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성교육과 성상담 ) 사랑의 정의, 사랑의 요소, 사랑과 관련된 심리학적 이론들을 정리한 후 자신의 삶에 적용하여 배운 점과 느낀 점을 서술하시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 성교육과 성상담 ) 사랑의 정의, 사랑의 요소, 사랑과 관련된 심리학적 이론들을 정리한 후 자신의 삶에 적용하여 배운 점과 느낀 점을 서술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랑의 정의
2. 사랑의 요소와 사랑과 관련된 심리학적 이론들
3. 자신의 삶에 적용하여 배운 점과 느낀 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에서 적절한 애착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오랫동안 헤매왔다 하더라도, 인간이라는 고등동물이 갖는 주요한 특성 중 하나인, ‘습득’ 혹은 ‘학습’이라는 기능이 있고, 이렇게 글을 통해 학습하고, 상상하고, 추론하고, 다양한 사람들과의 경험을 통해 조각을 맞추듯 조금씩 조금씩 체득하며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이 어디인지를 안다면 그 체득 속 통찰의 과정은 보다 빠른 방향으로 수정 보완하여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3. 결론
사랑이라는 것은 동서양, 고금을 막론한 중요한 가치이자 정서이자 인간이라는 생명에게 있어 중요한 부분이다. 생존의 중요한 수단이고, 삶을 살아가는 중요한 원동력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것이 제대로 된 습득이나 경험, 학습이 되지 않았다면 비뚤어지고 일그러진 모양으로 우리의 삶을 위협하거나 마치 암실 속 감자 싹처럼 건강한 육체와 자원을 가지고 태어났음에도 생기 없이 비실비실 자라게 하는 안타까운 결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은 개개인의 삶의 질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겠지만, 우리 사회 전체의 손실로서 작용할 수 있다. 어쩌면 OECD 국가 부동의 자살률 1위, 결혼율의 급감 등이 그런 예중에 하나는 아닐까. 또 이런 것들이 어쩌면 이 내밀해 보이고 지극히 개인적인 문제로 남아있는 건강한 ‘사랑’의 경험 혹은 학습의 어려움에서 오는 결과는 아닐까. 우리 사회는 경제적 성장이라는 오로지 일원화된 목적 하나에만 매달려 정서의 가치를 너무나도 묵인해 왔다. 지난 세월 우리는 소위,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리는 기록적인 발전을 했다. 또한 현재 우리는 소위 ‘선진국’이라는 열에 서 ‘한국’이라는 이름을 세계에 알리며 영화, 음악, 전자, 과학 기술 등 다양한 장르에서 다른 나라 사람들의 사랑과 선망을 사고 있다. 그 속에서도 우리는 한참 ‘힐링’이며 ‘여행’ 등 다양한 방면에서의 내부적 자정 작용을 하고 있는 듯하지만, 매체나 서적들을 한참 돌아보다 보면, 그 안엔 진정한 핵심은 들어가지 못한 채 겉돌듯이, 그저 일시적인 어려움과 불안을 다스려줄, 따뜻해 보이지만 사실은 공허한, 말로만 이루어진 위로의 언어잔치뿐이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었다. 요즘, 매체에서 자주 등장하는 로맨스스캠 사기가 곧잘 보인다.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지 안다면 자신의 욕구도 이해하고 챙길 줄도 알고, 사랑에서의 적절한 선도 이해하고 진작에 뭔가 이상하다는 것을 깨달을 텐데, 얼굴 한 번 보지 못한 누군가에게 사랑이라는 감정을 느끼며 쉽게 친밀감이 뭔지, 어떻게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지도 못한 채 무작정 헌신해버리고 이용당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이다. 한국인 특성상 ‘수치심’과 ‘자괴감’, ‘부끄러움’ 등으로 숨기는 사람들이 더 많을테니, 사실 암암리에 음지 속에서 힘들어하고 당하는 피해자들이 꽤 된다는 소리일 것이다. 음지에서 허덕이며 괴로워하고 힘들어하며 고민하는 많은 이들이 있을지 모른다. 한국이 힘들고 바쁜 세대를 지나며 이제는 어느 정도의 성과를 낸 지금, 사회적 현상으로 뿜어내는 정서적 어려움에 대한 깊은 호소와 도움을 이제는 말뿐이 아닌 몸으로 행동으로, 마음과 마음으로 시도하고 다가설 때가 아닌가 싶다.
4. 참고문헌
\"The Origins of Attachment Theory: John Bowlby and Mary Ainsworth\", Bretherton, Developmental Psychology, (1992).
2) \"A Social Scientist\'s Approach to Maternal Deprivation.\", Wootton, B., In Deprivation of Maternal Care: A Reassessment of its Effect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Public Health Papers, No. 14. (1962)
3) \"Clinical Implications of Attachment Concepts: Retrospect and Prospect\", Rutter, M,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1995)
4) Cassandra\'s Daughter: A History of Psychoanalysis, Schwartz J, Viking/Allen Lane (1999).
5) 우리의 성리학, 크룩스/K. 바우르, (2010)
6) 청소년 성교육과 성상담. 방송대 강의안

키워드

  • 가격4,1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23.02.15
  • 저작시기202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96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