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자료★[미술치료의 적용-치매환자 적용] 치매의 증상, 치매의 개념, 치매 환자의 미술치료 적용 사례 분석 - 치매의 증상 & 치료 적용 사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추천자료★[미술치료의 적용-치매환자 적용] 치매의 증상, 치매의 개념, 치매 환자의 미술치료 적용 사례 분석 - 치매의 증상 & 치료 적용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치매 환자의 미술치료 적용 사례 분석


[목 차]

개요

치매의 증상
1) 기억력의 감퇴
2) 언어의 장애
3) 시공간 능력의 장애
4) 실행능력의 장애
5) 행동 및 인격의 변화
6) 판단력 장애
7) 일상생활능력의 장애

치료 적용 사례 :
1. 치료과정
1) 선에 대한 연상 : 점-선(직선과 곡선)-삼각형
2) 자신에 대한 관찰 : 손 그리기
3) 계절에 대한 감각 : 봄- 여름 - 가을 - 겨울
4) 명절에 대한 추억 : 설-보름-추석-한식
2. 치료 성과

출처

본문내용

까지 상기시킬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치료사의 많은 관심과 칭찬, 격려가 필요하다.
치매미술치료 소개
준비된 윤곽선 위에 두 개의 가면 그리기
- 이 두가면에는 말을 하지 못하는 환자처럼 입이 눈에 띄게 결여되어 있다. 이것은 언어를 사용할 수 없는 좌절감과 상실감에 대한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치료 적용 사례 :
1. 치료과정
1) 선에 대한 연상 : 점-선(직선과 곡선)-삼각형
원 - 원을 반복적으로 그리게 하여 포도송이, 나이테, 비누방울 등을 연상하게 한다.
직선 - 직선의 방향과 길이에 따라 이슬비, 소나기, 장마, 번개 또는 창호지 문의 빗살무늬를 연상시킨다.
곡선 - 곡선을 연결시켜서 다양한 도형을 만들어내게 한다. 바람, 구름, 무지개, 파도, 넝쿨 등을 연상시킨다.
삼각형 - 직선의 연결로 삼각형을 그리게 하고, 삼각형을 이어 새로운 대상을 그리게 한다. 예를 들어 산이나 별, 나비의 날개를 표현하게 한다.
점 찍기는 경증이나 중증의 치매노인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 과정은 크레파스에 대한 친숙함을 가지게 할 뿐만 아니라 그림에 대한 친숙함도 가지게 한다.
그 뒤 점을 이어 직선을 긋게 하고 직선을 이어 곡선을 그으면서 노인들은 율동감을 느끼게 된다. 표현하는 것이 단순할 수록 내면의 상태가 더 잘 드러난다. 신경질적으로 점을 찍는 모습이나, 점과 점을 이어 직선을 그리게 하는 것, 곡선을 다양하게 표현하는 것들을 통해 노인의 본능적인 방어의식을 발견할 수 있다.
김00(여89세)할머니의 그림.
점 잇기에서 시작해서 원을 그리고 색칠하는 과정에서 색채의 표현이 다양해졌다. 이후에는 자신이 그린 원 그림에 ‘감’이라는 의미를 부여했다. 그리고 이 모든 과정을 거쳐서 그릇에 담긴 음식들을 표현하는 데 이르렀다.
2) 자신에 대한 관찰 : 손 그리기
그리는 과정에서 자신의 손을 관찰하고 바라보게 하여 자기를 인식하게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그림을 그리고 있는 현재의 자신을 인식해야, 과거를 떠올리는 과정들이 단순한 회상이 아니라 현재의 나를 재발견하게 하기 위한 작업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손을 어떤 색상으로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따라 노인들의 심리상태를 엿볼 수 있다. 치매노인들의 대부분은 우리의 생각과는 달리 눈에 보이는 그대로의 색채를 선택하여 그리지 않는다.
천00(여89세)할머니가 그린 손.
