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WTO 가입 이후 통상정책의 변화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WTO 가입 이전 중국의 통상정책
제1장 개혁·개방 이후의 통상정책의 특징
제2장 개혁·개방 이후의 통상정책의 변화
제1절 소극적 개혁 시기 : 80년대
제2절 과감한 개혁 추진기 : 90년대-1997년
제3절 수출장려 및 수입억제 강화기 : 1997년~1999년

Ⅲ. 중국의 WTO 가입을 위한 양허사항
제1장 중국의 WTO 가입 과정
제2장 WTO 가입을 위한 양허사항
제1절 가입의정서의 제출
제2절 상품 무역에 관한 양허사항
1. 무역권 (수출입경영권)
2. 관세 장벽
3. 비관세조치(Non Tariff Measures)
4. 반덤핑(Anti-dumping)과 반보조금
5. 긴급수입제한 (Safeguard)
제3절. 기타 합의사항
1. 지식재산권
2. 무역관련 투자 조치(TRIMs)

Ⅳ. WTO 가입 이후 중국의 통상정책 변화
제1장 상품 무역 관련 제도의 변화
제1절 대외무역업 개정 : 무역권 개방
제2절 비관세조치(Non Tariff Measures) 완화 완료
제3절 반덤핑(Anti-dumping)과 반보조금 강화
제4절 긴급수입제한 (Safeguard)
제2장 관세제도의 변화
제1절 관세 인하
제2절 관세법규의 정비
제3장 기타 합의 이행사항 및 정책 변화
제1절 무역관련 투자 조치(TRIMs)
제2절 지식재산권 보호 미흡

