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의 상담과정과 운영
I. 상담환경
가. 참가자와 인간적 유대관계
나. 변화를 증진시키는 상담자의 태도와 행동
II. WDEP 체계
가. W: 바람, 요구, 지각을 탐구하기
나. D: 지시와 행동, 현재 행동에 초점두기
다. E: 평가
라. P: 계획
III.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의 평가
I. 상담환경
가. 참가자와 인간적 유대관계
나. 변화를 증진시키는 상담자의 태도와 행동
II. WDEP 체계
가. W: 바람, 요구, 지각을 탐구하기
나. D: 지시와 행동, 현재 행동에 초점두기
다. E: 평가
라. P: 계획
III.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의 평가
본문내용
도움이 되는 계획을 선택하도록 돕는다.
2/ 좋은 계획은 이해하기 쉽고 간단해야 한다. 계획이 특수하고, 구체적이고, 측정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지만, 참가자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구체적인 행동들을 더 깊이 이해하려고 하기 때문에 융통성이 있으며 수정과 변화가 쉬워야 한다.
3/ 계획들은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해야 한다. 상담자들은 자신들이 바라는 변화에 대한 중요한 조치를 취하는 데 있어서 아무리 하찮은 계획이더라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식하게 해 준다.
4/ 효과적인 계획은 무언가를 하지 않는 것보다는 오히려 무엇인가를 하는 것이다. 즉, 그 계획은 적극적인 행동에 관한 것이고, 무엇을 할 것인지에 의해서 계획은 시작되어야 한다.
5/ 집단지도자는 참가자들이 다른 사람이 하는 것과 달리 독립해서 자신들이 할 수 있는 계획을 개발하도록 권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담자의 임무는 종종 통제 범위를 벗어나 외부세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참가자들에 중점을 둔 것이어야 한다. 집단지도자들은 자신의 바람, 행동과 인지체계에 대해서만 통제 가능하다는 것을 배울 수 있다. 좋은 계획은 특수하고 구체적이다. 집단지도자들은 참가자들이 숙련된 질문을 통해서 구체성을 개발하게끔 도와준다. 상담자들은 종종 '무엇을, 어디에, 누구와, 언제, 얼마나 자주'와 같은 질문을 한다.
(3)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의 평가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의 공헌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참가자가 어떤 행동의 변화를 나타낼 때 참가자들이 행동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에 대한 질문에 이들을 직면시킨다. 참가자의 행동을 평가하고 변화를 원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상담자가 아니라 참가자들 자신이다. 참가자들이 자신의 최고의 삶을 영위하는 방법에 대한 생각과 계획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많은 집단상담자들은 저항에 맞서고 있는 것 같다. 참가자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 현실치료 상담자들은 참가자들이 현재 행동이 그들이 원하는 삶으로 이끌어 줄 수 있는지를 스스로 평가하도록 계속 요구한다.
둘째, 참가자가 소유하고 있는 진정한 자유의 범위와 책임을 관찰하도록 한다. 이런 관점에서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은 존재치료의 방식이다. 이것이 현재 실행되기 때문에 그 핵심은 내면적 요구, 바람, 자기평가, 내담자에 의한 선택이 있다(Wubbolding, 1988). 지각과 행동체계에 강조를 두고 있기에 현실치료적 상담은 인지 행동연구법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연구법의 장점은 내담자의 주관적인 내부 세계의 이해를 중요시 여기는 데 있다.
셋째, 선도가 불가능한 자녀를 둔 부모집단에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부모들은 자녀들의 행동으로 인해 자신의 인생이 파괴되고 있다는 느낌을 공감대로 가지고 있다.
상담자는 이들 부모들에게 자녀들을 대할 때 현실치료를 어떻게 꾸준히 적용시켜야 하는지를 가르치고 있다. 부모들은 자녀들을 선도하는 데 있어서의 문제보다는 오히려 그들을 변하게 하고자 취한 행동에 더 역점을 두는 방법을 배운다.
넷째, 위기를 상담하는 상황에서 간단한 개입 역할에 적당하다. 이것은 또한 자신을 다른 사람의 부적절한 행동의 희생자라고 여기는 참가자에게 상당히 도움이 된다.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은 약물 남용자들과 추후상담에도 널리 쓰이고 있다. 이런 사람들로 인한 많은 상황에서 과거의 강렬한 문제탐구나 무의식적인 운동에 이르게 하는 장기간의 치료에 착수하는 것은 적절한 것이 아니다.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의 한계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참가자들이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목사나 도덕적 전문가의 역할을 집단상담자가 떠맡는다는 위험이 있다. 집단상담자들이 질문하지 않고 논쟁하지 않고, 상담자의 행동기준을 받아들인다면 자신의 가치를 알기 위해 스스로 그 내면을 관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둘째,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이 요구하는 것보다 감정을 표현하고 탐구하는 영역에 관심을 쏟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셋짼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에서 주장하는 타당한 견해들이 무가치한 극단의 상황으로 몰고 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과거에 역점을 둔다는 것이 현재의 책임을 피하게 만들 수도 있지만, 과거의 역할을 경시한다는 것은 어떤 문제를 피상적으로 대할 수도 있다.
