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실습 Ⅰ] 신생아실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신생아 케이스,A+ 정상 신생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간호학 실습 Ⅰ] 신생아실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신생아 케이스,A+ 정상 신생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상 신생아
2. 문제 신생아

Ⅱ. 간호사정

Ⅲ. 간호진단
1. 체온조절 미숙과 관련된 체온조절 장애 위험성
2. 기저귀 발진, 피부 짓무름과 관련된 피부손상
3. 면역학적 방어결핍과 관련된 잠재적 감염위험성

Ⅳ. 간호과정

참고문헌

본문내용

후 젖은 옷은 곧 바로 갈아입혀 주었다.
4-2. 대,소변으로 인해 젖은 일회용 기저귀와 옷은 곧 바로 갈아입혀 주었다.
5. 신생아실의 온도를 26 c로 맞추었다.
5. 이론적 근거
1. 체온을 주기적으로 사정해 변화양상을 확인한다.
2. 신생아는 머리로 체온이 가장 많이 발산된다.
3. 몸에 묻은 기화열로 인해 신생아는 체온이 변화된다.
4. 젖은 옷은 몸의 온도를 낮춘다.
5. 24 c~26 c의 온도는 는 아기에게 가장 적합한 환경이다.
6. 평가 (EVALUATION)
1. 체온을 4시간 마다 측정하고 기록하였으며 그 결과 체온이 36.8 c로 정상범위에 머물렀다.
수립완료
- 2013. 08. 19
1. 활력징후 Vital Sign
날짜 / 시간
체온( c)
2013. 08. 19
11:30
36.3
15:30
36.4
2013. 08. 20
11:30
36.6
15:30
36.8
20:00
36.8
2. 아기에게 손수건을 올려 머리에 싸주고 담요를 덮어주었고 4시간 후에 체온을 측정한 결과 36.4 c로 체온이 0.1 c 올랐다. 그 후 지속적으로 체온을 측정해 기록한 결과 신생아의 체온이 정상범위인 36.5 c 이상을 유지하였다.
수립완료
- 2013. 08. 19 (SN 어혜림 시행)
3. 목욕 후 수건으로 신생아의 몸을 깨끗이 닦아주었고, 지속적으로 체온을 모니터한 결과 신생아의 체온이 정상범위인 36.5 c 이상을 유지하였다.
수립완료 (RN 시행)
- 2013. 08. 19
4. 수유 후, 대소변 후 곧 바로 젖은 옷을 갈아입혀 주었고 그 결과 신생아의 체온은 36.5 c이상으로 정상범위가 유지되었다.
수립완료
- 2013. 08. 19 (SN 어혜림 시행)
5. 신생아실의 온도를 23 c에서 25 c로 올려주었고 그 결과 신생아의 체온이 정상범위를 유지하였다.
수립완료
- 2013. 08. 19 (RN 시행)
# 2. 체온조절 미숙과 관련된 체온조절 장애 위험성
1. 사정 (ASSESMENT)
주관적 자료 (Subject data)
객관적 자료 (Objective data)
-
- 분만형태 : C/S
재태기간 : 38주 + 6일
출생 후 2일 지남.
- 저체중출생아 (2440g) 으로 감염에 취약함
- anus 주위에 redness 관찰됨.
- 겨드랑이주위에 redness 관찰됨
- 잦은 외부환경 및 방문객과의 접촉이 많음.
2. 진단 (DIAGNOSSIS)
정의
위험요인
특성
인체에 병원체가 침범할 위험이 높은 상태
- 침습적 시술
- 조직 파괴와 환경에
노출 증가
- 양막 파수
-
3. 계획 (PLANNING)
간호목표
신생아의 감염 위험성이 없다.
기대되는 결과
신생아는 대상자는 감염의 증상과 징후가 없다.
간호계획
1. 기저귀 발진 주위를 깨끗한 물로 닦아준다.
2. 왼쪽 겨드랑이부위를 밖으로 꺼내어 건조시킨다.
3. 신생아에게 무균적 간호술을 제공한다.
