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논문]우리나라 청년실업의 실태와 고용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졸업논문]우리나라 청년실업의 실태와 고용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제3절 선행연구 검토 2

제2장 청년실업의 실태 및 원인 3
제1절 청년실업의 실태 3
제2절 청년실업의 원인 7

제3장 외국의 청년실업 정책 및 시사점 14
제1절 미국 14
제2절 영국 17
제3절 독일 19
제4절 시사점 22

제4장 청년실업 대책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23
제1절 청년실업 대책의 문제점 23
제2절 청년실업 대책의 개선방안 26

제5장 결론 30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30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 32

<참고문헌> 33

본문내용

있다.
다섯째, 노동시장 인프라 구축을 강화해야 한다. 청소년층의 진로 탐색을 돕기 위해서는 조기 직업교육과 진로지도의 실시가 필요하다. 또한 통계인프라를 구축하여청년 실업의 문제 등 교육시장과 노동시장의 괴리를 관찰하기 위하여 교육시장으로부터 배출되는 신규노동력의 노동시장 이행에 대한 정보를 알려줄 필요가 있다.
청년실업의 문제는 단기간에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며 사회의 어느 한부분만의 노력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장기적인 계획을 세우되, 정부기업학교지역사회에서 책임의식을 가지고 협력하여 해결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다. 또한 청년실업 문제에 대한 대처방안들은 선진 외국의 청년실업 정책처럼 취약계층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빈곤에 쉽게 노출 될 가능성이 있는 집단에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복지향상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교육과 직업훈련을 통하여 노동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나아가 미래의 노동인력 손실을 줄여 지속적인 국가발전과 경제성장을 이룩하기 위한 방안이기 때문이다.
제2절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과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청년실업에 관하여 대졸자들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고졸실업자들과 중퇴 및 전직 청년실업자들의 현황과 문제를 지적하지 못하였다는 것과 둘째, 청년실업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꼭 필요한 인프라 측면은 본 연구에서 그 중요성을 충분히 다루려고 하였으나 선진국과 다르게 인프라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최근에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통계 및 연구자료 부족으로 생각했던 것만큼 충분한 청년실업의 방안제시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것이 본 연구의 한계이며, 이부분에 대해서는 향후에 지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국내문헌
강우란 외, 일자리창출삼성경제연구소, 2004. 5
강훈희, “자격제도의 비전과 발전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00
교육인적자원부노동부, 제7차 일자리만들기 당정공동특별위원회회의 안건, 2006
국회예산결산위원회, “실업부조 도입 및 고용보험 수급확대를 위한 재원확보 방안”, 2006
김영희, “우리나라 청년실업대책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김호현, “실업 및 고용대책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경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김희자, “복지국가의 청소년실업정책”, 오늘의 청소년 제19권 통권 제3호, 2004.8
나성숙, “한국 청년실업의 실태와 대응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나영선·이남철·고혜원, 「교육훈련과 노동시장의 연계강화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노우영, “생산적 복지 관점에서의 청년실업자 고용정책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박경숙,「55세 이상 고령자의 노동시장 이탈과정 : 은퇴-비취업 경계에 대한 항의」, 한국노동패널학술대회 발표논문, 한국노동연구원, 2002
박영천, “한국의 청년실업에 관한 연구 - 중장기 대책으로서의 구조적 방안 고찰,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삼성경제연구소, “청년실업 증가의 문제점과 대응방안”, 2003
서정희, “한국의 청년실업 대책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신기동 외, “청년층 고용촉진을 위한 산학협력 방안 연구”, 2004
신진수, “청년실업의 발생 원인 및 해소 방안”, 창원대학교 노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이병욱, “청년실업문제에 대한 기업의 시각과 해결방안”, 2003
이현주, “한국의 청년실업 대책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전병유·김혜원, 「디지털 경제와 일자리 창출」, 한국노동연구원, 2003
진경화, “청년실업과 고용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정인수김기민, 「청년층의 실업실태파악 및 대상별 정책과제」, 2005
전병유 외 “고용 없는 성장에 대한 대응전략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5
정진기, “우리나라 청년실업정책에 관한 고찰 - 참여정부의 실업정책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진경화, “청년실업과 고용정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최강식,,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과 일자리 창출, 유경준 편저, 2000
한국노동연구원, 근로취약계층의 취업능력제고 방안, 1999
한국노동연구원, ‘고졸 미진학청년층의 고용,실업현황과 정책과제’, 2003
한국은행, “부가세 인상 이후 독일경제 호조 배경과 평가”, 해외경제정보, 제2007-48호, 2007
한국은행, ‘영국 실업률 상승의 배경과 전망’, 海外經濟情報 제2007-37호, 2007
한국직업능력개발원,「중소기업인력실태조사보고서」, 2003
한진희 외,「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 전망: 2003~2012」, 한국개발연구원, 2002
2. 국외문헌
Bureau of Labor Statistics, Current Population Survey, U.S, 2001
CESifo DICE Report, Hartz IV - Welfare to Work in Germany, 2005
IND, The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2002
OECD Employment Outlook, 2007
U.S Department of Labor, Employment and Training Administration "Examination of The Delivery of Literacy Services at Job Corp Centers", 2006
3. 인터넷 주소
교육인적자원부 (http://www.moe.go.kr)
노동부 (http://www.molab.go.kr)
뉴딜 프로그램 홈페이지 (http://www.newdeal.gov.uk)
미국 노동부 홈페이지(http://workforcesecurity.delta.gov/employ/updates.asp)
통계청(http://www.nso.go.kr)
프랑크푸르트 알게마이네 차이퉁 (http://www.faz.net)
한국은행 홈페이지(http://www.bok.or.kr)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8.04.22
  • 저작시기200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21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