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넣어 완전한 공룡을 탄생시킨다.
영화에서처럼 유전자만으로 멸종된 생물체를 재생시키는 일은 현재 불가능하다. 영국의 자연사 박물관에서 이러한 시도를 해본 결과 호박 속에 갇힌 곤충에 들어 있는 공룡의 유전자는 그대로 보존되지 못하고 변형되어 온전한 유전자를 얻기 힘들었다고 한다. 만일 온전한 유전자를 추측한다고 해도 유전자만으로 생물체를 만들어내는 일은 불가능하다고 학자들은 말한다. 유전자는 생물체의 구조에 대한 설계도일 뿐이고 생명체가 탄생하는 데에는 그 설계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 생명 활동을 수행할 다양한 화학적인 도구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12장 쉬어가기
<동물매개치료 적용의 일화>
체스터는 스파니엘 종류의 개로 그의 주인 샤론 그린과 재활을 위한 마운트시나이 병원에서의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1주일에 1회 치료견과 환자가 만나도록 하고 있다. 8살 체스터와 다른 치료도우미견들은 큰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마운트시나이 병원에서의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 진행 담당자인 숀번은 말하고 있다. 병원에 입원을 하게 되면 고립되었다는 느낌을 받게 되고 시간에 대하여 무감각하게 된다. 치료도우미견들은 환자들의 현실에 대한 인지능력을 높여준다. 프로그램은 뇌손상 또는 쇠약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결과는 환자들에게 신체 치료에 대한 동기를 부여해주고 치료견 방문 후 환자들은 병원 직원들과 더욱 상호반응이 증가하였다. 환자들은 개를 쓰다듬거나 빗질을 하거나 공을 던져주는 행위와 같은 단순한 행동들을 하면서 신체적 운동이 증가하였다. 환자들은 치료견과 만나는 것을 즐거워하였고 마음의 이완반응을 통하여 스트레스가 감소한다고 하였다.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은 환자들이 병원에서의 일상적인 주사 맞는 것과 약 먹는 반복적인 일과에서 벗어나는 새로운 경험을 갖게 하였다. 한 사회복지사는 아동학대 피해 아동이 정신적인 고립감에서 벗어나는데 치료견이 큰 도움을 주었던 사례를 이야기 한 적이 있다. 그 개념이 입원환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 사례로 수 주 동안 이야기를 하지않던 환자가 치료도우미견에게 갑자기 이야기를 시작한 경우가 알려져 있다.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은 환자의 삶을 바꾸고 있다.
13장 쉬어가기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복원>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물 복원의 일차적인 목표는 개체수를 증가시킴으로서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능력을 갖출 수 있는 수준의 유전자다양성을 확보하고 각 동물의 장기적인 생존과 보호를 보장하는 것이다.
야생동물 개체군의 복원 방법에는 인공증식과 재도입이 주로 사용된다. 인공증식은 동물원과 같은 서식지외 보전기관에서 사육 상태에 있는 동물의 개체수를 늘이는 방법으로 야생에 서식하는 종의 생존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호랑이, 반달가슴곰, 따오기 복원사업 등을 벌이고 있다. 재도입은 동물을 과거에 분포했던 지역으로 돌려보내는 것이다. 재도입의 주요 목적은 최소한의 관리를 통해 전 세계적 또는 국지적으로 멸종 또는 절멸된 종을 기존의 서식범위내에서 지속적이고 스스로 정착시키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황새, 반달가슴곰, 산양, 따오기 등의 복원사업이 진행 중이다. 황새 복원사업은 한국 교원대학교 한국황새복원연구센터에서 국내 개체군과 유전적으로 유사한 러시아의 황새 한 쌍을 도입하여 국내 개체군을 복원하기 위한 재도입의 형태로 진행되었다.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은 국립공원관리공단 반달가슴곰팀에 의해서 여러 차례 지리산에 방사하였으나 자연에의 적응 실패하였다. 이후 여러 차례 북한산과 러시아산 반달곰이 지리산에 방사되어 이 중 일부가 자연에 적응하는 단계이다. 산양은 국제적으로 멸종위기종인데 국내에서는 국립공원관리공단 멸종위기종복원센터에서 재도입의 방식으로 화천군과 양구군, 월악산에 방사가 이루어지고 자연 적응을 유도하고 있다. 따오기는 농약의 사용과 밀렵으로 인해 멸종 단계에 있는 야생동물이다. 국내에서는 따오기 복원사업을 창녕 우포늪에 위치한 우포따오기 복원센터에서 재도입 방식으로 시작되었다. 서울대공원에서는 여우, 늑대, 남생이, 수달 등에 사육 및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복원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4장 쉬어가기
<광우병과 프리온>
프리온은 의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생물체가 아닌 단백질 입자임에도 세균이나 바이러스처럼 인간에게 전염되기 때문이다. 광우병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선 우선 프리온이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한다.
