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명 [비파기] [남희 정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명 [비파기] [남희 정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南戱
1. 남희란 무엇인가?
2. 남희의 전반적인 개괄
1) 잡극과 비교하여
① 형식의 비교적 자유로움
② 민가와 도시의 색채가 결합한 다양한 풍격의 음악
③ 노래 안배의 자유로움
④ 대부분 민간의 창작
⑤ 남방의 색채
2) 배역
3) 공연순서
4) 제재
Ⅱ. 南戱의 형성과 발전
1. 시대적 배경에 따른 남희의 발전
1) 북송 왕조 후기
2) 남송 시기
3) 원대 시기
2. 《비파기》의 출현
Ⅲ.《琵琶記》의 작가 高明
Ⅳ.《琵琶記》
1. 작품 개괄
2. 작품의 줄거리
3. 《琵琶記》의 판본 연구에 관하여
4. 작품 분석
1) 사상성
ⓛ 희문의 교화적 임무 중시
② 충, 효 진정한 봉건윤리의 아름다움
③ 현실에 대한 통찰과 봉건 제도의 죄악성 고발
2) 예술성
① 대비의 수법을 이용한 치밀한 구성
② 극적 언어의 뛰어남
③ 문장 격률의 뛰어남
5. 생각해보기 - 작가가 의도한 채백개의 인물 형상과 우리의 평가
Ⅴ.《琵琶記》의 문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생하게 전달됨으로써 더욱 그에 대한 공감과 안타까움을 느끼게 한다. 또한 인물의 심리를 매우 세심하게 묘사함으로써 극중 인물의 개성은 모두 뚜렷하다.
③ 문장 격률의 뛰어남
이 작품은 그 문장의 격률 또한 전에 없이 완비되어 후세 곡보(曲譜)에서 곡문(曲文)을 인용할 때 가장 많이 언급되기도 한다. 따라서 비파기는 “사곡지조(詞曲之祖)”라고 일컬어 질 뿐만 아니라 희문의 발전에서도 중요 이정표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5. 생각해보기 - 작가가 의도한 채백개의 인물 형상과 우리의 평가
우리 조원들이 《비파기》를 읽으면서 느낀 하나의 의문은 바로 ‘충효를 다한 채백개’ 라는 인물 형상이다. 조오낭에게 닥친 시련과 효를 다하려 하는 끝없는 희생에서 우리는 큰 감동과 공감을 느낄 수 있었지만, 채백개의 행동에서 보여지는 여러 가지 모순점들은 그가 효를 다했다는 작가의 입장과 결부시켜 볼 때, 우리로서는 좀처럼 이해가 힘들고, 오히려 《조정녀채이랑》에서 나타난 채백개의 인물 형상과 결말이 더 자연스럽지 않는가를 생각해볼 수 있었다. 특히 이번 발표를 위한 ‘제 5출 : 남포의 이별’ 은 《조정녀채이랑》와 비교하여 채백개의 효를 더욱 부각시키고 그를 변호하고자 하는 작가의 의도가 더욱 잘 드러나는 부분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우리는 작품에서 그려지는 채백개의 모습을 더욱 자세히 들여다보면서 이를 통해 나타내려고 하였던 작가의 의도를 더욱 깊이 이해하고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작품에서 나타난 채백개의 성격
극중의 채백개는 타협적이고, 심리적 동요가 심한 연약한 인물로 봉건예교에 굴복하는 지식인의 형상이다. 그의 행동은 종종 원래의 의도와는 반대로 행동하여진다. 그는 청빈을 감수하겠다고 하지만 훗날에는 출세를 추구하고, 그는 부모에게 효도하겠다고 하지만 결국 양친을 굶주려 죽게 하며, 또 그는 아내 조오랑을 사랑하지만 우승상의 딸과 결혼한다. 그는 이렇게 온종일 모순 속에서 괴로워하고 번뇌한다.
작품 속에서 나타나는 작가의 변호
작자는 극중에서 극력으로 채백개를 변호하고 있다. 집이 가난하고 부모가 연로한데도 멀리 떠나 벼슬에 나가고, 이로 인해 부모가 흉년이 들어 모두 굶어죽게 만드는 채백개의 3불총에 관하여서는 제 5출을 통하여서도 작가의 변호는 잘 드러난다. 백개 자신은 부귀공명만을 탐하여 부모를 내팽개치고 과거를 보러 떠난 것이 아니다. 원래 백개 자신은 과거에 큰 뜻이 없었으나, 채공이 아들의 입신양명을 강요하자 백개는 부모에 대한 효를 다하기 위하여 부득이하게 상경하여 공명을 구한 것이다. 또한 채백개가 처를 버리고 우씨와 결혼하여 고향에 돌아가지 않은 행동에 대하여서는 우승상에게 그 원인을 돌린다. 우승상은 자신의 사위가 될 것을 억지로 강요하고 자신의 집에 붙잡아 두었다. 즉 채백개는 어쩔 수 없이 그의 올가미에 걸려든 것일 뿐이다. 이와 같이하여 작자는 채백개를 전충전효의 긍정적인 인물로 미화시키는 데 성공하였고, 이로써 채백개와 조오낭, 우씨를 효도하는 아들과 어진 양처의 본보기로 삼았다.
