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서적 및 행동적 장애의 기초적 원인
2. 정서적 및 행동적 장애의 평가 방법론
3. 정서적 및 행동적 장애의 주요 특성
4. 정서적 및 행동적 장애를 위한 교육 전략
5. 정서적 및 행동적 장애 아동의 교육적 필요
6. 정서적 및 행동적 장애 아동 상담의 단계적 접근
2. 정서적 및 행동적 장애의 평가 방법론
3. 정서적 및 행동적 장애의 주요 특성
4. 정서적 및 행동적 장애를 위한 교육 전략
5. 정서적 및 행동적 장애 아동의 교육적 필요
6. 정서적 및 행동적 장애 아동 상담의 단계적 접근
본문내용
가능한 목표를 설정한다. 이 목표는 아동의 정서 조절 능력 향상, 사회적 기술 습득, 혹은 위축된 자아감을 증진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세 번째 단계는 개입 전략의 개발이다. 여기서는 아동의 발전 단계, 특성, 그리고 가족 환경을 고려하여 적합한 상담 기법을 선택한다. 인지행동치료, 놀이치료, 모래놀이 치료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각 아동의 상황에 맞게 조정되어야 한다. 네 번째 단계는 개입의 실행이다. 상담자는 정기적으로 아동을 만나고 설정된 목표를 향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며, 아동의 반응과 변화를 세심하게 관찰한다. 이 과정에서 아동이 느끼는 감정과 경험을 들여다보며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마지막 단계는 상담의 평가와 종결이다. 상담이 끝날 무렵, 상담자는 목표달성 정도를 평가하고 필요한 경우 후속 지원 내용을 논의한다. 상담 중 나타난 긍정적인 변화나 어려움에 대해 아동과 논의하고, 향후 대처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단계적 접근은 아동의 개별적 필요를 존중하며,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는 근본적인 토대를 제공한다. 각 단계의 유기적 연결을 통해 아동이 심리적으로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