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논문 - 성찬성례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논문 - 성찬성례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성만찬의 어원 정의
2. 성찬의 이해
3. 성찬의 개념 명칭
4. 성찬과 예배
5. 성찬과 관련된 신학적 용어
6. 성만찬의 변천
7. 한국 교회의 성만찬의 이해와 실제
8. 떡과 포도주 - 성물(Bread and Wine, Elements)

Ⅲ. 결 론


* 참고 문헌

본문내용

수에서 그리하고, 또한 성만찬에 대한 이해에서도 그러하다.
어찌되었든 성찬 예전은 실제 현장에 있어서는 \"나를 기념하라\"라는 언어적 의미 외에는 그 이상의 신학적 의미 부여에 무관심한 것을 느끼게 된다.
또한 이 성찬예전이 개신교 예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 모를 정도로 형식적으로 행하여진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현시대 목회자들은 도 모두에게 귀중한 성례전에 대한 올바른 신학적 이해를 필요로 하게 된다.
왜냐하면 교회는 단순히 말씀만 듣고 살아가는 공동체가 아닌 주님이 제정하신 성례전 가운데서 경험하고 깊이 깨달은 신앙 안에서 주님과 함께 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말씀과 성례전이 함께 이상적으로 행하여지는 교회가 되기 위하여서 우리는 보다 관심을 기울여서 성만찬을 다시금 바라보며 연구하여야 할 것이다.
예배 상실의 오늘, 하나님이 받으시는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예배, 성경에 근거한 예배, 우리의 삶이 온전히 드려지는, 하나님이 기뻐 받으시는 예배가 드려지길 소망하며 예배 예전의 회복을 기원한다. 그래서 다섯 가지의 의문을 제기하고 싶다.
첫째, 성서와 예배전통에 나타난 성찬 경험은 다양하다. 성찬을 통해 회중은 하나님 앞에서의 억제할 수 없는 기쁨으로 인해 감사를 드린다. 성찬의 자리에서 회중은 삼위하나님께서 행하신 사랑의 사역을 기억하고, 현재의 사역을 경험하며, 사역의 완성에 대해 배고파하고 목말라한다. 성찬의 자리에서 각각의 신자들은 자신들이 그리스도의 마음과 숨결이 운행하는 그리스도의 가시적 몸(교회)으로 연합해가는 변모와 부활의 신비한 사건에 휘말린다. 또 이제 그리스도의 몸으로서 아버지에 대한 아들의 완전하고 유일회적 자기 봉헌과 희생행위에 참여한다. 성찬 안에서 회중은 전 피조세계가 그리스도의 몸으로 변화되는 우주적 종말론적 사건에 목말라한다(마라나타!). 어떻게 회중을 이런 다양하고 풍부한 성찬경험으로 인도할까?
둘째, 예배는 다양한 소재와 매체로 이루어진 상징시스템이다. 설교가 주로 사용하는 문자적 언어와 음성 그리고 합리적 개념이라는 소재 외에도 비문자적, 물리적, 직감적 언어들, 예를 들어 행위, 빛깔(예배색), 맛(떡과 포도주), 이미지(공간, 상징물), 리듬(음악, 예배력)을 사용한다. 인간의 의식뿐 아니라 몸과 무의식까지 아울러 인간을 총체적으로 건드리는 언어매체들에 대한 감각을 훈련시키고 그러한 언어 개발에 더욱 관심해야 하지 않을까?
셋째, 예배 언어와 상징은 회중에게 그리스도교적 삶의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자신과 세계에 대한 이해와 자세를 빚어내는 힘이 있다. 회중의 구체적 삶의 실천은 반대로 예배의 언어에 삶의 무게와 결, 그리고 에너지를 제공한다. 성찬은 삶을 형상화시키며 삶은 성찬을 살아 있는 언어로 만든다. 이러한 예배와 삶이 균형을 잃을 때 예배는 그 충격과 도전적 차원을 상실하고 공허한 말과 거짓으로 타락하며, 삶은 해석의 틀을 잃어 무의미한 형태 (chaos:흑암과 깊음)로 전락한다. 삶이 담긴 성찬예문과 성찬 이미지로 회중의 삶을 빚어 내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하지 않을까?
넷째, 성찬은 화해와 일치의 성례다. 성찬의 체험은 단순히 성서적, 역사적, 신학적 지식으로 얻는 것이 아니라 참된 화해와 일치의 구체적 삶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성찬은 따라서 그것이 집례를 위해 사용하는 문자적, 비문자적 언어뿐 아니라 회중의 구체적 삶에서 모든 종류의 구별과 차별을 극복해 내려는 목회 배려가 있을 때 가능하다. 이때에만 전 우주의 화해를 목말라하는 성찬의 근원적인 경험에 회중이 진입할 수 있지 않을까?
다섯째, 성찬회복은 어느 개인이나 공동체가 감당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목회자, 평신도, 신학자, 교단 정책수립자, 음악가, 건축가, 안무가, 미술가, 의상디자이너 들이 참여한 토의 집단을 구성해야 한다. 목회현장에서 같이 예배를 드리고 그 경험을 나누는 프로그램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이정현,「개혁주의 예배학」(도서출판지민, 2009), 531-532.
성찬회복운동은 그 본질에 있어서 단순히 예배문의 구조 갱신의 문제가 아니라 이러한 우주적, 종말론적 화해의 메시지에 정직하고 용감하게 자신을 노출시키는 신앙운동이며 교회갱신운동이다. 현재 교회에서 성만찬은 분기에 한 번 정도 씩 시행되고 있다. 그 이유 중에 하나는 너무 자주 시행하게 되면 신비함과 긴장이 완화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교회의 전통 가운데 성례는 예배에서 상당한 위치를 치지한 것도 사실이다.
성례전이 가지는 신학적 의미는
첫째, 모든 예배자들에게 하나님의 은혜를 전달하는 방편이다.
둘째, 성례전은 하나님의 은혜와 선포와 예배자들의 진지한 응답으로 나타나는 현장이다. 셋째, 성례전을 통하여 하나님은 사랑의 실체로서 자신을 우리에게 주시는 것이다.
넷째, 성례전은 성도들을 공동체의식을 재확인하는 예전이다.
마지막으로 성례전은 화육적(incarnaonai respect) 관계형성을 이루는 통로로 계속적으로 다짐되어야 한다. 이미 주님은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내 안에 거하고 나도 그 안에 거하나니”(요6:56)라는 말씀을 주셨다. 그러므로 성례전 사건은 개인에게 그리스도와의 상관관계를 연속시키는 것이어야만 한다.
* 참고 문헌
국내서적
곽노광. 예배학개론, 성지원 1994
김석한. 개혁주의예배의 이론과실제, 영문 2002
김동수. 예배학개론, 서울:대한기독교서회 2004
정일웅. 기독교 예배학 개론, 서울: 이레 2003
가흥선. 성만찬과 예배갱신, 서울:나단 출판사 1998
정용섭. 교회갱신의 신학, 서울: 대한 기독교 서회 1988
민장배. 예배학, 세화출판사 2009
이정현. 개혁주의 예배학, 도서출판지민 2009
이장식. 예배와 성찬의식 기독교 사상, 두란노 2005
번역도서
J.I PACKER, EUGINE PETERSON. 기독교교양, 규장 2007
제임스 F, 화이트. 기독교예배학 입문, 서울: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00
논문
김상철. “성만찬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결교신학대학원. 1994.
강태원. “성만찬 예식의 실제 및 방안” 석사학위논문: 성결교신학대학원. 2006.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9.01.09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6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