작가의 의도
고명은 채백개를 왜 이렇게도 변호하여 충효의 인물로 그리고자 했던 것일까? 우리가 이전에서 살펴보았듯이, 《비파기》는 유교윤리의 설파를 목적으로 당시에 유행하였던 남희 《조정녀채이랑》을 고명이 새롭게 각색한 작품이다. 아마도 작가는 이 희문을 보면서 당시 문인들이 처를 버리고 부귀공명만을 탐하는 현실을 안타깝게 생각했을 것이고, 이렇게 나쁜 행실만을 저지르다 벼락에 맞아 죽는 비극적인 결말, 타락된 현실의 단면만을 보여주기보다는, 현재의 벼슬을 버리고 본래의 처를 다시 맞이하며 부모의 묘를 찾아가 효를 구하는 새로운 채백개의 형상을 통하여 구체적인 효자, 효부의 행실을 보여주고, 이로써 이 사회를 교화시키고자 했던 것이라 생각된다.
평가
효자와 효부를 각인시켜주기 위한 작가의 의도라고는 하지만, ‘채백개는 그의 의지와 상관없이 불효를 저지를 수밖에 없었다.’ 하는 여러 상황과 이유들은 그대로 이해하기엔 너무 억지스러운 면이 있다. 조오낭의 모습을 통한 진정한 효의 제시, 그 아름답고 고귀한 형상으로부터 깊은 감동을 주는 작품의 가치 있는 면에서, 채백개 또한 그 효에 부합시키려는 갖은 미화의 노력들은 작품 중의 군더더기라고 생각된다.
특히 작가의 변호에도 불구하고 채백개에 대하여 이러한 의문이 생기는 것은 plot의 엉성함에서도 비롯된다. 백개가 장원급제를 하였는데, 삼년 동안 집안사람들이 알지 못했다는 점, 재상의 사위가 되어 영화를 실컷 부리면서도 고향에 소식 하나 보낼 수 없었다는 점 등 이러한 것들은 아무리 채백개가 어쩔 수 없이 그리 하였다고 해도 납득될 수 없는 것이다. 이렇듯 현재 우리의 눈으로 볼 때, 《비파기》의 구성은 치밀하지 못한 점이 있다. 그러나 《비파기》의 구성, 격률, 묘사 등 예술적 성취는 당대의 남희 중에서 매우 높은 수준에 속하며, 이러한 예술적 성과는 후세의 희곡에 크나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Ⅴ.《琵琶記》의 문학사적 의의
《비파기》는 문인이 남희 창작에 참여하여 유치한 수준의 민간연희 형식을 北戱의 대표 작 《서상기》와 견줄 만큼의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희곡문체가 남희에서 전기로 발전해 나가는데 기초를 다져주었다. 그리하여 명대 문인들 은 전기 창작에 있어서 주제, 사상, 예술품격 등 다방면에서 《비파기》의 영향을 받았다.
《비파기》는 일반 민중들에게도 인기가 있어서 《비파기》가 창작된 이후 줄곧 각종 연희에서 공연되어왔다. 이처럼 《비파기》는 읽는 문학 작품으로서는 물론이고 공연을 위한 극본으로도 대단히 뛰어난 작품이다.
※ 참고문헌
- 송철규(2000), 『중국 고전 이야기(2)』, (서울: 소나무).
- 김영덕, 허용구, 김병수(1990), 『중국문학사 (하)』, (서울: 청년사).
- 양회석(1994), 『중국희곡』, (서울: 民音社).
- 김정규(2000), 『중국희곡총론』, (서울: 명지대학교 출판부).
- 김영숙(2002), <琵琶記>의 판본 流變과 중국희곡사 연구에 있어서의 의의, 『中國語文學』,
39, 307-330.
- 한국중국희곡연구회(1994), 『중국희곡선집』, (서울: 서울學古房).
  • 가격1,8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6.02.22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49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