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의 정의와 위해분석(HA)와 중요관리점(CCP)의 개념을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2. HACCP의 7원칙을 구분하고 각각을 설명하시오.
3. 최근 편의점에서 많이 소비되고 있는 신선한 채소만으로 만든 채소샐러드와 냉동 새우를 활용한 새우튀김은 조리공정분류상 채소샐러드는 비가열 조리공정, 새우튀김은 가열조리공정에 해당한다.
1) 채소샐러드와 새우튀김의 조리공정을 비교하여 조리공정단계별로 주의하여야 할 점을 설명하시오.
2) 채소샐러드와 새우튀김에서 위생적으로 가장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각각 설명하시오.
3) 조리종사자가 채소샐러드와 새우튀김을 모두 만들 때 개인 위생 및 시설 위생 측면에서 위생 관리상의 주의점을 설명하시오.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참고자료1.HACCP 7원칙.hwp
참고자료2.HACCP의 7원칙.hwp
참고자료3.HACCP의 도입 현황.hwp
참고자료4.HACCP의 도입효과.hwp
참고자료5.HACCP의 배경.hwp
참고자료6.HACCP의 위해분석.hwp
참고자료7.HACCP의 필요성.hwp
참고자료8.HACCP적용을 위한 정부의 역할.hwp
참고자료9.HACCP제도의 발전에 대한 제언.hwp
참고자료10.HACCP제도의 역사.hwp
참고자료11.HACCP제도의 정의.hwp
참고자료12.식품위생 및 안전관리.hwp
참고자료13.위해요소에 대한 안전성평가 방법.hwp
2. HACCP의 7원칙을 구분하고 각각을 설명하시오.
3. 최근 편의점에서 많이 소비되고 있는 신선한 채소만으로 만든 채소샐러드와 냉동 새우를 활용한 새우튀김은 조리공정분류상 채소샐러드는 비가열 조리공정, 새우튀김은 가열조리공정에 해당한다.
1) 채소샐러드와 새우튀김의 조리공정을 비교하여 조리공정단계별로 주의하여야 할 점을 설명하시오.
2) 채소샐러드와 새우튀김에서 위생적으로 가장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각각 설명하시오.
3) 조리종사자가 채소샐러드와 새우튀김을 모두 만들 때 개인 위생 및 시설 위생 측면에서 위생 관리상의 주의점을 설명하시오.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참고자료1.HACCP 7원칙.hwp
참고자료2.HACCP의 7원칙.hwp
참고자료3.HACCP의 도입 현황.hwp
참고자료4.HACCP의 도입효과.hwp
참고자료5.HACCP의 배경.hwp
참고자료6.HACCP의 위해분석.hwp
참고자료7.HACCP의 필요성.hwp
참고자료8.HACCP적용을 위한 정부의 역할.hwp
참고자료9.HACCP제도의 발전에 대한 제언.hwp
참고자료10.HACCP제도의 역사.hwp
참고자료11.HACCP제도의 정의.hwp
참고자료12.식품위생 및 안전관리.hwp
참고자료13.위해요소에 대한 안전성평가 방법.hwp
본문내용
1.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의 정의와 위해분석(HA)와 중요관리점(CCP)의 개념을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1. HACCP의 정의
1) 위해요소 중점관리제도는 원료 생산에서부터 최종제품의 생산과 저장 및 유통의 각 단계에 최종제품의 위생안전 확보에 반드시 필요한 관리점을 설정하고, 적절히 관리함으로써 식품의 위생 안전성을 확보하는 예방적 차원의 식품위생관리 방식이다. 미국, EU, 일본 등에서는 식품 중에서도 위해의 발생 가능성이 높고, 사소한 관리의 일탈에 의해서도 위생안전 확보에 중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식품에 대하여 이러한 위생관리제도의 적용을 법에서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식품위생관리는 식품위생법 등에 의한 법률적인 강제적 관리와 우량제조관행, 한국공업규격, ISO 9000, 기타 품질관리활동 등에 의한 비 강제적인 방법에 준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 중략 -
1. HACCP의 정의
1) 위해요소 중점관리제도는 원료 생산에서부터 최종제품의 생산과 저장 및 유통의 각 단계에 최종제품의 위생안전 확보에 반드시 필요한 관리점을 설정하고, 적절히 관리함으로써 식품의 위생 안전성을 확보하는 예방적 차원의 식품위생관리 방식이다. 미국, EU, 일본 등에서는 식품 중에서도 위해의 발생 가능성이 높고, 사소한 관리의 일탈에 의해서도 위생안전 확보에 중대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식품에 대하여 이러한 위생관리제도의 적용을 법에서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식품위생관리는 식품위생법 등에 의한 법률적인 강제적 관리와 우량제조관행, 한국공업규격, ISO 9000, 기타 품질관리활동 등에 의한 비 강제적인 방법에 준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 중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