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개념과 정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의 개념과 정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육의 어원
2. 교육의 기본적 의미
3. 교육의 정의
1) 조작적 정의
2) 기능적 정의
3) 규범적 정의
4) 교육학자들의 정의

본문내용

child and the Curriculum.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Dick, W. and Carey, L.(1996).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al(4th ed.). N.Y.: Harper Collins College Publishers.
Fllis, A. C.(1995). Changing Rational-e-Behavior Therapy, 13.(2), 85-89.
Gagene, R. M., Brggs, L. J. and Wager, W. W. (1998). Principle of instructional design(3rded.). N.Y.: Holt, Reinhart & Winston.
Lengrand, P. J.(1988). An Introduction to Lifelong Education. London: Croom Helm Ltd.
Miationalalaret, G., (Ed.)(1985). Introduction to the educational science. Paris: UNESCO; · 신태진·고요한 (공역), 교육과학입문. 서울. 학지사.
Omstein, A, C., & Levine, D. U. (2006). Foundations of education (9thed). Boston, MA: Houghton Mifflin; 김성봉·박정환·박종필·박태수·
Pestalozzi, J. H.(1894). How Gertrude Teacher Her Children. London: Swan Sonnenschein.
Peters, R. S.(1966). Ethics nd Education. London: Georoge Allen and unwin.
Piaget, J.(1970). Science of Education and the Psychology of the Child. New York: Grossman Publishers, Inc.
Rousseau J. J.(1974). Emile. London: J. M. Dent.
Seels, B. B. & Richey, R. C.(1994). Instructional Technology: The definition and domains of the field. Washington, D, C.: AECT.
Tyler, R.(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universityof Chicago Press.
Vygotsky, L. S.(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mental process. MA: Harvard Univeristy Press.
Weiner, B.(1980). Human motivation.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Vygotsky, L. S.(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mental process. MA: Harvard Univeristy Press.
Weiner, B.(1980). Human motivation.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연습문제>
1. 동양의 고전에서 ‘진심장구(盡心章句)’상편에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君子有三樂)을 소개하여 교육이라는 단어를 최초로 사용한 유학 경서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① 맹자 ② 논어 ③ 중용 ④ 대학 ⑤ 순자
2. 인간의 특징을 규정하는 말에는 ① 이성적 동물 ② 교육적 동물 ③ 사회적 동물 ④ 언어적 동물 ⑤ 도구적 동물’ 등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세 사람이 함께 가면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三人行必有我師焉)’는 공자의 말에서 알 수 있는 것은?
3. ‘인간행동의 계획적인 변화’라는 교육의 정의는 비의도적인 교육이나 잠재적 과정을 통한 교육들이 제외된다는 점에서 교육을 다소 좁게 규정하기는 하지만 교육의 기본적인 구성 요소와 교육적 과정의 성격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교육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 정의 방식은?
① 기능적 정의 ② 규범적 정의 ③ 심미적 정의 ④ 정의적 정의 ⑤ 조작적 정의
4 . 교육을 인간이 이상을 향해 도덕적, 인격적으로 도야하는 활동이라고 하면서 이상주의적 규범교육, 인격교육에 바탕을 둔 본질적 교육관을 갖은 사람은?
① 페스탈로치 ② 피히테 ③ 엘렌케이 ④ 칸트 ⑤ 루소
5. ‘독일 국민에게 고함’이라는 강연을 통하여 교육입국론을 부르짖으면서, 국민교육을 신교육으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역설하고 진정한 노작교육(勞作敎育)의 실천을 주장한 사람은?
① 페스탈로치 ② 피히테 ③ 엘렌케이 ④ 칸트 ⑤ 루소
정답
1-① 2-② 3-⑤ 4-④ 5-②
다음 문장중 빈곳( )에 알맞은 말은?
동양에서는 윗사람이나 어린이 아이들에게 무엇인가를 가르쳐서 착한 방향으로 이끌어 가는 데 교육의 초점을 두고 있다. 이는 교육이 행해지는 방향이 학습자의 ( )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서양은 아이들이 자신의 내부에 존재하는 재능과 잠재능력을 밖으로 표출하고 실현할 수 있도록 돕는 데 교육의 초점을 두고 있다. 이는 교육이 행해지는 방향이 학습자의 ( ) 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다음 문장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은?
( )는 활동 그 자체의 의미나 목적에 의해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을 위한 수단이나 도구로 규정하는 것이다. 교육의 ( )는 교육이 수행하는 외적 기능을 중심으로 교육을 정의하는 방식이다.
3. 다음 문장을 주장한 교육학자는 누구인가?
한 개인의 인간성을 완성하여 인간개조를 도모하고, 개조된 인간을 통하여 사회개혁을 이룩하려는 데 교육의 목적을 두었다. 인간정신의 3대 근본동력인 정신력(知, Head)은 이성적인 지가 되고, 심정력(意, Heart)은 도덕적 의가 되고, 기술력(行, Hand)은 신체적인 행이 된다는 조화된 인간을 교육목적으로 삼았다.
1. 밖에서 안으로, 내부에서 밖으로
2. 기능적 정의
3. 페스탈로치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8.08.02
  • 저작시기201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97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