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주의와 에큐메니칼 운동에 나타난 신학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 143
  • 144
  • 145
  • 146
  • 147
  • 148
  • 149
  • 150
  • 151
  • 152
  • 153
  • 154
  • 155
  • 156
  • 157
  • 158
  • 159
  • 160
  • 161
  • 162
  • 163
  • 164
  • 165
  • 166
  • 167
  • 168
  • 169
  • 170
  • 171
  • 172
  • 173
  • 174
  • 175
  • 176
  • 177
  • 178
  • 179
  • 180
  • 181
  • 182
  • 183
  • 184
  • 185
  • 186
  • 187
  • 188
  • 189
  • 190
  • 191
  • 192
  • 193
  • 194
  • 195
  • 196
  • 197
  • 198
  • 199
  • 200
  • 201
  • 202
  • 203
  • 204
  • 205
  • 206
  • 207
  • 208
  • 209
  • 21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복음주의와 에큐메니칼 운동: 역사적인 연속성을 찿아서

서론

l. 18세기의 경건주의, 복음주의 부흥 운동, 그리고 선교활동
2. 19세기의 복음주의 각성 운동, 선교활동 그리고 교파별 및 교파 대 교파의 일치 운동들
3. 20세기 에큐메니칼 운동 과 WCC, 그리고 1968년 웁살라 WCC이후의 복음주의 세계 대회들

결론

Ⅱ.신앙과직제 운동이 추구하는 교회일치 신학

서론

1. 1948년 암스텔담 WCC
2. 1954년 에반스톤 WCC
3. 1961년 뉴델리 WCC
4. 1968년 웁살라 WCC
5. 1975 나이로비 WCC
6. 1983 벵쿠버 WCC
7. 1990 캔버라 WCC
8. Joint Working Group의 교회론
9.{교회와 세상: 교회의 일치와 인류 공동체의 갱신}(1990)

결론

Ⅲ.에큐메니칼 선교 역사에 나타난 선교신학

서론

1. 에든딘버러 세계 선교대회(World Missionary Conference = W.M.C.)
2. 선교신학의 패러다임 변화
3. 1928년, 예루살렘 국제 선교 대회(Internatitonal Missionary Council = IMC)
4. 1938년, 탐바람 국제선교 대회
5. 1947년, 휫비 국제선교 대회
6. 1952년, 빌링겐 및 1957년, 가나 국제선교대회
7. 1960년대의 missio Dei와 복음주의자들의 반응
8. 1973년, 방콕 CWME
9. 1980년, 멜보른 CWME
10.1982년, <선교와 복음전도 - 하나의 에큐메니칼 확언>
11.1989년, 산 안토니오 CWME

결론

Ⅳ. 에큐메니칼 운동에 나타난 교회의 사회참여 신학

서론

A. WCC 총회 분과 보고서에 나타난 교회의 사회참여 - 1948년 암스텔담, 1952년 에반스톤, 1961년 뉴델리, 1968년 웁살라 및 1975년 나이로비

l. 1948년 암스텔담 WCC

1. 암스텔담 까지의 이정표들
2. 1948년 암스텔담 WCC 총회

ll. 1954년 에반스톤 WCC

1. 에반스톤에 이르는 이정표들
2. 1954년 에반스톤 WCC

lll. 1961년 뉴델리 WCC

1. 뉴델리까지의 이정표들
2. 1961년 뉴델리 WCC 총회

lV. 1968년 웁살라

1. 웁살라 까지의 이정표들
2. 1968년 웁살라 WCC 총회

V. 1975년 나이로비 WCC

1. 나이로비에 이르는 이정표들
2. 1975년 나이로비 WCC 총회

결론

B. WCC 총회 분과 보고서에 나타난 교회의 사회참여 - 1983년 벤쿠버, 1990년 서울 JPIC,1991년 켄버라 및 1993년 산티아고

Ⅰ. 1983년 벤쿠버 WCC

1. 벤쿠버에 이르는 디딤돌들
2. 1983년 벤쿠버 WCC 총회

Ⅱ. 1991년 켄버라 WCC

1. 켄버라에 이르는 디딤돌들
2. 1991년 켄버라 WCC총회


Ⅴ.`신앙과 직제`(교회론) 및 `교회와 사회`(윤리학)의 합류를 지향하는 1998년 제8차 WCC를 바라보면서

서론

1. 1948년 암스텔담에서 1954년 에반스톤 까지
2. 1961년 뉴델리에서 1975년 나이로비 까지
3. 1983년 벤쿠버로부터 1990년 서울 JPIC 까지
4. 1991년 켄버라 이후