1957년 미국 국립보건원의 Carleton Gajdusek 박사는 파푸아뉴기니 원주민에게 유행하는 풍토병을 조사하던 중 프리온의 존재를 처음으로 규명해냈다. 파푸아뉴기니 원주민들의 풍토병으로 뇌세포 이상에 의한 질병으로 사망이 많아 발생하였는데 이들 풍토병에 걸려 죽은 사람들의 뇌 병변은 세포 손상된 자리가 육안으로는 스폰지 모양으로 관찰되었다.
이곳 원주민에겐 친지가 생명을 잃게 되면 장례 후 친지의 뇌를 나누어 먹는 식인풍속이 있었다. 그들은 죽은 친지의 뇌를 나누어 먹음으로 해서 뇌에 속해 있다고 믿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서로 나누어 기릴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오랜기간 이러한 기이한 식인푸읍이 이어져 왔던 것이다. 가이듀섹 박사는 이들의 풍토병이 식인풍속에서 비롯됐음을 밝혀내고 죽은 사람의 뇌 속에 들어있는 단백질입자가 원인임을 찾아냈다. 그는 이 공로로 197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게 된다.
그러나 프리온을 실제 분리해내고 이들의 생물학적 성상을 구체적으로 밝혀낸 사람은 미국 UCSF 대학교 의과대학의 스탠리 프루시너(Stanley Prusiner) 교수였다. 그는 인간에게 전염되는 질병을 유발하는 단백질 입자를 프리온이라 명명하고 이들이 인간의 체내에서 원래 모양을 뒤바꿈으로써 뇌신경 등 정상세포의 손상을 초래한다고 밝혔다.
프리온은 생물과 무생물을 가늠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유전자가 없다. 프리온이 일으키는 초기 뇌신경 손상은 복잡한 경로를 통해 화학적인 연쇄반응을 일으키고 이것이 뇌세포 손상으로 인한 스폰지 모양의 구멍들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프루시너 교수 역시 이를 규명한 업적으로 97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게 된다.
영화에서처럼 유전자만으로 멸종된 생물체를 재생시키는 일은 현재 불가능하다. 영국의 자연사 박물관에서 이러한 시도를 해본 결과 호박 속에 갇힌 곤충에 들어 있는 공룡의 유전자는 그대로 보존되지 못하고 변형되어 온전한 유전자를 얻기 힘들었다고 한다. 만일 온전한 유전자를 추측한다고 해도 유전자만으로 생물체를 만들어내는 일은 불가능하다고 학자들은 말한다. 유전자는 생물체의 구조에 대한 설계도일 뿐이고 생명체가 탄생하는 데에는 그 설계도에 따라서 여러 가지 생명 활동을 수행할 다양한 화학적인 도구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12장 쉬어가기
<동물매개치료 적용의 일화>
체스터는 스파니엘 종류의 개로 그의 주인 샤론 그린과 재활을 위한 마운트시나이 병원에서의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프로그램은 1주일에 1회 치료견과 환자가 만나도록 하고 있다. 8살 체스터와 다른 치료도우미견들은 큰 성과를 보이고 있다고 마운트시나이 병원에서의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 진행 담당자인 숀번은 말하고 있다. 병원에 입원을 하게 되면 고립되었다는 느낌을 받게 되고 시간에 대하여 무감각하게 된다. 치료도우미견들은 환자들의 현실에 대한 인지능력을 높여준다. 프로그램은 뇌손상 또는 쇠약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결과는 환자들에게 신체 치료에 대한 동기를 부여해주고 치료견 방문 후 환자들은 병원 직원들과 더욱 상호반응이 증가하였다. 환자들은 개를 쓰다듬거나 빗질을 하거나 공을 던져주는 행위와 같은 단순한 행동들을 하면서 신체적 운동이 증가하였다. 환자들은 치료견과 만나는 것을 즐거워하였고 마음의 이완반응을 통하여 스트레스가 감소한다고 하였다.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은 환자들이 병원에서의 일상적인 주사 맞는 것과 약 먹는 반복적인 일과에서 벗어나는 새로운 경험을 갖게 하였다. 한 사회복지사는 아동학대 피해 아동이 정신적인 고립감에서 벗어나는데 치료견이 큰 도움을 주었던 사례를 이야기 한 적이 있다. 그 개념이 입원환자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 사례로 수 주 동안 이야기를 하지않던 환자가 치료도우미견에게 갑자기 이야기를 시작한 경우가 알려져 있다. 동물매개치료 프로그램은 환자의 삶을 바꾸고 있다.
13장 쉬어가기
<멸종위기 야생동물의 복원>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물 복원의 일차적인 목표는 개체수를 증가시킴으로서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능력을 갖출 수 있는 수준의 유전자다양성을 확보하고 각 동물의 장기적인 생존과 보호를 보장하는 것이다.
