너무 가까우면 서로의 항균범위가 겹쳐 각 용량별로 어느 정도의 항균력을 갖는지 측정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번 실험은 간단하였지만 그렇게 때문인지 의문점들이 더 많이 생겼다. 먼저 실험이론에 대해 조사하는 중에 생긴 의문인데 첫 번째로, 약제내성이란 이론을 조사하였는데 약제내성이란 화학요법제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염색체나 플라스미드 전달 등에 의해 약제가 작용하지 않는 내성균이 증가하게 된 것이다. 약제내성이 증가하면 또 다시 새로운 항생제를 찾기 위해 연구를 해야 하는데 이를 조금이라도 예방하기 위해 약제내성을 줄이는 법을 알아보면 ⒜고농도의 약제를 체내에 오랫동안 유지하지 않음. ⒝2~3가지의 약제를 동시에 투약하지 않음. ⒞중요한 약제는 함부로 사용하지 않음.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결과에 따라 투약. ⒠항균제 판매 제도를 규제하고 감독하여 오용과 남용을 막음. 등이 있다. 두 번째로, 이론을 조사하면서 알게 된 선택 독성에 관한 것인데 선택 독성이란 항생 물질이나 화학 요법제가 특정한 병원균이나 암세포 따위에는 독성을 나타내지만 다른 유익한 균이나 정상 세포에는 해를 주지 않는 성질을 말한다. 선택 독성이 우수할 수 록 이에 따른 부작용이 작다. 이러한 선택 독성의 작용원리를 알아보면 세균세포와 동물세포간의 차이에 의해 선택 독성을 일으킨다고 한다. 이 둘의 차이는 동물세포는 세포벽이 없고 세균의 세포벽에는 펩티도글리칸이라는 층으로 이루어진 두꺼운 세포벽이 존재한다. 이 세포벽에 의해 대사를 일으키는 방법의 차이가 생기고 세포벽 투과성의 차이가 있다. 즉, 화학 요법제는 이러한 세균세포와 동물세포의 차이를 알고 알맞게 작용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 실험을 하는 중에 배지의 양이 항생제의 작용에 영향을 줄까하는 생각이 들었다. 배지의 양과 항생제의 작용의 관계는 결론은 관계없음이다. 배지가 두께가 얇던지 두껍던지 균이 배양되는 동안 배지가 마르지만 않으면 균의 배양되는데 문제가 없다. 혹시 항균제의 작용이 의심스러운 경우에는 배지의 양보다 배지의 방치기간을 의심할 수 있다. 배지는 만든 지 얼마 안 된 것일 수 록 실험의 사용에 적합한데 이번 실험에서는 배지를 오랫동안 방치했을 경우 항생제의 활성이 떨어지거나 저항 균이 생겨 실험의 결과에 영향을 줬을 수 있다. 네 번째로, 항생물질의 유해 작용이다. 항생제는 미생물의 의한 질병의 치료에 반드시 필요한 것 이지만 장기간 복용과 남용 시 약제내성이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부작용에 의해 질병이 완치되지 않았음에도 완치된 것처럼 보여 진단에 어려움을 줄 수 있고 내성균이 과잉 성장하여 약제 감수성 균이 사멸되고 내성균의 증가로 인해 감염이 유발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항생제를 사용할 때는 체질에 맞게 사용량을 너무 과하지 않게 적당히 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다섯 번째로, Control을 두는 이유이다. 실험을 할 때 배지의 가운데에 메탄올로 적시는 Control 부분을 두는데 이 부분을 두는 이유는 control을 통하여 실험 결과가 항생제에 의해서만 나타난 것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control부분이 오염되거나 반응이 일어나게 되면 디스크 주위의 반응이 항생제에 의한 것이 아니라 다른 원인에 의해 일어난 작용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비교적 간단하고 시간과 노력이 적게 드는 쉬운 실험으로 간단하여 널리 사용되는 실험이지만 항균력을 확인하고 각각 미생물에 따라 작용하는 항생제의 종류가 다르고 항생제의 작용능력도 달라진다는 사실 등을 알 수 있는 다양한 것을 알게 해 준 유용한 실험 같다. 또한 이러한 항균성 실험은 각각 미생물에 적합한 항생제를 찾아내고 질병에 맞는 항생제 처방을 통해 질병의 치료에도 이용된다. 비록 실수한 부분이 많아 실험결과가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실험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실험이었다.
7.참고문헌
-김영권 저, 병원 미생물학, 청구문화사, 2003, p.151~173
-김정엽 남혜봉 윤기주 저, 최신병원미생물학, 청구문화사, 2005, p.151~161
-김석홍 외 12명 공저, 병원미생물학, 청구문화사, 2003, p.201~219
-김승곤 외 5명 공저, 최신병원미생물학, 고문사, 2000 p.109~131
-이건섭 저, 병원 미생물학, 고려의학, 2002, p.151~140
-위키백과, 2001 http://www.wikipedia.org
-doopedia 두산백과, 두산동아 2010
-Clark, Martinko, Dunlap, Madigan 저, Brock의 미생물학, 바이오사이언스, 2009.04.15
-대한간호학회편, 간호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화학용어사전편찬회, 화학용어사전, 일진사, 2011
-강영희, 생명과학대사전, 아카데미서적, 2008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5.04.30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58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