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평가 evaluation policy] 계획의 평가(계획평가) - 평가의 의의, 평가기준, 절차 및 유형, 주요 평가방법, 평가의 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책평가 evaluation policy] 계획의 평가(계획평가) - 평가의 의의, 평가기준, 절차 및 유형, 주요 평가방법, 평가의 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책평가] 계획의 평가

I. 평가의 의의
 1. 평가의 정의
 2. 평가의 목표

II. 평가기준, 절차 및 유형
 1. 평가기준
 1) 과정성에 기초한 평가기준
 2) 합리성에 기초한 평가기준
 2. 평가절차
 3. 평가유형
 1) 평가자 소속에 따른 평가기준
 2) 평가 수행 횟수에 따른 평가유형
 3) 학자에 의한 평가유형

III. 주요 평가방법
 1. 실험설계의 논리
 2. 실험설계에서 조절되는 요인들의 유형
 3. 실험설계의 유형
 1) 소집단설계
 2) 비동질 두집단의 설계
 3) 순수실험
 4. 실험설계의 계획기준

IV. 평가의 활용
 1. 평가활용의 개념
 2. 평가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문내용

the population's awareness of being evaluated)이다. 정
책 또는 프로그램은 실험에 대한 인식보다는 특별한 계획 또는 프로그램에 의해 평가된
행위에 반응하게 되는데. 이 현상을 호손효과(Hawtone effects)라고 한학.
다섯째, 자기선택(self-selection)이다. 이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주어진 정책에
그들 자신을 노출하기 위한 개인의 경향이다. 이는 자발적인 계획의 요소이기도 하다.
3. 실험설계의 유형
(1) 소집단설계(one-group design)
계획의 집행 전과 집행 후의 상태를 측정한 다음 이들 두 측정간의 차이를 계획의
효과성의 범위로 나타내는 것이다. 이 설계(design)는 계획 또는 프로그램 전후 여러 시
점에서 측정할 수 있고 사전사후설계(before and after program design)와 시계열설계
(time series design)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한편 오직 모집단이 고정되어 있을 때 통
제가 가능하다.
(2) 비동질 두집단의 설계(nonequivalent two-group design)
먼저 모집단에서 선택한 두 집단의 계획 또는 프로그램을 제외한 상태에서 가능한
모든 특성을 연계시켜. 집단들 간의 사건을 자연적 과정을 통해 형성시킨다. 이 설계는
자기선택(self-selection)을 위해 통제할 수 없고 집단도 동등하지 않고, 집행 전에 사용
하면 자연실험(natural experiment)이 되고 집행 후는 사용하면 사후실험 (expost facto
experiment)이 된다. 그리고 이 설계는 정적인 특성, 동적인 특성 그리고 환경적 사건을
통제한다.
(3) 순수실험(Pure or controlled experiment)
이 설계는 다섯 가지 조절 요소를 모두 사용한 방법으로 평가시 각 집단은 모수가
된다. 즉, 두 집단 설계(two-group design)에서는 계획에 노출된 한 집단에 인구의 수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할당한다.
4. 실험설계의 계획기준
주어진 계획 또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계획을 세움에 있어 사용되는
기준은 추를능력, 실무적 능력, 무작위 추출능력, 그리고 설계의 효율성 등이 있다.
첫째, 추론능력(ability to infer)은 계획의 원인이 되는 요소를 자연적 사건에 근거
하여 유추하는 능력이다.
둘째, 실무적 능력(Practical ability)은 둘 또는 그 이상의 비교소집단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셋째, 무작위 추출 능력(ability to randomize)은 계획 또는 프로그램의 평가를 노출
시키며, 일정한 계획안을 다루는데 있어 무작위하게 추출하여 각 집단 또는 계획안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을 결정하는 능력을 말한다.
설계의 효율성은 계획기준의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집단설정과 변화측정의 비
용측면에서 한 집단은 적은 비용이 들고, 네 집단은 더 많은 비용이 든다. 계획대안을 선택할 때 각 계획대안의 효과성을 측정하여 비용이 적게 드는 계획을 선택한다.
IV. 평가의 활용
계획의 평가부문은 답을 요구하는 특별한 질문(the particular questions to be
answered), 사용되는 설계유형(the type of design to be used), 자료를 뽑아내는 자원
(the sources to be drawn on for data), 평가기간(the timing of the evaluation), 평가수
행을 위한 책임할당(the assignment of responsibility for carrying out the evaluation)
등의 요소를 확실히 해야 한다.
1. 평가활용의 개념
평가결과의 활용이라는 개념은 크게 협의의 개념과 광의의 개념으로 구분하여 살펴
볼 수 있다.
협의적 차원의 평가결과의 활용은 평가보고서에 제시된 결론이나 건의에 따라 즉각
적으로 해당하는 계획이나 프로그램과 관련된 어떤 결정을 내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
한 입장은 특히 평가이론이 대두되었던 초창기에 많이 논의되었으며, 현재도 평가결과
의 활용에 있어 주류를 이루는 견해이기도 하다(김명수, 2000; 烈4). 이와 같이 협의적
차원의 평가결과의 활용은 실제적인 사업 및 프로그램의 성패여부에 대한 판단문제와
평가결과에 의한 계획 및 사업의 존폐결정이라는 한계점도 가지고 있다.
광의적 차원의 평가결과의 활용은 협의적 차원의 평가결과의 활용이 가지는 한계점
을 보완하는 것으로 수단적 활용(instrumental use)과 개념적 활용(conceptual use)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김명수. 2000: 214). 수단적 활용이란 평가에서 제시된 결론을
특정한 결정에 적용하는 것을 의미하고 개념적 활용이란 평가결과가 어떤 특정한 결정
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계획결정가나 사업관리자와 같은 평가결
과의 이용자들의 평가대상 사업 및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2. 평가결과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평가결과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적실성(relevance), 적시성(timeliness), 평가연구방법의 질, 의사소통(communication), 그리고 개인적 요인(Personal factor) 등이 있다.
첫째, 적실성은 평가가 어느 정도 평가결과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고 있는가에 관한 것으로, 적실성이 높으면 높을수록 평가결과의 활용가능성은 높아진다.
둘째, 적시성은 평가가 얼마나 시기적절했는가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는 학자에 따라 평가결과의 적시성과 평가보고서의 적시성에 대해 의견이 상반되기도 한다.
셋째. 평가연구방법의 질은 평가에 사용된 방법론의 문제로 그 수준이나 질이 높으면 높을수록 평가결과에 대한 활용은 증대된다.
넷째. 의사소통은 평가자와 평가결과 이용자 사이의 의사전달과정을 의미하며, 의사소통빈도가 높고 의사소통이 직접적이며, 의사소통방법이 용이할수록 평가의 활용은 증대된다.
다섯째, 개인적 요인은 잠재적 이용자의 지도력, 관심. 열의, 결의, 적극성 그리고 호의 등을 의미하며. 이의 정도에 따라 평가의 활용에 차이가 생긴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06.21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40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