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아동간호학실습]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간호과정 1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ase study, 아동간호학실습]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간호과정 1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과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진단
5) 치료
6) 간호
3. 기본정보
4. 간호사례 보고서

참고문헌

본문내용

0
23:00
05:00
08:00
11:00
14:00
17:00
BP
-
60/30
66/36
64/42
64/38
63/53
72/43
76/33
70/45
69/45
72/46
HR
140
138
142
146
142
127
159
146
150
161
152
RR
50
50
46
51
50
53
46
34
43
32
35
BT
36.3
36.6
36.6
36.5
36.5
36.5
37.0
36.5
36.5
36.5
36.7
SpO2
80
99
99
100
100
100
98
99
100
97
95
- 활력징후 및 산소포화도
- Chest A-P 결과 : R/O HMD
간호진단
폐 내 수분 흡수 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이내 산소요법 없이 SpO₂가 95-100%를 유지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1주일이내 ABGA가 정상수치를 유지한다.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진단적 계획>
1.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1. 치료과정에 대한 대상자의 상태변 화를 파악하고, 기초사정 자료를 확보할 수 있다.
(신생아 경우 매우 빨리 변하기 때문에 계속적인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2. 1시간마다 산소포화도를 사정한다.
2, 3. 저산소증을 예방할 수 있다.
3. 호흡양상과 피부색을 사정한다.
4. 1시간 마다 호흡곤란증상이 있는 지 사정한다.
(tachypnea, moaning sound, chest retraction, nasal flaring)
4. 신생아의 호흡곤란증상을 사정함 으로써 위험정도를 파악하고 호흡 기능 문제 파악 및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다.
5. 동맥혈 가스분석검사결과를 확인 한다.
5. 동맥혈 가스분석은 Sp0₂가 정상이 더라도 실제 혈액 내에 PO₂ 및 PCO₂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를 확 인할 수 있다.
<치료적 계획>
1. 필요시 의사처방에 따라 산소를 공급한다.
1. 적절한 산소요법으로 호흡곤란증 상을 완화시키고 SPO₂ 수치를 정 상범위로 유지 할 수 있다.
2. 호흡하기 용이한 자세를 취해준다.
2. 기관지가지와 폐포 안으로 산소가 들어가게 할 수 있다.
3. 수유를 천천히 수행한다.
3. 수유를 천천히 함으로써 호흡을 원활하게 하고 desaturation을 예 방할 수 있다.
4. 필요 시 호흡사정에 근거하여 구 인두, 비인두를 흡인한다.
4. 충분한 환기 및 산소화를 방해하 는 분비물을 제거할 수 있다.
5. 사정된 요구와 영아의 견디는 정 도에 근거하여 부드럽게 흉부 타 진, 진동, 체위배액을 수행한다.
5. 분비물의 배액과 제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간호중재
<진단적 계획>
1/30
2/6
08:28
11:00
14:00
17:00
20:00
23:00
05:00
08:00
11:00
14:00
17:00
BP
-
60/30
66/36
64/42
64/38
63/53
72/43
76/33
70/45
69/45
72/46
HR
140
138
142
146
142
127
159
146
150
161
152
RR
50
50
46
51
50
53
46
34
43
32
35
BT
36.3
36.6
36.6
36.5
36.5
36.5
37.0
36.5
36.5
36.5
36.7
1.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사정하였다.
1/30
2/6
08:28
11:00
14:00
17:00
20:00
23:00
05:00
08:00
11:00
14:00
17:00
SpO2
80
99
99
100
100
100
98
99
100
97
95
2. 1시간마다 산소포화도를 사정하였다.
3. 호흡양상과 피부색을 사정하였다.
→ 무호흡과 청색증이 관찰되지 않았다.
→ 얕고 고른 호흡을 하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 황달 착색이 남아있음을 관찰하였다.
4. 1시간 마다 호흡곤란증상이 있는지 사정하였다.
→ 경보기의 알람이 울릴 시 상태를 관찰하였다.
→ 빈호흡, 신음, 흉부함몰 모두 관찰되지 않았다.
검사명
1/30
2/3
2/5
pH
7.38
7.38
7.38
PCO₂
47▲
47▲
43
PO₂
47▼
42▼
39▼
5. 동맥혈 가스분석검사결과를 확인하였다.
<치료적 계획>
1. 필요시 의사처방에 따라 산소를 공급하였다.
→ 1/30 Hood O₂ 2L/min 적용하였으나 2/2 제거 후 산소요법을 사용하 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2. 호흡하기 용이한 자세를 취해주었다.
→ 목부분에 기저귀를 대줌으로 머리를 올려주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3. 수유를 천천히 수행한다.
→ 수유를 천천히 하였으며, 수유도중 앉아서 등을 툭툭쳐 트름을 시키 는 모습도 관찰하였다.
4. 필요 시 호흡사정에 근거하여 구인두, 비인두를 흡인하였다.
1/30
2/2
2/5
2/6
흡인
0
2
13
7
5. 사정된 요구와 영아의 견디는 정도에 근거하여 부드럽게 흉부 타진, 진동, 체위배액을 수행하였다.
→ 필요 시 흉부 타진, 진동, 체위배액을 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평가
단기목표
: 대상자는 3일이내 산소요법 없이 SpO₂가 95-100%를 유지한다.(달성)
대상자는 3일이내 산소요법 없이 SpO₂를 95-100%로 유지하였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ABGA가 정상수치를 유지한다.(확인불가)
대상자가 아직 퇴원을 하지 않아 평가할 수 없으나 마지막으로 검사 한 2/5 결과 ABGA가 정상수치를 유지하지 못했다.
4. 간호사례 보고서
6. 참고문헌
1) 김영혜 외(2015). 「아동간호학 총론」. 서울 : 현문사.
2) 성미혜 외(2015). 「간호과정의 이론과 적용」. 파주 : 수문사.
3) 홍경자 외(2016). 「아동건강간호학 Ⅰ」. 파주 : 수문사.
4) Aly H.(2004). 「Pediatrics in Review」.
5) 장지영(2008). “지속성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을 예측하게 하는 위험인자와 임 상경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드러그인포 https://www.druginfo.co.kr
7) 서울아산병원. “산소요법”.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management/managementDetail.do?managementId=306
  • 가격1,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21.10.28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576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