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배경론] 김태자전과 구운몽에 나타난 유교불교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문학배경론] 김태자전과 구운몽에 나타난 유교불교도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불교 속의 문학, 문학 속의 불교

2. 기이한 세계가 전개되는 문학 속의 도교

3.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


Ⅲ. 결론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의 일생 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민음사, 2001), 68쪽
의 서사적 구조는 종국에는 立身揚名하여 衛國安民을 성취한다는 틀을 벗어나지 않고 있으며,
소선과 성진은 고대 영웅담의 영웅과 마찬가지의 삶을 살아간 것으로 소설화 된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석가의 본생담을 바탕으로 한 김태자전과, 몽자류 소설의 효시인 구운몽을 비교해 봄으로써 고소설에 나타난 유교ㆍ불교ㆍ도교의 모습을 알아보았다. 목적성을 가지고 쓰여진 본생담은 중생의 제도를 통해 중생과 함께 하는 대중 불교, 대승 불교의 성격을 지녔으며, 또한 목적하고자 하는 바를 잘 나타내었다. 그리고 온갖 부귀영화가 한낮 일장춘몽에 지나지 않았으며, 현실의 괴로움을 초월하여 불교에 귀의하는 구조의 구운몽은 당시 민중들에게 진통제와 같은 구실을 하였던 것이다. 이렇게 해석할 때에 너무 문학의 효용성에만 초점을 맞추어 풀이해 나아가는 것은 아닌가 의구심이 들기도 하지만, 종교가 문학에 나타나 효용적인 역할을 하는 것은 전부가 아닌 일부인 것이며, 이러한 종교의 제 1의 의의 朴晟義, 전게서, 67쪽
는 인생을 무사히 지내고 백년을 안락하게 보내고자 하는 데 있는 것이며, 양생 혹은 소원으로 장수하고자 하고, 혹은 염불로써 재화를 쫓고 행복을 얻으며, 선계를 그려 불사를 꾀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교사상은 소위 인간의 힘이 미치지 못하는 경우 비로소 타인의 힘을 우러러 바라보는데서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종교는 일종의 인생학이라고 일컬을 수도 있으니, 인생의 사진이라고 하는 문학에 인생학인 종교의 신념이 스며들어 있는 것도 당연한 일이다. 즉, 소설에 나타난 종교적 의식 및 사상은 당시 민중들에게 위안을 제공하여 현실에서의 안주를 꾀하고, 더 나은 세상에 대한 희망을 가지게 해주어, 정서의 풍요를 도모함으로써 새로운 세계를 지향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 참 고 문 헌 ■
ㆍ이형기ㆍ이종찬ㆍ김태준ㆍ홍기삼. 불교문학이란 무엇인가. 동화출판공사. 1991
ㆍ見利文周. 現代佛敎文學入門. 法藏館. 1983
ㆍ根源說話硏究. 印權煙. 人文論集 제8집. 高麗大學校文科大學. 1967
ㆍ鄭漢模金容. 文學槪說. 博英社. 1999
ㆍ朴晟義. 韓國文學背景硏究(上). 三友社. 1975
ㆍ김기동ㆍ전규태. 한국고전문학 100 김태자전. 서문당. 1984
ㆍ김만중. steady books 21구운몽. 청목. 2001
ㆍ김흥규. 한국문학의 이해. 민음사. 2001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8.11.24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3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