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교육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교육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세워져 지방의 미션학교의 효시가 됨.
㉡ 1906년 숭실학교에 대학부가, 1910년 이화학당에 대학부가 설립되어 고등교육 담당.
㉢ 지방에 선교사들에 의해 다수의 미션계 학교들이 설립됨.
㉣ 군산의 영명학교, 순천의 성은학교, 개성의 송도학교, 목포의 영흥학교, 광주의 숭일학교, 평양의 숭인학교, 강계의 영실학교, 성진의 보신학교. 보신여학교 등이 세워짐.
㉤ 1910년 까지 설립된 신구교계의 학교는 총 796교였음(이들 중 신교계 학교는 666개)
㉥ 대구에는 1906년 계성학교가, 1907년에는 신명여학교가 건립됨
㉦ 신학제의 제정과 관학의 성립: 1894년 갑오경장 이후 신학제를 실시, 예조를 폐지, 과거제 페지를 하고 학무아문을 두어 학사를 관리함.
㉧ 1895년 1월 고종이 홍범14조를 발표하는 가운데 “외국의 학술과 기예를 전습시킨다” 라고 하여 근대교육을 받아들일 것을 공포.
㉨ 1895년 2월 교육입국의 조서를 내림.
㉩ 1895년 4월 교사양성을 목적으로 ‘한성사법학교 관제’를 공포-->그 뒤 정부는 각종 학교관제와 규칙을 발표
1895년 외국어학교, 법관양성소, 1899년 경성의학교, 1900년 한성고등학교(현, 경기중,경기고), 1904년 농상공학교 등 관립학교 건립.
㉪ 1905년 11월 을사조약을 계기로 통감부가 설치됨.--->일제는 식민지교육 정책을 위해 여러가지 교육법령을 제정, 공포함.
- 소학교를 보통학교로 개칭, 수업연한을 6년에서 4년으로 단축, 초급학년에 일어 부과
- 1906년 동화정책의 일환으로 관.공립 보통학교를 확장-->1909년 까지 60여개의 보통학교 신설
- 중등교육의 특징: 종래의 중학교를 고등학교로 개칭.(일제는 고등학교를 한인의 최종학교로 삼으려 함)--> 이에 따라 3개 고등학교가 개편, 신설되었음(관립 한성고등학교, 관립 평양고등학교, 한성고등여학교).
- 1909년 실업학교령 공포--> 관립 인천실업학교, 공립 부산실업학교, 평양에는 정주실업학교를 세움.
- 1910년 평양농학교, 대구농림학교, 전주농림학교, 군산실업학교, 춘천실업학교 건립.
㉯ 민간인 사립학교 설립
㉠ 초기 민간인 사학의 효시: 1883년 덕원읍민들이 세운 원산학교
㉡ 1895년 민영환이 외국어와 선진기술을 가르치기 위해 흥화학교 건립
㉢ 1896년 중교의숙(中橋義塾), 1899년 안창호에 의해 점진학교(남녀 공학의 최초 소학교),
㉣ 1902년 우산학교, 1904년 상동교회 목사 전덕기가 청년학원 설립, 1905년 엄주익이 양정의숙을 설립, 1905년 이용익(李容翊)이 보성학교(현, 고려대 전신)
㉤ 각종 학회에 의해 세워진 사립학교: 서우학회는 1907년 서우사범학교 설립, 서북학회는 1907년 서북 협성학교 건립(오늘날의 광신 중. 상업고등학교의 전신), 1908년 기호흥학회에 의해 기호학교가 건립(후에 유길준, 오세창에 의해 세워진 융희학교와 통합하여 중앙학교가 되었는데, 오늘날 중앙중. 고등학교의 전심이 됨). 대동학회는 1908년 대동전수학교 건립, 대한동인회에서는 동인학교를 창립, 보인학회는 1908년 보인학교 건립, 여자교육회는 1906년 양규의숙 건립.
㉥ 을사조약 후 세워진 사립학교 : 1906년 민영휘가 휘문의숙 설립, 남궁억이 양양에 현산학교 건립, 이용익이 보성중학교 건립. 1907년 안창호는 평양에 대성학교를 건립, 1907년 이승훈이 강명의숙. 오산학교 건립 1907년 이봉래의 봉명학교, 유일선의 정리사, 이종호의 경성 중학교, 김구가 책임자로 있었던 양산소학교
㉦ 여자 사립학교 : 1897년 정선여학교, 1905년 서울에 태평동여학교, 1906년 진명여학교, 숙명여학교, 양규의숙(후에 경성여학교로, 다시 덕수소학교로 개칭됨) 건립, 1907년 명진여학교, 여자보통학원, 1908년 동원여자의숙, 보명여학교, 승동여학교, 양정여학교, 양원여학교가 세워짐.
여덟째, 일제 침략기의 교육
1) 식민지 교육의 성격 :
① 일선동조론에 따라 동화교육정책을 추진-내선일체론
② 신도사상을 내세워 국가주의, 제국주의적 성격을 띠었음.-->우리나라 전역에 신사를 설치 참배하도록 강요함.
③ 한국인을 우민화시켜 하급관리, 사무원, 근로자 양성을 목적으로 함.-->민립대학이나 고등교육기관의 건립을 인정하지 않음.
④ 우리의 글, 말을 말살하고 역사를 왜곡시켰으며, 조상을 잊게 했음.
⑤ 복선형 교육제도 운영--> 일인들이 다니는 학교는 소학교, 중학교, 고등여학교라고 하면서 우리에게는 ‘보통’이라는 말을 붙여 보통학교, 고등보통학교, 여자고등보통학교라고 명명.
⑥ 엄격한 중앙집권적 제도에 의해 교육행정 운영-->조선총독부에 학무국을 두어 교육법령 제정 및 교과서 편찬에 이르기까지 모든 교육행정사무 관장.
⑦ 사립학교보다는 관. 공립학교를 우위에 둠.-->일류공립학교주의 풍조를 낳게 함.
⑧ 식민지 교육은 유교의 봉건주의 사상을 강화시켰음.-->지배, 복종의 상하관 및 차별관을 낳게 함.
2) 침략기 교육의 구분과 특징
① 1차 교육령 시행기(1911-1921): 1911년 조선교육령 반포후 한국민족의 우민화 정책 추진
② 2차 교육령 시행기(1922-1937): 문화적 회유를 위한 교육추진
③ 3차 교육령 시행기(1938-1942): 전쟁을 위해 교육기회 확대
④ 4차 교육령 시행기(1943-1945): 민족 말살을 위한 황국신민화 정책 추진
아홉째, 현대 한국교육의 변화와 방향
(1) 새교육 운동
-교육의 과학적 연구를 위한 표준화 심리검사, 학력검사 등의 제작 보급
(2) 한국의 현대교육
㉠ 식민지적 잔재를 청산하려는 작업
㉡ 수정, 보완된 단선형 학제의 평준화 교육은 국제화, 개방화, 정보화 등 급변하는 사회변화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취약점을 지님
㉢ 중등교육 기관의 진학률의 거의 100퍼센트에 달함
㉣ 고등교육 : 현대 한국교육의 양적 팽창 체제에서는 선진국의 교육기관들이 국제경재에서 이기기 위해 우수인력을 적시에 길러낼 수 있는 수월성 추구에 교육의 목표를 두고 있음.
㉤ 교육시장 개방 등 급변하는 교육 환경의 변화
㉥ 교육수요자와 소비자들에게 초점을 두는 것은 획기적인 변화라고 하지 않을 수 없음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8.04.02
  • 저작시기201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16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