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주의(corporatism)의 북한적 준거틀 마련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합주의(corporatism)의 북한적 준거틀 마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ⅰ. 문제제기
ⅱ. 연구방법 및 범위

Ⅱ. 조합주의의 정의
ⅰ. Shimitter
ⅱ. Stepan
ⅲ. Williamson

Ⅲ. 조합주의의 분류 및 적용 사례
ⅰ. 중국의 배제적 조합주의
ⅱ. 베트남의 융합적 조합주의

Ⅳ. 조합주의의 북한적 준거틀 마련
ⅰ. Cummings의 유교적 조합주의의 불합치성
ⅱ. 북한의 근로단체의 조합주의적 성격 모색
ⅲ. 기업 내 사적행위의 조합주의적 가능성 모색

Ⅴ. 결어

본문내용

필요성을 유도하는 어떤 특수한 제도적 틀은 없다는 것이다. 조한수, “조합주의에 대한 이론적 고찰”, 경남대학교대학원, 1986, p.51 재인용
한편 의식적으로 조합주의를 연구하는 데에서 보여지는 문제점들을 보면, 첫째로 조합주의의 형성은 지배계급 부문에 대해 관심을 소홀히 하고 있으며, 둘째로 조합주의의 정착은 지배력의 기능적 분화의 이해에서 완전한 의회민주주의의 초기형태에로의 회귀가 일시적으로 보여지고 있으며, 셋째로 조합주의의 통합구조는 특히 노동계급의 정치참여를 그럴듯하게 간주하는 것으로 근본적전통적으로 대표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조합주의는 경제적 범주 내에서 배제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더구나 거기에는 임금정책과 다른 밀접히 연계된 일부 주요관심사에로 초점을 좁혀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조합주의가 사회분석을 위한 틀로서 사회과정에서 활용되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며, 엄밀한 개념적 정의가 정립되지 못한 체 다양한 현상들을 지칭하는 다의적인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조합주의에 관한 연구는 일반적인 국가수준, 또는 사회적 현상으로서의 다원주의, 신디칼리즘과 같은 정치문화의 대안으로 비교적 미시적 수준에서 관찰하려는 경향이 짙다. 조한수, “조합주의에 대한 이론적 고찰”, 경남대학교대학원, 1986, p.52 재인용
- 군부와의 관계에서 조합주의가 지니는 문제점은, 특히 중남미의 권위주의적 조합주의는 군부의 우월적 지배 속에 민군합동체제가 수립되고 있으며, 이러한 조합주의는 군부체제는 민중부문의 정치적 지지와 동원화를 거절하며 그 지지의 주된 근원을 바로 군부건설 자체로부터 구하고 있다는 데에 커다란 문제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합주의는 기존의 각종 국가체계이론과 더불어 현대의 다양한 체계를 설명하려는 충분히 이론적 기여를 하고 있음이 사실이다. 이러한 조합주의가 갖는 가장 큰 이론적 강점은 정책결정을 위해서 대중동원, 사회적 통제, 그리고 리더쉽 수준의 협력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통합되고 조직된 체계구조를 가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조합주의는 국가체계를 설명하는 새로운, 그러나 결코 새롭게 탄생한 것이 아닌, 이론적 패러다임으로서 계속해서 우리의 관심을 끌어오고 있으며 또한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는 데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
- 끝으로 이와 같은 조합주의 이론을 간략히 전망해 보면, 20세기 현실세계정치의 분석적 추출로서의 조합주의는 보다 긍정적이고 통합적인 면을 중심요소로 하여 합의상의 사회발전과 예견으로 나아갈 것이다. 여기에서 조합주의의 유용한 모델획득의 최선의 방법은, 결코 용어상의 연구에서가 아닌 경험적 추구를 통한 어떤 결실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연계된다. 따라서 조합주의에 관한 논의는 앞으로 어느 국가사회에서나, 비록 잠재적으로라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지속적으로 발전되어 나아가게 될 것이다.
※ 참고문헌
A. Etzioni, Die adtive Gesellsch-aft. eine Theorie gesellschaflicher und Politischer Prozesse, Opladen, 1975.
A. Stepan, The State and Society, New Jersey. 1978
B. Jessop, 유범상·김문귀 역,『전략관계적 국제관계 이론-국가의 제자리 찾기』, 서울: 한울, 2000.
S. White, 도성달·이명남 역, 『비교 공산주의 정치론』, 서울: 인간사랑, 1990.
김순주, 「1919-1945년의 일본의 노동통제성격변화에 대한 연구」, 연세대학교 지역학협동과정 동북아전공 석사학위논문, 2000.
김영래, 『한국의 이익집단』, 대왕사, 1987
김영진, 「노동조직과 국가 :조합주의적 전략과 그 한계에 대한 시론」, 중소연구,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1996.
김호진·이강로, 「조합주의 관점에서 본 민주화 과정에서 국가와 노동의 관계 변화」, 노동문제연구,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1991.
김황조, 『세계각국의 노사관계』, 세경사, 1995
사공영호·강휘원, 「사업자단체의 조합주의적 이익대표체제와 그 비용」, 한국행정연구 제10권 제1호, 한국행정학회, 2001.
선한승, 「중간집단의 조직과 기능이론에 관한 소고」, 『고려사회학집단』, 제5집, 1990
선한승, 서구사회 합의주의의 이론과 실제, 한국노동연구 제2집, 1991b
선한승,「국가와 사회계급의 통합이론 - 사회조정이론과 조합주의 이론을 중심으로」, 『고려사회학논집』, 제6집, 1991a
선한승·이해영, 『노동조합조직체제와 노사관계 발전방향』, 독일 프리드리히-에버트재단, 1996
이기동, 「조합주의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정치학과 석사학위논문, 1990.
임구호, 「러시아의 ‘약한국가’정책모형: 민영화정책을 사례로」, 현대사회와 행정 제7집, 연세행정연구회, 1997.
장대업, 「사회운동적 노동조합주의 비판 :다층적 가치전선과 사회적 노동운동의 가능성」, 마르크스주의 연구, 제6집 4호,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장용석, 「북한의 국가계급 균열과 갈등구조: 1990년대 경제위기 이후 변화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정치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전신욱, 「조합주의론의 노동정책적 함의」, 통일연구 제11권 제1호, 서경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2006.
정연식, 「사회주의시장경제와 조합주의: 중국과 베트남의 시민사회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정치학회보 제33권 2집, 한국정치학회, 1999.
졸고, 「현대국가의 체계변동과 계급조정론」,『현상과 인식』, 제15권, 1991; 「중간집단의 조직과 기능이론에 관한 소고」, 『고려사회학집단』, 제5집, 1990
최영기, 통일독일 구조조정기의 노사관계:도전과 응전, 구조조정기의 국가와 노동, 나무와 숲, 1998
최장집, 『한국의 노동운동과 국가』, 열음사, 1988
한국노동연구원, 독일의 협조행동 제도와 시사점, 사회적 합의와 노사관계, 1994
한상진, 「사회구조의 이해를 위한 정치사회학적 접근 :관료적 권위주의와 조합주의의 관점에서」논문집2, 한남대학교, 1985.
홍득표, 『정치과정론』, 서울: 학문사, 1999.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9.01.11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70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