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생태학이론] 동물생태학적 이론 - 동물생태학의 주요개념(본능과 각인), 보울비(Bowlby)의 애착이론(보울비 애착단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물생태학이론] 동물생태학적 이론 - 동물생태학의 주요개념(본능과 각인), 보울비(Bowlby)의 애착이론(보울비 애착단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동물생태학적 이론

I. 동물생태학의 주요개념
1. 본능
2. 각인

II. 보울비(Bowlby)의 애착이론
1. 1단계(0~3개월): 인간에 대한 비변별적 반응성
2. 2단계(3~6개월): 낯익은 사람에게 초점 맞추기
3. 3단계(6개월~3세): 능동적 접근 추구
4. 4단계(3세~아동기 말까지): 동반자 행동

III. 진화론적 관점

본문내용

, 258)
아기의 애착은 7-8개월경에 가장 뚜렷하게, 그러고 배타적으로 나타나며, 낯선 이에 대해 두려움을 보여서 낯가림이 시작된다. 이 시기의 애착이 어느 정도 강해줬는지의 강도는 애착 인물이 떠나갈 때 우는 정도로 알 수 있으며, 이를 격리 불안(separation anxiety)이라고 한다.
이 단계는 양친과 접촉을 유지하는 능력이 발달하지만 적어도 3세까지는 불완전하게 남아 있다. 즉, 3세 이전에는 아기들은 무조건 애착 대상과 가까이, 함께 있기를 원한다.
4) 4단계(3세~아동기 말까지): 동반자 행동
3세 이후에 아동은 애착 인물인 양친이 없는 동안에도 애착 인물의 행동을 상상할 수 있는 동반자와 같은 관계로 행동할 수 있다.
청년들은 양친에게서 벗어나 다른 사람에게 애착을 형성하고, 성인들은 스스로 독립적이라고 생각하지만 위기가 닥쳐오면 사랑하는 사람과 가까이 있으려 하고, 노인들은 젊은이에게 의존해야 하는 것 등은, 인류의 본성에 자리 잡고 있는 애착의 욕구 때문이라고 보울비는 설명하고 있다(Bowlby, 1973)
보울비와 동물생태학자들의 이론은 인간 발달을 진화의 맥락에서 보는 것도 중요한 것이라는 점을 시사해 주고 있다. 동시에 아동의 행동을 성인이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없다는 점을 일깨워 주고 있다. 최근 진화심리학(Buss, 1999)에서는 이러한 점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III. 진화론적 관점
1990년 이후 발달심리학을 진화론적 관점에서 부모의 사회화, 언어 발달 및 애착 양식 등에 접근하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진화적 발달심리학자들은 인간의 생애 과정에서 오랜 동안에 걸친, 곧 계통 발생적 변화에 접근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아직 초기 단계여서 위의 주제 이외에 또래 집단과 어울리려는 아동의 동기(MacDonald, 1996), 지연 만족, 성충동 억제와 같은 금지적 기제의 발달(Bjorklund & Kipp, 1996), 성인의 낭만적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애착 양식(Kirkpatrick, 1998) 등이 이에 속한다. 궁극적으로 포괄적인 진화적 발달심리학은 평생에 걸쳐서 진행되는 종-특수적(species-specific)이고 성에 따른 순응적 문제와 심리적 기제의 변화 등을 다룬다. 아직 진화론적 발달심리학은 시작이어서 앞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진화론적 관점의 접근은 "계통발생은 개체발생으로 되풀이된다."라는 진화론의 전제에 기초한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1.28
  • 저작시기2016.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35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