손을 대고 그렸음에도 그 형태가 일정하지 않다. 그러나 손을 그리는 색의 선택에 있어서 사물을 이해하고, 나에 대한 긍정적 인식도 생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자기에 대한 애정은 자기를 더 예쁘게 그리고 싶어하는 모습에서 드러난다. 맨 처음 그림에서는 붉은 색을 통해 시각의 자극을 강하게 하는 색상을 선택하여 그렸다. 그러나 남편을 사별하고 나서 자신의 손도 검은색을 선택하여 칠하면서 죽음의 문턱에 선 자신에 대한 쓸쓸함과 우울함을 표현하였다. 그러나 곧 손에 대한 색의 인지활동이 일어나고 나중에는 손에 물들인 봉숭아물까지 표현하는 섬세함을 보이게 되었다.
3) 계절에 대한 감각 : 봄- 여름 - 가을 - 겨울
계절 감각을 키우기 위해서 먼저 그 때의 구체적인 대상을 상기시켜야 한다. 치매노인들의 경우 기억력이 감퇴하고 표현력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치료사들이 구체적인 대상을 제시해주어야 한다. 노인들은 제시된 대상을 그리면서 그 계절을 떠올리고 추억까지 되새겨보게 된다.
4) 명절에 대한 추억 : 설-보름-추석-한식
설 - 가족과 함께 설빔을 입은 모습을 그리게 하고, 설날 했던 놀이들을 생각하게 한다.
보름 - 보름에 먹던 부럼으로 잣이나 호두를 먹고 싶은 만큼 그려보게 한다. 부럼을 그린 개수를 세어보게 하여 숫자의 개념도 상기시킨다.
추석 - 송편이나 송편에 넣는 재료 또는 추석에 떠오르는 모습들을 생각하게 한다.
한식 - 차례상을 그려보게 하고, 제사를 드리는 모습을 생각하게 한다.
5)사람에 대한 애정 : 가족, 친구, 주변인
가족, 친구와 같은 사람들의 얼굴을 그리도록 한다. 치매노인들에게는 가족들의 얼굴을 하나하나 떠올리는 것만으로도 힘들어할 수 있으므로 가족의 얼굴만 그리고 이름을 기억하게 하는 것을 중점적으로 지도해야 한다.
2. 치료 성과
동일한 주제를 각 시기마다 어떻게 그렸는지 비교해보면 알 수 있다.
선의 모양과 굵기를 통해 자신감의 향상을 발견할 수 있고, 표현력이 풍부해졌다면 관찰력이 향상되었다고 짐작할 수있다. 비교적 단순한 대상을 그린 그림을 비교해보면 보다 분명하게 색채 인식의 발달정도를 알 수 있다.
천00(89세) 할머니의 보리밭
처음에는 보리밭이 어떠했는지 잘 그려내지 못했다. 다만 녹색의 이미지만을 떠올렸다. 치료사는 할머니에게 보리밭에 대한 기억을 표현하도록 도와주었고 치매미술치료의 과정이 얼마간 지속되고 난 후, 다시 보리밭에 대한 주제를 제시했을 때는 기억의 표현이 확연하게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보리를 구체적으로 표현하였고, 보리밭을 날아다니는 새나 주변의 나무까지 그렸다. 선에 힘이 실려 굵고 분명하게 형태를 나타내도록 그림을 그렸다.
이00(남88세)할아버지의 감나무
치료 초기에 나무를 그린 그림을 보면 줄기는 파란색, 열매는 빨간색으로 표현하여 매우 대조적인 색상으로 표현하였다. 정교하거나 섬세한 표현은 담겨있지 않다. 그러나 두 번째 작품부터는 나무의 형체와 잎의 색을 분회하여 그리는 단계로 발전하게 된다. 세 번째 작품에는 땅의 지면이 표현되고, 이후에는 땅에 떨어진 낙엽까지 그렸다. 그리고 마지막 작품에서와 같이 어릴 적 그네를 타는 모습을 봤던 것을 기억하고 표현하기에 이르렀다.
개별적인 나무라는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나무를 이루고 있는 가지와 잎에 대한 관찰에서 지면, 낙엽에 이르기까지 관심의 폭이 확장되고, 또한 그네 타는 아이까지 연상하는 단계로 나아가게 된 것.
출처
오병훈, 대한임상미술치료학회[2006] 학술교육원
치매와 미술치료; 언어가 그 의미를 잃었을 때. 루스 아브라함 지음
미술치료와 치매예방 -크레파스화를 이용한 회상요법-, 신현옥 지음
김형희, 최외선, 한국미술치료학회 2010, 색채경험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
  • 가격2,2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5.06.25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46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