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당뇨병환자운동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혈압당뇨병환자운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혈압 환자의 운동효과
2. 혈압 정도의 따른 운동단계별 가능여부
3. 고혈압 환자의 운동 전 점검사항
4. 고혈압 환자의 운동 중 주의사항
5. 고혈압 환자에게 적합한 운동
6. 유산소 강도에 따른 분류
7. 당뇨병환자의 운동효과
8. 당뇨병 환자에게 적합한 운동
9. 혈당 정도에 따른 운동가능 유무
10. 당뇨병환자가 운동 할 때 고려 해야 하는 사항
11. 당뇨병 환자의 운동 전 간식섭취요령
12. 당뇨병환자에게 적합한 운동
13. 고혈압&당뇨병환자의 운동방법
14. 안전한 운동을 위해 꼭 지켜야 할 습관
15. 운동시 주의 할 점
16. 운동을 중지 해야 하는 경우

본문내용

고혈압 환자의 운동효과
✧일회성 운동시 (급성효과)
운동시 혈압은 상승하고 운동직후에는 운동 전 보다 혈압이 내려감.
혈압하강은 운동 종료 후 5~7mmHg 정도의 급성 혈압강하를 보이며 운동의 강도와 상관없이 22시간 까지 지속됨.

✧규칙적 운동시 (만성효과)
일회성 운동효과의 누적으로 인해 평상시 혈압도 하강.
약물치료로도 효과가 크지 않는 환자에게 평균 7.4~/5.8mmHg 감소.
약물치료로도 정상혈압을 유지 가능한 환자에게서는 평균 2.6/1.8mmHg 감소.
특히 유산소운동이 효과적임.

수축기 혈압>200mmHg 또는 이완기 혈압> 110mmHg 인 경우 운동 금지
일반적으로 증상이 없는 40세 이하인 고혈압 전 단계 또는 1기 고혈압 환자는 특별한 검사 없이도 중등도 운동을 시행하는것은 가능하다.
2기 고혈압이나 관상동맥 질환의 위험이 높은 경우에는 운동 전에 혈압관리와 함께 운동에 따른 심장의 반응을 보기 위한 운동부하 검사가 필요하다.
  • 가격2,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6.03.25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기타(pptx)
  • 자료번호#9984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