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후 문학 상황의 극복과 지양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후 문학 상황의 극복과 지양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내용요약
(1) 전후문학의 한계와 그 극복
(2) 참여시와 순수시

Ⅱ. 비판점과 다른 견해
(1) 전후문학의 한계
(2) 신동엽의 시 「금강」

본문내용

바로 그의 시정신에 있다. 다시말해 그의 시정신인 全耕人 精神은 휴머니즘과 깊이 연관된다. 그리고 그의 휴머니즘은 역사의식과 저항정신을 밑바탕에 깔고 형성된다.”고 하면서 “인류사가 휴머니즘을 배제하고서는 존립할 수 없다. 문학은 인간의 삶을 진솔하게 표상하는 예술이다. 따라서 휴머니즘의 다양한 탐구는 시인의 필연적 작업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장시 「錦江」은 시인 신동엽의 휴머니즘 정신을 본질로 하고 형상화된 작품이다”라고 진술했다. 그리고 신동엽이 장시 「錦江」을 통해 자신의 역사적 감수성을 표면화시키며 장시 「錦江」을 지배하는 중심 테마는 지배원리의 부조리와 그에 대한 저항정신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신동엽이 다만 그의 리얼리티가 객관화되어야만 의미의 심화를 도모할 수 있는데, 그렇지 못하고 지나치게 감정적이고 주관적이기 때문에 장시로서 시적 견고성을 획득하는데 무리가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신동엽은 그의 역사의식 곧, 저항정신은 시적 영역을 확보하는 데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고 이러한 관점에서 시인 신동엽에 대한 평가 작업은 지속적으로 심도 있게 진행되어야 한다 서익환, 한국 현대문학과 현실인식, 새미, 1998, pp.183~186.
고 진술하였다.
장석주는 「금강」은 역사성과 서사적 골격을 갖추고 있으며, 또 시인 스스로 서사시라고 밝히지만, 이야기가 있다는 점을 빼놓고는 서정시를 길게 늘여놓은 작품이란 느낌을 주기도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김우창 역시 「금강」을 평하며 “우리의 현실에 대하여 질문하여 마지않는 뜨거운 관심으로 역사를 용해시키고 우리로 하여금 과거와 현재를 하나의 연속적인 역사적 현실로 이해하게”만든다고 말하면서도 “역사적 사고가 얕고 단순화된” 면을 지적하고 있다고 하였다. 결과적으로 「금강」은 당대의 뛰어난 시적 업적으로 평가받지만 한편으로는 체념주의와 허무주의, 토속적인 샤머니즘에 근거한 운명주의의 한계를 넘어서지 못한 작품 장석주,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3, 시공사, 2000, p.289.
이라는 것이다.
※참고문헌
구인환 외 공저, 한국전후문학연구, 삼지원, 1995.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2, 민음사, 2002.
김윤식김우종 외 30인 지음, 한국현대문학사, (株)現代文學, 1996.
서익환, 한국 현대문학과 현실인식, 새미, 1998.
장석주, 20세기 한국 문학의 탐험, 시공사, 2000.
조건상, 1950년대 문학의 이해,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6.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3.18
  • 저작시기201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74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