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외국인 영어교사(Native Speaker)'로 살아가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에서 ‘외국인 영어교사(Native Speaker)'로 살아가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 수집 및 절차
3. 연구의 제한점

Ⅲ. 연구결과

1. 한국에서 유아 영어교사를 선택하게 된 동기
2. 실제 敎授活動科程에서 발생하는 문제점
3. 실제 敎授活動科程에서 느끼는 여러 感情들
4. 실제 敎授活動科程을 통해서 본 한국 유아영어교육에 관한 생각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본문내용

받으며, 아이가 아이로서 누릴 수 있는 충분한 자유시간을 갖지 못하고 있음을 안타까워하고 있다. 또한 지나치게 성숙된 행동을(가령, sit nicely, attention, be quiet 따위) 유아들에게 강요함으로써 그들의 자연스런 성장을 방해하고 있는 측면도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진행해나가는 과정에서 우리가 간과해서는 안 될 점이 있다. 외국인 교사와 한국인(한국인 교사, 원장을 비롯한 경영자들 혹은 학부모들)들이 ‘교육행위’에 관한 인식의 차이가 존재할 수밖에 없는 ‘문화적 상황의 다름’이 그것이다.
서양은 개인주의 문화가 우세한 반면에 동양은 집단주의 문화가 우세하며, 개인주의 문화는 ‘개인’을 사회생활의 기본단위로 받아들이는 문화인 반면에 집단주의 문화는 ‘집단’을 사회생활의 기본단위로 받아들이는 문화이다. 따라서 개인주의 문화에서는 집단과 분리된 개인의 독립성이 강조되어 집단의 목표보다는 개인의 목표가 우선되며 개인의 자율성과 자기실현이 강조된다. 반면에 집단주의 문화에서는 개인들은 상호의존적이기 때문에 개인의 목표보다는 집단의 목표가 우선되며 타인과의 조화로운 관계 유지가 강조된다....동양 문화적 관점의 이상적 인간형은 자기를 억제하고 겸양의 미덕을 갖추어 남과 더불어 조화를 이루는 사람이다(Hofstede, 1995).
외국인 교사들이 인식하기에, 한국의 부모들과 학원 경영자들은 지나치게 교수활동에 개입을 하고 아이들을 보호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아이들에게 충분한 자유시간도 주지 않으며, 성숙한 행동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러한 모습들이 외국인 교사로서 보기에는 아이 나름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훼손시키는 즉, 그릇된 교육방식으로 비춰질 수 있다. 그러나, 타인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중요시하는 동양의 집단주의 문화를 고려한다면, 집단의 규율준수 및 자기 억제를 통해 남과 더불어 조화를 이루는 사람으로 성장시키려는 한국의 문화를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결국, 한국에서 외국인 교사로서 살아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육(혹은 교육행위)’에 관한 인식의 차이는 서양과 동양의 문화적 다름이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이해하여야 하며, 동서양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을 무시한 채 편향된 사고로 ‘여기의 교육방식이 잘못되었다, 바르다’고는 말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나, 유아영어교육에 관계하는 사람들은 참으로 바른 유아 (조기)영어교육방식은 어떤 것인가에 관한 번민과 반성적 사고를 지속적으로 행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 외국인 교사들이 바라보는 한국의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다양한 생각들에 귀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특히 그들이 비판적으로 인식하는 내용은 점진적으로 실제 교수행위와 학원의 운영에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한국이란 낯선 땅에서 살아가는 외국인 영어교사들의 삶과 생각들을 통해 앞으로 한국의 조기영어교육이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고민해 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우남희(1994), 국제화, 개방화 시대와 유아 외국어 교육, 한국어린이육영회 유아교육학술 대회 발표논문집.
우남희, 서유헌, 강영은(2002), 영유아에 대한 조기영어교육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교육인적 자 원부.
우남희, 이종희(1994), 한국의 조기 영어교육 실태조사, 한국아동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 표논문집.
이기숙(2001), 창의적이고 전인적인 인적자원 양성을 위한 유아교육 혁신, 유아교육정 책 과제, 교육인적자원부.
최연철(2003), 남자 유아교사로 살아가기, 열린유아교육연구, Vol 8, No 3.
조선일보, 2003. 1. 16.
Chomsky, M.(1979), Language and responsibility. New York: Pantheon Books.
Hofstede, G.(1995), Exploring Culture, Intercultural. Pr.
Kolb, B. & Whishaw, I. Q.(1985), Fundamentals of human neuropsychology. New York: W. H. Freeman & Company.
Penfield, W.(1959), The learning of language. In W. Penfield & L.
Roberts.(1987, Eds.), Speech and mechanism,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Selinger, H. W.(1979), On the natures and function of language rules in language teaching, TESOL Quarterly, 13.
Hauser, M. D., Chomsky, N., & Fitch, W. T.(2002), The faculty of language: What is it, who has it, and how did it evolve? Science, Vol, 298.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한국에서 일하는 유아담당 외국인 영어강사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외국인 영어교사로서 살아가면서 느끼는 ‘한국의 조기영어교육’에 관한 관점과 그들의 삶을 들여다보고자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한국에서 유아 영어교사를 하게 된 동기는 경제적인 가치를 비롯해 자신이 원하는 바를 성취하기 위한 수단으로 선택하였고, ‘교수활동’을 수업활동과정 그 자체 즉 가르치고 배우는 수업시간으로 한정하여 받아들이지 않고, 아이가 등원할 때보다 하원 할 때까지의 하루일과 생활 전부로 받아들이며 넓게 해석하는 태도를 보였다. 교수활동과정에서 원장을 비롯한 경영진들, 부모, 아이들과의 언어와 문화의 차이 및 인간관계에서 오는 어려움이 컸다. 조기영어교육실시의 찬반에 대해 외국인 교사 모두 조기영어교육 자체에 대해서는 찬성하는 입장을 표명하였으나, 실제 교육행위가 진행되는 과정상의 방법적 측면에서 영어와 한국어를 동시에 구사할 줄 아는 한국인 교사가 함께 있어야 하며, 질적인 영어지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개인적으로 수업자료를 준비할 충분한 시간이 주어져야함을 제안하였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9.03.03
  • 저작시기200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12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