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격차해소를 위한 국내현황 및 문제점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II. 정보격차의 개념 및 해소정책에 대한 논의
1. 정보격차의 개념
2. 정보격차해소 정책에 대한 논의

III. 주민정보이용실의 운영의 필요성과 현황
1. 초기 지역정보센터의 운영의 필요성
2. 정보이용실의 확산

IV. 주민정보이용실 실태조사 및 분석

V. 결 론: 정책적 이슈의 제기

본문내용

지적은 함께 검토해 볼 필요성을 제기한다.
이러한 주장은 일반적으로 정보격차해소를 위한 참여 주체에 있어서 선진국의 경우는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적극적인 주체로서 민간단체의 활동을 강조하고 있는 점과 연관하여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민간단체의 적극적인 참여는 양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에서도 나타난다. 미국·영국·호주에서는 비영리단체가 상당한 자율성을 갖고 정보격차 해소 사업을 추진한다. 그 결과 정보화 교육의 경우 교육내용, 교육시간, 교육비 징수 여부, 강사 확보 등을 자율적으로 결정하며 지역접근센터와 취약계층을 위한 콘텐츠 제공 역시 지역현실에 맡게 자율적으로 운영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민정보이용실에서의 자원봉사자활용은 일부 정보이용실에서 부분적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여전히 대부분의 정보이용실에서는 자원봉사자의 활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도 주모할 필요가 있다. 특히 정보화의 접근기회를 제공하는 것과 정보화교육에서 이용자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며, 우리의 경우 이 문제가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 점에서 지역주민들에게 정보이용시설을 지원하는 사업은 주민과 지역사회의 자발적인 참여, 적극적인 홍보, 적극적인 이용안내 및 이용방법의 소개, 그리고 자원봉사자의 활동을 함께 유도하는 방향전환을 구체적으로 논의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새로운 방향의 설정 및 사업의 전개 가능성 모색
주민정보이용실의 개설은 소외지역이나 소외계층을 위하여 정보이용시설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보접근센터로서의 목적을 일차적으로 두고 있다. 그러나 많은 정보이용실은 기존의 정보접근점을 제공하는 것 이외에 지역주민의 정보화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을 함께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의 정보이용실은 지역사회에 정보접근지점을 제공하거나 혹은 정보화교육서비스를 함께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화교육은 대상별로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으나, 이용자층을 보면 초중등생과 주부의 이용이 거의 대부분 이용고객으로 조사된 바 있다. 초중등생과 주부들은 정보화의 소외계층으로 의미 있는 고객임에는 분명하지만 정보화의 최종 목표가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있다는 점에서, 이제 정보격차의 문제는 digital divide의 차원보다는 digital inclusion의 입장을 지향하여 기존의 정보접근의 기회를 확대하는 것에서 보다 주민정보이용실의 '활용'을 확대해야할 필요가 제기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하여 지역주민들에게 정보이용시설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은 기존의 주민정보이용실의 설치 이외의 방법은 없는지, 또한 향후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예측하고 새로운 정보기술의 패러다임하에서 고려해볼 수 있는 발전적 방향은 없는 것인지 등을 전반적으로 재검토를 해 볼 필요도 있다.
<참고문헌>
김영미. (2000). "인터넷과 여성, 그리고 정보격차" <한국지역정보학회지> 제4권 1호.
김영삼. (1992). <지역간 정보화 격차분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박상흠. (1999). "여성정보화 현황과 과제" <정보화동향분석> 6권 9호.
오철호·명승환·서진완. (2002). <지역정보센터 이용실태분석 및 정보격차 해소방안>. 한국정보문화센터, 미발표보고서.
윤정로. (1999). "한국의 정보화와 전업주부" <정보화저널>. 제6권 2호.
윤정섭·손진수. (1993). “정보산업의 지역적 분포에 따른 공간적 집중현상에 관한 연구”<국토계획>. 제29권 3호.
조주은. (2000). “한국과 미국의 정보불평등 실태”<정보화동향분석>. 6권 9호.
최재원. (1991). <한국의 지역간 정보격차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한국전산원. (2000). <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종합방안 연구보고서>.
한국정보문화센터. (1998). <국민정보화교육종합계획>.
Bultina, E. M., D. L. Rogers and K. A. Conner. (1978),“Toward Explaining Citizen
Knowledge About a Proposed Reservior,”Journal of Environment Education,
9: 23-36.
Castells, Manuel. (1999). "The information city is a dual city: Can it be reversed?" in Schon, D. A., Sanyal, B., Mitchell, W. J. (eds.) High Technology and Low-Income Communities: Prospects for the Urban-Regional Process. Cambridge, MA: Basil Blackwell.
Childers, T. and J. Post. (1975), The Information Poor in America, New Jersey:
Scarecrow Press.
Loader, Brian D. (ed). (1998). Cyberspace Divide: Equality, Agency and Policy in the Information Society. London & New York: Routledge.
Perelman, Michael. (1998). Class Warfare in the Information Age. New York: St. Martin's Press.
Schiller, I. Herbert. (1966). Information Inequality : The Deepening Social Crisis in America. New York: Routledge.
Tichenor. P. J., G. A. Donohue, and C. N. Olien. (1970).“Mass Media Flow and
Differential Growth in Knowledge,”Public Opinion Quarterly, 31.
Wresch, William. (1996). Disconnected : Haves and Have-Nots in the Information Age. New Brunswick, New Jersey.
  • 가격3,3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2.10.05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052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