결론

Ⅵ.한국장로교회를 위한 일치와 협력의 신학적 가능성

서론
1.한국 장로교회의 신앙고백(신학전통)에 있어서 신학의 다양성과 통일성
ㄱ. 복음
ㄴ. 삼위일체 하나님
ㄷ. 구원
ㄹ. 교회

2.에큐메니칼 교회 공동체에 있어서 신학의 다양성과 통일성
- 사도적 신앙과 다양한 신학 전통들

ㄱ.세상을 위한 교회의 메시지 : 복음(LAUSANNE 1927, 제2분과)
ㄴ.교회의 본성(LAUSANNE 1927, 제3분과)
ㄷ.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Edinburgh 1937, 제1분과)
ㄹ.그리스도와 그의 교회(Lund 1952, 제1분과)
ㅁ.성경, 전승, 전통들(Montreal 1963, 제2분과)

결론

본문내용

회의 사회참여 문제 와 전도 와 선교 문제에 관한 현실상부한 내용을 반드시 포함해야 할 것이다. 현재의 통합 측 신앙 고백서는 이 두가지 주제들에 관하여 거의 언급을 하고 있지 않다. 에큐메니칼 운동 과 WCC의 성격을 규정하는 흐름은 "신앙 과 직제"(Unity and Renewal), "JPIC"(Unit lll), 그리고 "선교"(CWME)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참여하고 있는 보편교회는 예수 그리스도 와 삼위일체 하나님과의 코이노니아(Faith and Order)를 누리면서, 인류공동체에 봉사(JPIC)하고, 나아가서 전도 와 선교(CWME)에 힘써야 할 것이다.
맺는 말
우리는 지금 까지 6가지 주제들에 대하여 논하고, 그 각각에 대한 결론을 정리하였다. 즉, Ⅰ.복음주의와 에큐메니칼 운동: 역사적인 연속성을 찾아서, Ⅱ.신앙과직제 운동이 추구하는 교회일치 신학, Ⅲ.에큐메니칼 선교 역사에 나타난 선교신학, Ⅳ. 에큐메니칼 운동에 나타난 교회의 사회참여 신학, Ⅴ."신앙과 직제"(교회론) 및 "교회와 사회"(윤리학)의 합류를 지향하는 1998년 제8차 WCC를 바라보면서 및 Ⅵ.한국장로교회를 위한 일치와 협력의 신학적 가능성. 이미 전체 서론에서 밝힌대로, 본 저서의 목적은 에큐메니칼 운동을 구축하는 세 흐름 혹은 에큐메니칼 운동의 세 기동이라고 할 수 있는 신앙과 직제, 삶과 봉사 및 세계선교 운동이 지향해 온 신학을 소개하려는데 있었다. 어떤 의미에서 이 세름의 신학은 20세기에큐메니칼 신학 전체를 대표한다고 보여지기 때문이기도 하다. 누구든지 오늘 날 에큐메니칼 신학을 논하려면, 여기에서 우리가 다룬 에큐메니칼 신학의 세 기둥에 대하여 잘 알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데 20세기 에큐메니칼 운동은 18-19세기 복음주의 부흥운동과 이것에 힘입은 18-19세기의 선교운동을 모태(母胎)로 하고 있다. 그래서 본 저서는 제1장에서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칼 운동: 역사적 연속성을 찾아서"를 논했다. 본문에서 지적한대로, 1910년 에든버러 제8차 세계선교대회를 계기로 동터오르기 시작하여 세계 제1차 대전직후인 1920년대에 본격화된 20세기 에큐메니칼 운동은 별안간에 하늘에서 떨어진 것이 아니라 18-19세기를 저주곡으로 하고 있다.특히, 이 부분이 한국 개신교의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우리 한국 개신교는 18-19세기의 복음주의 부흥운동과 선교운동에 크게 빚지고 있는 바, 복음주의적 부흥주의를 지향하고, 1980년대 이후로는 해외 선교에도 크게 열을 올리고 있으나, 이러한 18-19세기 운동의 자연스러운 열매인 20세기 에큐메니칼 운동에 대하여는 거부반응을 느끼고 있는 형편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저서는 18-19세기의 복음주의 역사와 선교역사가 20세기 에큐메니칼 운동과 연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역설 하였다. 20세기 에큐메니칼 운동의 세 흐름이 제시하는 신학에 21세기에 대응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신학임에 틀림 없으나, 18-19세기 기독교의 주요 흐름과의 어느정도의 연속성상에서 그렇다고 보여진다. 때문에 우리는 제1장을 논했다.