넷째,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의 절차가 실제로 작용한다는 주장을 정당화하기엔 실험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연구단체나 대학교뿐만 아니라 특히 교육, 약물복용, 교회분야에서 상담전문가들에게 인기가 있다. 그래서 논증 자료보다 실험적 자료를 요구하는 사람들은 아마도 연구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
2/ 좋은 계획은 이해하기 쉽고 간단해야 한다. 계획이 특수하고, 구체적이고, 측정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지만, 참가자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구체적인 행동들을 더 깊이 이해하려고 하기 때문에 융통성이 있으며 수정과 변화가 쉬워야 한다.
3/ 계획들은 현실적이고 실행 가능해야 한다. 상담자들은 자신들이 바라는 변화에 대한 중요한 조치를 취하는 데 있어서 아무리 하찮은 계획이더라도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인식하게 해 준다.
4/ 효과적인 계획은 무언가를 하지 않는 것보다는 오히려 무엇인가를 하는 것이다. 즉, 그 계획은 적극적인 행동에 관한 것이고, 무엇을 할 것인지에 의해서 계획은 시작되어야 한다.
5/ 집단지도자는 참가자들이 다른 사람이 하는 것과 달리 독립해서 자신들이 할 수 있는 계획을 개발하도록 권하고 있다. 그러므로 상담자의 임무는 종종 통제 범위를 벗어나 외부세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참가자들에 중점을 둔 것이어야 한다. 집단지도자들은 자신의 바람, 행동과 인지체계에 대해서만 통제 가능하다는 것을 배울 수 있다. 좋은 계획은 특수하고 구체적이다. 집단지도자들은 참가자들이 숙련된 질문을 통해서 구체성을 개발하게끔 도와준다. 상담자들은 종종 '무엇을, 어디에, 누구와, 언제, 얼마나 자주'와 같은 질문을 한다.
(3)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의 평가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의 공헌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참가자가 어떤 행동의 변화를 나타낼 때 참가자들이 행동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에 대한 질문에 이들을 직면시킨다. 참가자의 행동을 평가하고 변화를 원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은 상담자가 아니라 참가자들 자신이다. 참가자들이 자신의 최고의 삶을 영위하는 방법에 대한 생각과 계획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많은 집단상담자들은 저항에 맞서고 있는 것 같다. 참가자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 현실치료 상담자들은 참가자들이 현재 행동이 그들이 원하는 삶으로 이끌어 줄 수 있는지를 스스로 평가하도록 계속 요구한다.
둘째, 참가자가 소유하고 있는 진정한 자유의 범위와 책임을 관찰하도록 한다. 이런 관점에서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은 존재치료의 방식이다. 이것이 현재 실행되기 때문에 그 핵심은 내면적 요구, 바람, 자기평가, 내담자에 의한 선택이 있다(Wubbolding, 1988). 지각과 행동체계에 강조를 두고 있기에 현실치료적 상담은 인지 행동연구법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 연구법의 장점은 내담자의 주관적인 내부 세계의 이해를 중요시 여기는 데 있다.
셋째, 선도가 불가능한 자녀를 둔 부모집단에 효과적으로 활용된다. 부모들은 자녀들의 행동으로 인해 자신의 인생이 파괴되고 있다는 느낌을 공감대로 가지고 있다.
상담자는 이들 부모들에게 자녀들을 대할 때 현실치료를 어떻게 꾸준히 적용시켜야 하는지를 가르치고 있다. 부모들은 자녀들을 선도하는 데 있어서의 문제보다는 오히려 그들을 변하게 하고자 취한 행동에 더 역점을 두는 방법을 배운다.
넷째, 위기를 상담하는 상황에서 간단한 개입 역할에 적당하다. 이것은 또한 자신을 다른 사람의 부적절한 행동의 희생자라고 여기는 참가자에게 상당히 도움이 된다.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은 약물 남용자들과 추후상담에도 널리 쓰이고 있다. 이런 사람들로 인한 많은 상황에서 과거의 강렬한 문제탐구나 무의식적인 운동에 이르게 하는 장기간의 치료에 착수하는 것은 적절한 것이 아니다.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의 한계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참가자들이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를 판단하는 목사나 도덕적 전문가의 역할을 집단상담자가 떠맡는다는 위험이 있다. 집단상담자들이 질문하지 않고 논쟁하지 않고, 상담자의 행동기준을 받아들인다면 자신의 가치를 알기 위해 스스로 그 내면을 관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둘째,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이 요구하는 것보다 감정을 표현하고 탐구하는 영역에 관심을 쏟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셋짼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에서 주장하는 타당한 견해들이 무가치한 극단의 상황으로 몰고 가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과거에 역점을 둔다는 것이 현재의 책임을 피하게 만들 수도 있지만, 과거의 역할을 경시한다는 것은 어떤 문제를 피상적으로 대할 수도 있다.
넷째, 현실치료적 집단상담의 절차가 실제로 작용한다는 주장을 정당화하기엔 실험적인 연구가 부족하다. 연구단체나 대학교뿐만 아니라 특히 교육, 약물복용, 교회분야에서 상담전문가들에게 인기가 있다. 그래서 논증 자료보다 실험적 자료를 요구하는 사람들은 아마도 연구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다.
추천자료
-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