4. 방문객에게 신생아를 면회 할 때에 손소독제를 사용해야함을 교육한다.
5. 신생아의 체온을 4시간마다 측정하고 기록한다.
6. 신생아실의 환경을 온도는 25 c, 습도 50%로 맞춘다.
4. 수행 (IMPLEMENTATION)
1. 기저귀 발진 주위를 기저귀를 갈 때 마다 깨끗한 물티슈로 닦았다.
2. 왼쪽 겨드랑이부위를 꺼내놓아 건조를 시켜주었고, 백색바세린을 발라주었고 손싸개를 해주었다
3. 신생아에게 무균적 간호술을 제공한다.
3-1. 눈간호를 시행하였고 토브라마이신을 점안하였다.
3-2. 제대를 하루에 한번 day 근무 시 알코올솜으로 소독하였다.
3-3. 신생아에게 수유 할 때에 일회용 앞치마와 멸균글러브를 착용하였다.
3-4. 기저귀를 갈 때에 손소독제를 사용하였다.
4. 신생아를 면회할 때에는 손소독제를 사용함을 교육하였다.
5. 신생아의 체온을 매 duty 4시간 마다 측정하였고 기록하였다.
5. 이론적 근거
1. 기저귀 발진 부위를 통한 감염을 막기 위함이다.
2. 겨드랑이 발진 부위를 통한 감염을 막기 위함이다.
3. 4. 무균법과 손씻기는 감염을 예방한다.
5. 체온의 상승은 감염의 징후이다.
6. 평가 (EVALUATION)
1. 기저귀를 갈 때마다 물티슈로 닦아주었고, 백색바세린을 발라주고 하루 후에 발진부위를 관찰했을 때 redness 가 전날보다 가라않았다.
수립완료
- 2013. 08. 21 (SN 어혜림 시행)
2. 왼쪽 겨드랑이부위를 꺼내놓아 건조를 시켜주었고, 백색바세린을 발라주었고 손싸개를 해주었다. 그 결과 redness 가 전날보다 가라않았다.
수립완료
- 2013. 08. 21 (RN 시행)
3-1. 신생아에게 눈간호 할 때에 토브라마이신을 점안했으며 그 결과 신생아 안염의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수립완료
- 2013. 08. 21 (RN 시행)
3-2. 제대를 하루에 한번 day 근무 시 알코올솜으로 소독한 결과 제대감염의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수립완료
- 2013. 08. 21 (RN 시행)
3-3. 신생아에게 매수유 할 때에 일회용 앞치마와 멸균글러브를 사용하였으며 손을 통한 감염의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수립완료
- 2013. 08. 21 (SN 어혜림 시행
3-4. 기저귀를 갈 때에 손소독제를 사용하였고 손을 통한 감염의 증상을 보이지 않았다.
수립완료
- 2013. 08. 21 (SN 어혜림 시행
4. 방문객에게 면회시에 손소독제를 사용해야함을 교육하였고모든 방문객은 손소독제를 사용함을 확인하였다.
수립완료
- 2013. 08. 21 (SN 어혜림 시행
5. 신생아의 체온을 매 duty 4시간 마다 측정하였고 기록하였고 그 결과 체온의 정상범위 이상의 상승을 보이지 않았다.
1. 활력징후 Vital Sign
날짜 / 시간
체온( c)
2013. 08. 19
11:30
36.3
15:30
36.4
2013. 08. 20
11:30
36.6
15:30
36.8
20:00
36.8
수립완료
- 2012. 08. 31
# 3. 면역학적 방어결핍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 참고문헌
아동건강간호학 총서3 신생아 간호, 김미예 외 10명, 군자출판사, 2011
NANDA 간호 진단과 중재 가이드, 김강미자 외, 현문사, 2006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5.05.07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6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