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변증 A+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경변증 A+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간경변증

1)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진단


2.간호

1) 간호계획
2) 간호수행

Ⅲ. 결론

Ⅳ. 용어정리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환은 대부분의 비처방약물을 대사할 수 없기 때문에 간독성이 있는 약물을 피하도록 교육
④ 술을 지속적으로 마시는 것은 간 합병증의 위험이 증가되므로 금주를 격려
+금주 단체와 같은 지지 집단의 지원을 받도록 연결.
⑤ 식도나 위에 정맥류가 있으면 아스피린을 피하고 출혈을 예방하기 위하여 기침을 조절해야 함을 교육
⑥ 간에서 응고인자를 생산하지 못하기 때문에 출혈할 수 있으므로 자극적이고 거친 음식 섭취를 금하고 대변 볼 때 긴장, 기침, 재채기, 구역질과 구토 등 문맥압을 증가시키는 활동을 피하도록 교육
그 외. 적절한 휴식 기간, 합병증의 조기 증상을 감지하는 방법, 피부 간호, 약물 요법시 주의 사항, 출혈관찰, 감염으로부터 보호에 대한 지시를 포함, 성 문제에 대한 상담 정보가 필요할 수도 있음,
Ⅲ. 결론
우리는 000님이 과거 알코올성 간경변증으로 현재 간호입원 정보지를 보고 진전상태와 어떠한 위험진행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간경변증의 원인과 증상과 간호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우선 간경변증은 간 실질세포의 광범위한 퇴행과 파괴가 특징임을 알게 되었고 섬유증에 의해서 혈액, 담즙, 간대사물질 등의 흐름이 변화되고 간세포, 담세관, 맥관, 망상세포 등이 변할 때 발생함을 알게되었다. 원인으로는 괴사후 간경변증, 울혈성 간경변증, 담즙성 간경변증, 만성 알코올성 간경변증으로 크게 네가지로 나눠져 있었는데 000 환자의 경우에는 20년간의 음주습관으로 만성알코올 간경변증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간경변증인 경우에 혈액, 담즙, 간대사물질 등의 흐름이 변화되는데 이를 통해 담즙이 혈관으로 역류해서 피부에 소양감을 느끼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환자가 현재 가지고 있는 증상들로 내치질과 복부팽만이 있었는데 이는 진전된 간경변증의 증상으로 복부팽만의 경우 현재 환자가 복수까지 차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환자의 영양상태가 불량한 상태인데 이는 진전된 간경변증의 병태생리적 근거인 것으로 미루어보아 환자의 상태는 진전된 간경변증임을 알 수 있었다.
환자가 계속해서 부적절한 식사를 하는 등 영양상태가 불량으로 지속 될 시 엽산결핍이 나타날 수 있는 점을 교육해주어야 한다. 적절한 영양섭취를 위해 매일 칼로리를 계산하고 I/O check를 해줘야하며 불필요한 피로를 피하게 하기위해 적절한 활동을 유지시켜줘야한다. 또한 알코올을 포함하여 간의 독성 물질로 알려진 모든 약물들의 투여를 금지해서 간의 손상 위험성을 피해야 한다. 간 기능 약화로 혈액응고인자가 감소하기 때문에 간경변증 환자들은 출혈의 위험성이 큰데 출혈예방을 위해 신체 장기에 압력을 가하게 하는 일은 되도록 하지 않으며 칫솔질을 하는 경우에도 부드러운 칫솔을 사용하도록 교육시켜줘야 한다. 또한 간경변증은 만성질환이고 지속적인 건강관리가 필요한 만큼 가족들에게도 함께 교육해주어야 하는데 치료를 즉각적으로 받게 하고 음주습관도 함께 고쳐나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이 환자의 경우 식도 정맥류가 있기 때문에 아스피린을 피하고 출혈을 예방하기 위하여 기침을 조절해야 함을 교육시켜줘야 한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합병증의 조기증상을 감지하는 법들을 교육시키는 것이다.
우리가 part 1 시나리오에서 만난 000님은 만성 알코올성 간경변증이며 현재 증상들을 통해 진전된 간경변증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간경변증은 합병증의 경우 더 위험하기 때문에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간호가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Ⅳ. 용어정리
용어
발음기호

섬유종, fibroma
[fa|brom]
결합조직을 형성하는 섬유세포와 섬유에 의하여 구성된 양성종양
망상세포, reticular cell
[ritikjulr sel]
골수, 비장, 림프절 등의 조혈조직 또는 림프계 기관의 뼈대로서의 망상조직을 형성하는 세포
사염화탄소, carbon tetrachloride
[k:rbn tetrkl:raid]
에테르 냄새가 나는 무색 액체이며 오존층파괴물질로 알려져 있다
비소, arsenic
[:rsnk]
의약품과 농약 등에 사용되었고 합금재료와 반도체 제조 등에 요긴하게 사용됨.
그러나 심각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아주 유독한 원소.
주혈흡충증, schistosoma
주혈흡충(schistosoma)에 의해 발생하는 기생충성 질병. 주로 물속에 있는 주혈흡충의 유미유충이 피부를 뚫고 침입한 후에 감염이 일어난다.
저프로트롬 빈혈증,
hypoprothrombinemia
혈중의 프로트롬빈(제II인자)량이 감소된 상태.
혈중농도가 15% 이하로 감소하면 비출혈, 피부점막출혈, 근육내출혈, 월경과다 등을 초래한다.
프로트롬빈 시간,
prothrombin time, PT
[prouθrmbin tam]
출혈시간에서 프로트롬빈이 형성될 때까지의 시간,
응고인자들을 평가하는 검사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알라닌 아미노전이요소
[lni:n mi:noutrnsfreis]
간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
주로 간세포가 손상을 받는 경우에 혈중으로 방출되어 혈중 수치가 증가한다.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요소
간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 주로 간세포가 손상을 받는 경우에 혈중으로 방출되어 혈중 수치가 증가한다.
LDH, Lactate dehydrogenase, 젖산탈수소효소
[lk|tet dehydrogenas]
함(含)아이소자임(isozyme) 동위효소.
세포의 파괴가 생기면 증가
글루콘산칼슘, Calcium Gluconate
[|klsim lu:kneit]
백색 결정성 또는 알맹이 모양의 분말로 냄새가 없고 맛이 없는 칼슘염류 강화제.

1g = 1000000ug (ug: 마이크로그램)
아편제
마약의 일종. 종류로는 opium(아편)에서 추출한 morphine과 codeine 등이 있다. 정상적으로는 극심한 스트레스 상태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고통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Ⅴ.참고문헌
이항련 외(2007). 성인간호학 Ⅰ. 수문사. p 476~491
전시자 외(2011). 성인간호학 상권. 현문사 p. 218~221, 231~234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6.10.17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8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