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치료] 로저스(Rogers)의 내담자 중심 심리치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칼 로저스의 인간중심치료] 로저스(Rogers)의 내담자 중심 심리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로저스(Rogers)의 내담자 중심 심리치료

I. 기본철학

II. 심리치료기법
1. 일치 또는 진실성
2. 무조건적 긍정적 수용
3. 공감적 이해
4. 구체성

본문내용

정을 품고 있다. 그리고 자신이 나쁜 사람이라는 인식을 하게 되어 고통은 배가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그 감정에 대해서 내담자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 가를 깨닫도록 치료자는 도와야 한다. 내담자의 인지적인 내용에 공감해 주면 내담자는 자기감정의 정당성을 깨닫고 과도한 불안에서 헤어나올 수 있다.
(3) 공감은 내담자에 대한 치&바의 온정과 배려의 마음을 전달하는 최고의 방법이다. 공감을 통해서 상호간의 신뢰감이 형성될 수 있다.
(4) 내담자가 안고 있는 문제가 현실적으로 도저히 해결책을 찾을 수 없는 경우에 치료자가 그의 마음을 이해해 주고 그의 이야기에 경청해준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위안과 힘을 얻게 된다는 것이다. 정확한 공감은 내담자의 감정을 자기 것으로 느끼되 그 감정에 빠져 자신을 잃어버리는 상태가 아니라 내담자의 내면세계를 자신의 내면세계인 것처럼 정확하게 그리고 감정 이입적으로 이해하는 능력이 된다. 치료자가 이와 같은 이해를 하면 내담자는 자연스럽게 그리고 깊이 자신을 탐색하고 자신에 대한 이해 증진을 촉진하는 경향을 보인다. 공감적 이해는 치료자의 욕구를 내담자가 이해로서 받아 주면 치료는 진전, 촉진을 보이게 된다고 한다.
이상과 같은 수용과 일치성, 공감적으로 이해하려는 치료자의 욕구가 언어적으로나 비언어적으로 내담자에게 전달되기만 하면 이러한 관계에서 정서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치료적 변화는 진전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4) 구체성(concreteness)
구체성은 내담자가 막연한 문제, 감정, 상황으로 인해 혼란되어 있는 심리 상태를 하나씩 짚어가며 분별하도록 도와주는 기법이다. 내담자는 자신이 느끼는 감정에 대하여 모르고 있거나 오해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또 추상적으로 말하고 객관적인 안목과 사태를 전망하는 능력이 결여되어 있기도 하다. 이러한 때 치료자는 질문을 통하여 내담자를 도와 줄 수 있다. 많은 경우 내담자의 표현은 모호하고 양가 감정적이며 추상적인 경우가 많다.
구체성은,
첫째, 내담자의 사고나 감정을 이해하지 못 할 때에는 잘 이해되지 않는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 해 주면 좋겠다는 말을 솔직히 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구체성의 기술은 주로 어떻게(how)라는 말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추진시키는 것이다. 어떤 느낌? 어떤 생각? 어떤 상황? 어떤 사건? 어떤 결과? 등으로 변용하여 구체적으로 실례를 들어서 이야기해 달라고 내담자에게 요청할 수 있는 방법이다.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11.19
  • 저작시기201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873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