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화교육의 정책과 실상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화교육: 개념적 고찰

2. 문화교육의 시대적 요청: 현실과 신화

3. 문화교육의 재개념화

4. 문화교육 정책

5. 문화교육의 실상

6. 결론

본문내용

지적하였듯이, 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전통문화에 대한 학습과 다문화에 대한 교육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구성해야" 한다.
문화교육이 동질성 논리에 치우쳐서 민족문화 또는 전통문화의 정체성을 너무 강조하다 보면 자문화중심주의에 빠질 우려가 있다. 좀더 극단적으로 말하면, 미국 사회의 최근 동향에서 볼 수 있듯이, 문화가 우파 보수주의 지배 이데올로기의 재생산 도구가 될 수 있다(Berlet & Quigley, 1995). 김성례(1995)는 문화를 '전승해야 할 실체적 유산'으로 보는 접근을 문화의 "명사적 용법"이라 칭하고, 문화를 '현재 삶의 일상적 기획과 미래의 보다 나은 삶을 향한 준비 과정'으로 인식하는 접근을 문화의 "형용사 용법" 또는 "동사적 용법"이라고 칭하였다.
이와 달리, 지나친 다양성 논리 혹은 '문화적 무정부주의(cultural anarchism)'도 위험하기는 마찬가지다. 이를테면, 청소년문화의 대변자를 자임한 미메시스(1993)는 <신세대: 네 멋대로 해라>에서 국가주의, 민족주의, 애국주의 등을 혹독하게 비판하면서 "우리는 국적 불명의 음식을 먹고 즐기며 살기에 국적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 아니라, 세계적인 것이 가장 한국적인 것이다", "마일드 세븐을 피우든 88라이트를 피우든 그것이 무슨 차이가 있는가? 이미 이 세계는 다국적 상품으로 국가의 경계선이 무너지고 있는데, 당신은 깨어진 된장독 속에서 당신을 찾으려 하는가"라고 선언하고 있다. 이러한 태도 역시 문화교육의 목적을 온전하게 달성하는 데 장애가 된다.
요컨대, 문화교육은 이질적인 문화들간의 상호존중과 상호이해 속에서 더 높은 인간적 이상을 지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특히, 문화 질서 속에서 제 목소리를 갖기 어려운 소수문화, 하위문화, 지역문화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문화적 헤게모니 현상을 통찰하는 능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문화교육의 초점은 '주체들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주어져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비판적인 문화 읽기와 문화 쓰기가 생활 현장 모든 곳에서 학습되도록 해야 한다.
참 고 문 헌
교육부(1997).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별책 7.
김기홍(1996). 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의미에 관한 고찰. 교육사회학연구 6(1): 51-70.
김성례(1995). 문화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고조와 인류학 교육. 한국문화인류학 27: 281- 301.
김인회(1997). 박물관 교육의 정신사적 의미. 교육철학 18: 1-21.
김찬호(1995). 교양강좌로서의 인류학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문화인류학 27: 261-280.
문화과학 편집위원회(1998). 문화공학과 문화정책연구. 문화과학 14: 251-273.
미메시스(1993). 신세대: 네 멋대로 해라. 서울: 현실문화연구.
박성래(1996). 전통문화와 첨단산업의 접목. 백완기·신유근 외 공저, 문화와 국가 경쟁력, pp.27-56. 서울: 박영사.
박성익·조용환·박명진(1997). 일본문화 개방에 대비한 한국 청소년 교육전략 수립 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양건열·양현미·원준식(1998). 창의적 문화국가 건설을 위한 정책 제안. 한국문화 정책개발원 연구보고서.
양현미(1997). 정부 문화정책의 방향. 문화과학 12: 90-98.
이광규(1987). 사회 공헌을 위한 인류학. 한국문화인류학 19: 247-253.
이문웅(1987). 한국의 인류학 교과과정. 한국문화인류학 19: 255-265.
이문원(1998).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 한국교육학회소식, 34(3): 1-5.
이태호(1997). 현 단계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진단과 전망: 국립박물관의 전시 행위와 강좌운영을 중심으로. 교육철학 18: 1-21.
이해준(1997). 박물관의 현황과 문화교육정책. 교육철학 18: 55-70.
이홍우(1991). 교육의 목적과 난점(제5판). 서울: 교육과학사.
이희수(1997). 청소년 정보윤리(문화) 교육에 관한 교육사회학적 분석. 교육사회학 연구 6(3): 139-157.
임재해(1997). '박물관의 현황과 문화교육정책'에 관한 몇 가지 제언. 교육철학 18: 71-76.
임종덕(1997). 미국 박물관 교육의 현황과 그 교육적 의의. 교육철학 18: 77-90.
임철순(1998). 교육개혁과 문화교육. 교육개발 112: 10-13.
조용환(1997a). 사회화와 교육: 부족사회 문화전승 과정의 교육학적 재검토. 서울: 교육과학사.
조용환(1997b). 우리 청소년문화 속의 일본 대중문화, 그 실상과 문제. 대중문화와 교육(교육 인류학연구회 추계 학술대회 자료집), pp.71-127.
조용환·황순희 역(1992). 교육사회학: 해석적 접근. 서울: 형설출판사.
조혜정(1997). 한국의 문화 발전 전망과 교육의 과제. 한국교육의 신세기적 구상: 2000년대 한국교육의 방향과 과제(한국교육개발원 창립 25주년 기념 학술 대회 자료집), pp.139-173.
최 협(1996). 정부의 문화개발정책. 백완기·신유근 외 공저, 문화와 국가경쟁력, pp.1-26. 서울: 박영사.
Berlet, C. & Quigley, M.(1995). Theocracy and White Supremacy: Behind the Culture War to Restore Traditional Values. In C. Berlet (Ed.), Eyes Right: Challenging the Right-Wing Backlash. Boston: South End Press. 김성일 역(1998). 미국 우파들의 문화전쟁: 신권정치와 백인 우월주의. 문화과학 15: 217-236.
Hall, S.(1980). Cultural Studies and the Centre: Some Problematics and Problems. CCCS (Ed.), Culture, Media, and Language: Working Papers in Cultural Studies, 1972-79, pp.15-47. London: Hutchinson.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2.04.08
  • 저작시기2002.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927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