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공제회_사례해설 15 「경원자의 LPG 주유소 허가 사건」_Magic 사례연습 경찰행정법(1권)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찰공제회_사례해설 15 「경원자의 LPG 주유소 허가 사건」_Magic 사례연습 경찰행정법(1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LPG 충전사업허가

Ⅱ. 설문⑴의 해결
1. 문제점
2. 대상적격
3. 원고적격
⑴ 문제점
⑵ 의 의
⑶ 「법률상 이익」의 의미 - 「행정소송법 제12조 제1문」
1) 문제점
2) 학설 및 判例
3) 검 토(법률상보호이익설)
⑷ 공권의 확대화 경향
1) 공권의 성립요건
2) 공권의 확대화
⑸ 보호규범의 확대 - 「양적범위」
1) 문제점
2) 학설 및 判例
3) 검 토(헌법상기본권고려설)
⑹ 목적론적 해석 - 「질적범위」
⑺ 경원자관계
⑻ 사안의 경우
4. 협의의 소익
⑴ 문제점
⑵ 의 의
⑶ 「법률상 이익」의 의미 - 「행정소송법 제12조 제2문」
1) 문제점
2) 학설 및 判例
3) 검 토(협의의 소익설)
⑷ 判 例
⑸ 사안의 경우
5. 설문⑴의 해결

Ⅲ. 설문⑵의 해결
1. 문제점
2. 처분사유 추가ㆍ변경
3. 소송물의 범위
⑴ 문제점
⑵ 학설 및 判例
⑶ 검 토(중간설)
4. 「처분사유 추가ㆍ변경」의 인정여부
⑴ 문제점
⑵ 학설 및 判例
⑶ 검 토(제한적 긍정설)
5. 「처분사유 추가ㆍ변경」의 인정범위
⑴ 사항적 한계
⑵ 실체상 한계
⑶ 시간상 한계
6. 설문⑵의 해결

Ⅳ. 설문⑶의 해결
1. 문제점
2. 하자의 치유
3.「하자의 치유」인정여부
⑴ 문제점
⑵ 학설 및 判例
⑶ 검 토(제한적 긍정설)
4. 「하자의 치유」 인정범위
⑴ 사항적 한계
⑵ 실체상 한계
⑶ 시간상 한계
1) 문제점
2) 학설 및 判例
3) 검 토(행정쟁송제기이전설)
5. 설문⑶의 해결

본문내용

Ⅰ. LPG 충전사업허가
① LPG 충전사업허가는 관할구역 내에 LPG 충전사업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설정하는 강학상 특허에 해당하며 ② 특허는 형성적 행정행위로서 실체법적 개념설 및 쟁송법적 개념설 중 어느 견해를 따르더라도 행정처분에 해당하고 ③ LPG 충전사업 허가는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이하 액화석유가스법이라 한다) 제5조 제1항의 근거법문언은 불분명하나 특허의 성질을 가지므로 재량행위에 해당한다.

Ⅱ. 설문⑴의 해결
1. 문제점
甲이 丙에 대한 허가처분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지와 관련하여, ① LPG 충전사업허가가 취소소송의 대상인 행정처분에 해당하는지(대상적격) ② 처분상 제3자인 甲이 그 취소를 구할 수 있는 자격이 인정되는지(원고적격) ③ 취소판결 이후, 甲이 허가를 받을 가능성이 있는지에 관해 살펴본다(협의의 소익).

2. 대상적격
행정소송법(이하 행소법이라 한다) 제19조 본문에 의하면 취소소송의 대상은 ‘처분등’이 되며, LPG 충전사업허가는 행정처분으로서 대상적격이 인정된다.

3. 원고적격
⑴ 문제점
LPG 충전사업허가의 제3자인 甲이 제기하는 취소소송은 제3자소송에 해당하는바, 특히 원고적격 인정여부가 문제된다.

⑵ 의 의
「취소소송상 원고적격」이란 구체적인 처분의 위법성을 주장하며 그 취소를 구할 수 있는 자격을 말한다.

⑶ 「법률상 이익」의 의미 - 「행정소송법 제12조 제1문」
1) 문제점
행소법 제12조 제1문은 ‘취소를 구할 법률상 이익’이 있는 자가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고 하면서, 그 의미에 대한 명시적 규정이 없는바, 견해의 대립이 있다.

2) 학설 및 判例
학설은 ① 전통적 권리라고 보는「권리구제설」② 법률에 의해 보호되는 이익이라고 보는「법률상보호이익설」③ 소송상 보호가치 있는 이익이라고 보는「보호가치있는이익구제설」④ 위법확인의 정당한 이익이라고 보는「적법성보장설」이 대립한다.

判例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이익을 말하며 처분의 제3자라 하더라도 법률상 보호되는 이익을 침해당한 경우에는 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법률상보호이익설).

3) 검 토(법률상보호이익설)
생각건대, 국민의 권리구제의 확대와 법원의 재판부담 사이의 조화와 균형을 달성하는 법률상보호이익설이 타당하다.

⑷ 공권의 확대화 경향
1) 공권의 성립요건
행소법상 ‘법률상 이익’은 광의의 공권을 의미하며, 이러한 공권의 성립은 ① 강행법규에 의한 의무부과 ② 의무부과 한 강행법규의 사익보호성이 인정되어야 한다.

2) 공권의 확대화
① 행정재량 역시 무하자재량행사의무가 인정되며 ② 제3자소송에서 사익보호의 범위를 양적ㆍ질적으로 확대화 하는 경향에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22.03.29
  • 저작시기2022.3
  • 파일형식아크로뱃 뷰어(pdf)
  • 자료번호#11659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