Ⅴ. 요약 및 결론

본문내용

세금은 여전히 대중수출품에 차별적인 비관세장벽으로 작용함에 따라 WTO 내국민 대우조항에 위배되고 있다. 중국 당국은 특히 담배, 화장품, 증류수, 피부ㆍ모발보호제품, 보석, 불꽃놀이용품, 고무, 모터사이클, 자동차 등과 같은 수입품에 대해서는 중국산보다 불리한 소비세 산출방식을 적용하여 수입품은 중국산보다 2배나 높은 소비세 부담을 안게 되어 가격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부가세 역시 소비세와 동일한 방식으로 세액이 결정되어 중국산보다 훨씬 높은 세금부담을 지고 있다.
특히 쿼터 및 관세쿼터 부문은 WTO 가입 첫해의 약속사항들 중 이행정도가 가장 미진한 부문이다. 특히 非국유기업들에 대한 쿼터 배분량은 외국기업들이 대량수출을 기대하기 어려울 만큼 소량에 그쳐 중국정부가 과연 국영기업이 석권하고 있는 시장을 자유화할 의지가 있는지 심각한 의문을 야기할 정도이다.
반덤핑ㆍ세이프가드 조치는 2002년부터 발효되었는데 중국 법령에는 그러나 외국기업들에 대한 투명하고도 공정한 대우를 보장할 구체적 내용이 결여돼 있으며, 투명성 부족, 반덤핑 피제소시 비밀정보에 대한 보호 미흡, 무역구제조치에 대한 공정한 검토 미흡 등이 주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 화학 등 자국 민감 품목의 보호를 위해 반덤핑 조치를 남용하고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 되고 있다.
투자관련 조치 분야에서는 중국은 WTO 가입 후에도 당초 약속과는 달리 외국인 투자기업들에게 수출실적, 현지부품 조달비용 등과 같은 사항들을 지키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 2002년 4월 1일 발효된 ‘산업부문 외국인 투자지침’과 ‘외국인투자방향지침’의 내용은 WTO 가입 시의 약속에 대체로 부합되긴 하지만 구체적인 사업부문, 지역, 숫자 등과 관련한 제한철폐약속을 어떻게 지켜나갈 것인지에 대한 내용은 구체화하지 않고 있다.
중국의 WTO 가입 이후 한국의 수출과 투자의 대중국 의존도가 급상승하였으나, 중국의 대외경제정책이 변화되면서 한국의 대중국 수출에 대한 리스크도 증대되고 진출기업의 비즈니스 환경도 급변하고 있다. 한국의 대중국 수출의존도는 2001년 12.1%에서 2006년 1~9월에는 21.3%로 상승하였으며, 한국의 해외투자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투자 잔액 기준)은 2001년 말 15.7%에서 2006년 9월 말 24.6%로 높아짐 (자료 : 양평섭 ; 구은아 [공저] , 「중국의 WTO 가입 5주년 결산 : 중국의 대외경제정책과 한ㆍ중 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
중국의 통상정책 변화는 우리의 대중국 수출을 외축시키고, 중국시장에서 우리 기업의 입지를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중국의 통상정책의 변화는 중국과의 경제 교류에 커다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의 경우 가장 큰 교역 대상국인 중국의 통상정책 변화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세심한 분석이 요청되는 시점이다. 그러므로 중국의 통상정책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중국 시장의 접근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중국의 대외경제정책 변화에 따른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중국이 취약한 핵심부품과 첨단소재산업에서 중국에 비해 비교우위를 지속시킬 수 있는 연구개발 투자확대 또는 한·중 FTA, 전자무역 활성화 등 중국과의 거래비용을 줄이고 중국시장에서 우리 기업 경쟁력을 높이는 레버리지로 이용, 수출시장과 투자지역의 다변화를 통해 과도한 대중국 수출과 투자의존도를 낮추는 등의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참 고 문 헌
Ⅰ. 국내문헌
강효백, 「중국 2004년 대외무역법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논총 제40집, 2006
김선화, 「중국의 개혁·개방과 대외무역에 관한 연구」, 대구대 대학원, 2005
김익수, 「중국의 WTO 가입이 동아시아와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1999
김중수, 「중국의 대외무역정책과 체계」, 2002
무역협회,「중국의 WTO 가입과 시장 개방 이행 현황」, 2002
박정규, 「중국의 통상정책과 한국기업의 대응전략」, 동아대 동북아국제대학원, 2005
박형래, 「사례로 보는 WTO 와 무역마찰의 이해」, 두남, 2005
서위, 「중국 WTO가입 이후 통상제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 우석대 경영행정대학원, 2006
세관총서 공고 2004년 제 72호, 상부무
양평섭 ; 구은아 [공저] , 「중국의 WTO 가입 5주년 결산 : 중국의 대외경제정책과 한ㆍ중 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
양평섭, 「중국의 對한국 공산품 수입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오용석, 「현대 중국의 대외경제정책」, 서울: 나남출판, 2004
오영주, 「中, 2009년 수출입 평균 관세율 9.8 유지」, 2008
윤희숙,「중국의 WTO 가입 7주년」 對中 투자전략, 경영교육논총. 제50집 (2008년 4월), 2008
이춘삼,「중국통상법」, 2004
이흠,「중국의 통상정책에 따른 한국기업의 대중국 투자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조선대 대학원, 2007
장려나,「WTO체제하의 대중국 특별세이프가드 제도에 대한 연구」, 인하대 대학원, 2007
정소,「WTO가입 후 중국무역관리제도 변화에 관한연구」, 우석대 대학원, 2007
정하,「중국의 통상정책 전환에 관한 연구:무역구조 개선을 중심으로」,인하대대학원, 2008
주중 한국대사관,「14개 수입허가품목 해제 12개 품목에만 수입허가증 관리」, ‘2005년 중국시장경제발전보고’, 2002년 www.china.com
최복염,「중국 WTO 가입과 한·중 경제교류 확대에 관한 연구」, 세종대 대학원, 2008
한국 무역협회, 「WTO 협정해설」, 1999
KIEP, 오늘의 세계경제, 06-40, 2006년 12월
Ⅱ. 국외문헌
法律出版社,「中華人民共和國加入議定書」, 第5條, 「中國加入世界貿易組織法律文件」, 2002
劉燕,「人世兩年縣法規不足‘反等三條貿易條例改正」, www.WTOinfo.net
北京師範大學經濟與資源管理硏究所, 2003
中國商務部中國海關總署,「海關總署關於對<中華人民共和國海關進出口稅則>進行調査的有關事項的公告」, 「入世一年 : 海關法增加的十項內容」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10.01.08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25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