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용고시 대비를 위한 교육평가 정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임용고시 대비를 위한 교육평가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육평가에 대해서
2. 시험
3.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4. 진단평가ㆍ형성평가ㆍ총괄평가
5. 메타평가
6. 수팽형가
7. 타당도와 신뢰도
8. 주관식 검사와 객관식 검사
9. 문장의 양호도
10. 천장효과와 바닥효과

본문내용

주관식 검사는 채점에 있어 자유도가 높은 반면 신뢰도와 객관도는 낮다. 주관식 검사가 신뢰도와 객관도가 낮은 이유는 채점자의 주관성이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주관식 검사는 문항제작이 용이하기 때문에 문제를 만들 시간이 없는 경우 유용하다. 하지만, 채점에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관식 검사는 학습자의 고등정신능력에 대한 측정에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9. 문장의 양호도
문장의 양호도 측면에는 곤란도와 변별도가 있다. 곤란도는 문항 난이도와 같은 말로 문항의 쉽고 어려운 정도를 의미한다. 문항의 곤란도가 높으면 쉬운문항이라는 뜻이다. 반면, 변별도는 문항이 피험자의 능력수준을 변별해낼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며 변별도가 높은 경우 변별력이 높아진다.
10. 천장효과와 바닥효과
천장효과(Ceiling Effect)는 시험문제를 너무 쉽게 냄으로써 난이도 조절에 실패하여 학생들의 점수가 모두 높게 나오는 경우에 해당한다. 학생들의 점수가 모두 높으므로 천장에 붙기 때문에 천장효과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천장효과가 나타나는 이유는 학생들의 원래 능력이 모두 뛰어난 경우 혹은 문제가 너무 쉬운 경우이다. 반면, 바닥효과(Floor Effect)란 천장효과와는 반대로 시험문제를 너무 어렵게 냄으로써 난이도 조절에 실패하여 학생들의 점수가 모두 낮게 나오는 경우에 해당한다. 이 경우 학생들의 점수는 모두 낮으므로 바닥에 붙기 때문에 바닥효과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바닥효과가 나타나는 이유는 학생들이 모두 학업능력이 낮은 경우 혹은 문제가 너무 어려운 경우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다.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11.05
  • 저작시기201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63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