야생동물 개체군의 복원 방법에는 인공증식과 재도입이 주로 사용된다. 인공증식은 동물원과 같은 서식지외 보전기관에서 사육 상태에 있는 동물의 개체수를 늘이는 방법으로 야생에 서식하는 종의 생존을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호랑이, 반달가슴곰, 따오기 복원사업 등을 벌이고 있다. 재도입은 동물을 과거에 분포했던 지역으로 돌려보내는 것이다. 재도입의 주요 목적은 최소한의 관리를 통해 전 세계적 또는 국지적으로 멸종 또는 절멸된 종을 기존의 서식범위내에서 지속적이고 스스로 정착시키는 것이다.
국내에서는 황새, 반달가슴곰, 산양, 따오기 등의 복원사업이 진행 중이다. 황새 복원사업은 한국 교원대학교 한국황새복원연구센터에서 국내 개체군과 유전적으로 유사한 러시아의 황새 한 쌍을 도입하여 국내 개체군을 복원하기 위한 재도입의 형태로 진행되었다.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은 국립공원관리공단 반달가슴곰팀에 의해서 여러 차례 지리산에 방사하였으나 자연에의 적응 실패하였다. 이후 여러 차례 북한산과 러시아산 반달곰이 지리산에 방사되어 이 중 일부가 자연에 적응하는 단계이다. 산양은 국제적으로 멸종위기종인데 국내에서는 국립공원관리공단 멸종위기종복원센터에서 재도입의 방식으로 화천군과 양구군, 월악산에 방사가 이루어지고 자연 적응을 유도하고 있다. 따오기는 농약의 사용과 밀렵으로 인해 멸종 단계에 있는 야생동물이다. 국내에서는 따오기 복원사업을 창녕 우포늪에 위치한 우포따오기 복원센터에서 재도입 방식으로 시작되었다. 서울대공원에서는 여우, 늑대, 남생이, 수달 등에 사육 및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복원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4장 쉬어가기
<광우병과 프리온>
프리온은 의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생물체가 아닌 단백질 입자임에도 세균이나 바이러스처럼 인간에게 전염되기 때문이다. 광우병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선 우선 프리온이 무엇인지부터 알아야 한다.
1957년 미국 국립보건원의 Carleton Gajdusek 박사는 파푸아뉴기니 원주민에게 유행하는 풍토병을 조사하던 중 프리온의 존재를 처음으로 규명해냈다. 파푸아뉴기니 원주민들의 풍토병으로 뇌세포 이상에 의한 질병으로 사망이 많아 발생하였는데 이들 풍토병에 걸려 죽은 사람들의 뇌 병변은 세포 손상된 자리가 육안으로는 스폰지 모양으로 관찰되었다.
이곳 원주민에겐 친지가 생명을 잃게 되면 장례 후 친지의 뇌를 나누어 먹는 식인풍속이 있었다. 그들은 죽은 친지의 뇌를 나누어 먹음으로 해서 뇌에 속해 있다고 믿은 죽은 사람의 영혼을 서로 나누어 기릴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오랜기간 이러한 기이한 식인푸읍이 이어져 왔던 것이다. 가이듀섹 박사는 이들의 풍토병이 식인풍속에서 비롯됐음을 밝혀내고 죽은 사람의 뇌 속에 들어있는 단백질입자가 원인임을 찾아냈다. 그는 이 공로로 197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게 된다.
그러나 프리온을 실제 분리해내고 이들의 생물학적 성상을 구체적으로 밝혀낸 사람은 미국 UCSF 대학교 의과대학의 스탠리 프루시너(Stanley Prusiner) 교수였다. 그는 인간에게 전염되는 질병을 유발하는 단백질 입자를 프리온이라 명명하고 이들이 인간의 체내에서 원래 모양을 뒤바꿈으로써 뇌신경 등 정상세포의 손상을 초래한다고 밝혔다.
프리온은 생물과 무생물을 가늠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는 유전자가 없다. 프리온이 일으키는 초기 뇌신경 손상은 복잡한 경로를 통해 화학적인 연쇄반응을 일으키고 이것이 뇌세포 손상으로 인한 스폰지 모양의 구멍들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프루시너 교수 역시 이를 규명한 업적으로 97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게 된다.
추천자료
사회복지행정론 기말고사 예상문제 - 광주여자대학(사이버대학)
프로이드학파와 후기 프로이드학파를 비교 중심으로 정신분석이론을 정리(인행사)
[A+](조선대) 환경과 웰빙 06-11년 퀴즈총모음, 06-07년 기말고사 및 핵심요약
[영남대] ‘재료와 인간의 역사’ 족보 입니다 (중간자료, 중간정리 + 기말자료, 기말족보 + 중...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의 개념, 목적 및 요건 (사회복지현장실습교육)
영유아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정리
영유아 교수방법정리
나만의 학습법 공모전(학점 잘 받는 법 시험 잘 보는 법)
글쓰기] 2020년 방송대 글쓰기 기말 과제물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