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막상 출혈 Epidural Hematoma : EDH - 중환자실 케이스 CASE STUDY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막상 출혈 Epidural Hematoma : EDH - 중환자실 케이스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문헌고찰

Ⅳ. 사례보고
1. 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
5. 평가

Ⅴ. 결론

Ⅵ. 피드백

Ⅶ. 느낀점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
⑥ NRS를 재평가함으로써 통증의 강도를 확인한다.
[성인간호학Ⅱ. 현문사]
수행
① 통증의 부위와 지속시간을 관찰하고 보고함
- 머리 부위. 5분 이상 지속되는 두통. 지끈지끈하고 욱신거리며 아픔.
혈압
맥박
호흡수
체온
14:00
127/83
84
18
36.6
16:00
128/108
109
18
36.7
18:00
102/67
87
21
36.4
20:00
111/61
84
20
36.8
② 2시간마다 활력징후 측정함
③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교육함
- 심전환요법, 오락 활동, 심상법, 심호흡
④ 비약물적 요법을 시행한다.
- 체위변경, 정서적 지지, 이완요법, 관찰)
⑤ 처방에 따라 투약하고 그 효과와 부작용을 모니터함
- 디클로페낙나트륨주 투여)
⑥ NRS를 재평가 함
평가
NRS 상 7점에서 3점으로 감소함 - 미달성
대상자는 ‘아까보단 덜 아파’라고 말씀하심 - 달성
2) 간호과정 Ⅱ
자 료
수 집
주관적 자료(S.D)
“한 번만 도와줘”
“몸에 힘이 안 들어가”
객관적 자료(O.D)
편측마비
장기간 침상안정
체위변경에서도 도움이 필요함
간호진단
신경학적 장애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간호목표
장기: 퇴원 시 까지 스스로 걸어 다닐 수 있다.
단기: 2주(3/5~3/13일) 안에 대상자 스스로 앉을 수 있다.
간호계획
① 2시간마다 환자의 체위를 변경한다.
② 자기간호 활동을 격려한다.
③ 활동수준을 높이도록 격려한다.
④ 운동 시 곁에서 지지하여 준다.
⑤ 하루에 두 번씩 모든 관절에 대하여 능동적 또는 수동적 관절 운동을 물리치료사에게 의뢰한다.
이론적 근거
① 부종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② 돌아눕기, 앉기를 혼자 할 수 있도록 방법을 알려줌으로써 자 기간호 활동을 강화시킬 수 있다.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③ 일상생활 동작을 능동적으로 수행하면 근골격계, 호흡계, 순환 계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④ 환자의 자존감을 증진시키고 운동의 동기를 유발한다.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⑤ 정상적인 근골격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관절 움직임의 유지, 근 육 긴장도의 유지, 뼈의 성장과 생성을 위한 물리적 스트레스 가 필요하다.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출판부]
수행
14:00
앙와위
16:00
좌측위
18:00
우측위
20:00
앙와위
① 2시간마다 환자의 체위를 변경함
- 활력징후 측정 후 체위 변경
② 자기간호 활동을 격려함
- 마비가 되지 않은 오른 손으로 몸을 지지하며 앉을 수 있도 록 설명함
- 필요 시 도움을 요청하라고 교육함
③ 활동수준을 높이도록 격려함
④ 운동 시 곁에서 지지함
⑤ 하루에 두 번씩 모든 관절에 대하여 능동적 또는 수동적 관절 운동을 실시함
- 물리치료사가 오전과 오후에 운동을 적용하기 위해 다녀감
평가
대상자 스스로 퇴원 시 까지 걸을 수 있다. - 미달성
대상자 스스로 앉을 수 있다. - 달성
3) 간호과정 Ⅲ
자 료
수 집
주관적 자료(S.D)
“한 번만 도와줘”
“몸에 힘이 안 들어가”
객관적 자료(O.D)
거동이 제한되어 있음
편측마비 있음
중환자실의 모든 환자는 낙상 고위험군임
침대에서 이동 침상으로 이동 시 세 분이 대상자 옮김
간호진단
기동 장애와 관련한 낙상 위험성
간호목표
장기: 퇴원 시 까지 낙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단기: 2주(3/5~3/13일) 동안 낙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간호계획
안전한 환경을 제공한다.
간호사 호출기를 손 닿는 곳에 둔다.
낙상 방지 교육을 한다.
2시간 마다 대상자를 관찰한다.
침상에서 침대로 이동시 넷 이상이 대상자를 옮기도록 한다.
이론적 근거
안전한 환경은 낙상 위험을 감소시킨다.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2011)]
호출기 사용으로 응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2011)]
교육을 통해 경각심을 갖게 한다.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2011)]
안전한 환경은 낙상 위험을 감소시킨다.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2011)]
안전한 환경은 낙상 위험을 감소시킨다.
[서울대학교병원 간호본부 엮음(2011)]
수행
안전한 환경을 제공함
- 낙상고위험 표지판을 환자의 침상에 부착함
- 소지품을 환자 가까이에 배치함
- 침대바퀴 고정하기
- 수액이나 액체가 바닥에 떨어지면 즉시 닦음
간호사 호출기를 손 닿는 곳에 둠
낙상 방지 교육을 함
- 침상 난간 올리기, 낙상 위험요인과 낙상 시 문제를 교육함
2시간 마다 대상자를 관찰함
- 활력징후 측정하며 대상자의 자세와 위치, 주변 환경을
관찰함
침상에서 침상으로 이동시 다섯 이상이 대상자를 옮김
평가
퇴원 시 까지 낙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 미달성
2주(3/5~3/13일) 동안 낙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 달성
Ⅴ. 결론
본 연구 대상은 EPIDURAL HEMATOMA; EDH 으로 진단된 65세 여성으로 2015년 3월 6일 동군산병원에 내원하였다. 대상자는 내원 당일 오후 2시 경 방안에서 문턱에 끼면서 S/D(slip down)이 발생하여 Lt side seakness와 scalp swelling을 주호소로 local 의원 방문하여 괜찮다는 설명을 듣고 귀가하였으나 상기증상이 심해져 본원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그래서 이 대상자의 주호소인 편마비와 수술 후 통증, 변비라는 간호진단을 내리고 통증과 변비, 기동성의 관리 중재를 계획하였다.
대상자의 통증완화와 배변을 지지하였고 활동성 증가를 위해 관절범위 운동을 실시하였다.
Ⅷ. 참고문헌
- 박승규 외 5명(2003). 소형 개두술을 이용한 급성 경막외 혈종의 수술(2003).
J Korean Neurosurg Soc 33 : 108-110
- 조경숙 외 공저(2013). 여섯째 판 성인간호학 하권. 서울. 현문사. P 684-704
- 서울대학교병원 편(2001).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 차영남 외 공저(2013). 제 3판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현문사.
- 최순희 외(2014). 제 3판 간호과정. 서울. 현문사.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5.07.21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72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