그리고 제5장에서 <"신앙과 직제"(교회론) 및 "교회와 사회"(윤리학)의 합류를 지향하는 1998년 제8차 WCC를 바라보면서>를 논한 이유는 1998년 제8차 하라레 WCC가 세 기둥을 하나의 운동으로 묶는 하나의 에큐메니칼 운동을 지향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저서는 무엇 보다도 "신앙과 직제 운동"과 "삶과 봉사 운동"이 언제부터 접근하기 시작하였고, 현재 이 두 운동이 어느정도로 합류하고 있나를 논구하였다. 이 두 운동은 1960년대부터 상호 근접하기 시작하여 1992년부터 1996년 사이에 내용상으로 거의 합류한 것이나 다름 없게 되었다. 본문에서 지적한바, "Costly Unity"(1993), "Costly Commitment"(1994) 및 "Costly Obedience"(1996)는 두 운동의 공동연구 결과로 나온 연합문서로서 교회론과 윤리학을 하나의 에큐메니칼 운동안에 넣고 있는 것이다. 이미 1993년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의 "Towards Koinonia in Faith, Life and Witness"가 "Costly Unity"문서를 자체내에 포함시키고 있거니와, 1998년 하라레 WCC 총회 역시 "Costly Commitment"와 "Costly Obedience"문서를 공식적으로 총회 보고서에 확실히 받아들일 것으로 기대된다. 그런데 WCC가 에큐메니칼 운동의 세 기둥 가운데 나머지 하나, 즉 "세계선교와 복음전도"(CWME) 운동을 이미 논한 두 운동에 구체적으로 합류시키는 일을 시작하지는 않았다. 아마도 그 이유는 역사적으로 신앙과 직제 운동과 삶과 봉사 운동이 더 많은 갈등의 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 일 것이다. CWME의 missio Dei 차원이 "삶과 봉사 운동"이 지향하는 내용과 상당 부분 중첩되는 것으로 보여진다면, 일단 신앙과 직제와 삶과 봉사가 우선 합류하는 것이 결정적으로 더 중요할 것이다.
끝으로 본 저서는 <Ⅵ.한국장로교회를 위한 일치와 협력의 신학적 가능성>을 논한 이유는 에큐메니칼 공동체의 에큐메니칼 신학의 세 흐름을 한국 개신교회, 특히 본 저자가 몸담고 있는 대한예수교 장로교회에 연결시키려는 목적에서 였다. 그런데 이쉬운점은 "신앙과 직제 운동" 차원과 이어지는 한국장로교회의 일치문제만을 취급하였다는 점이다. 물론 한국 개신교회가 에큐메니칼한 신앙고백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신앙과 직제 계통의 일치신학 뿐만 아니라 세계선교(CWME)와 JPIC(Unit Ⅲ) 차원의 내용도 충분히 담아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기는 하였지만 말이다. 본 저서가 CWME와 JPIC를 한국교회에 연결시켜 논하지 못하고, 다만 후자에 관여는 <Ⅳ. 에큐메니칼 운동에 나타난 교회의 사회참여 신학>의 결론 부분에서만 논하였다. 앞으로 누군가가 <Ⅲ.에큐메니칼 선교 역사에 나타난 선교신학>을 한국 개신교의 선교활동과 관련하여 연구하기를 바란다. 본 필자가 장신대 교지(장신논단, 제12집, 1996)에 발표한 "대한예수교장로회 선교신학 지침"(초안)이 이것을 연구하는 사람에게 도움이되었으면 한다.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10페이지
  • 등록일2002.10.04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2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