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와 한비의 사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한비(韓非)

2. 한비자(韓非子)

3. 한비 사상의 개관
① 진화론적 역사관(進化論的 歷史觀)
② 이기주의적 인성관(利己主義的 人性觀)
③ 국민도덕과 국가 논리관(國民道德과 國家 論理觀)
④ 법치주의 사상관(法治主義 思想觀)

1. 순자와 그 시대적 배경

2. 순자 사상 개관
① 침략 . 겸병에 대한 비판과 대도의 실현
② 주술적(呪術的) 풍조(風潮)의 타파(打破)
③ 비유(鄙儒) 및 제자(諸子)의 비판(批判)

3. 순자의 인간관

4. 성악설

본문내용

두 사물을 양자에 공통되는 부분적 유사성에 의해 접착한 후에도 또한 양자의 상위(相違)가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서, 거기에 주체성을 상실하지 않고 제자의 사상을 그러한 곳에 위치하게 할 수 있는 비밀이 감추어져 있다.
그리고 이 논리를 어느 곳에 다가 적용하든지 그것에 합당한 것이 되므로, 유기체와 같은 기능을 가진 사회를 구성한다고 설명하는 '예의지분(禮義之分)' 사상이 되는 것은 자명한 일일 것이다.
순자는 이러한 의미에서 틀림없는 '유의사상가'였던 것이다.
3. 순자(荀子)의 인간관(人間觀)
훈자가 중히 여긴 예는 생활 규범이며 가치 표준이고 도, 특히 인도(人道)를 구체화한 것이었다. 그가 예를 중히 여긴 것은 유가로서 당연한 일이기는 하나, 또한 그가 인도(人道)를 특히 중시한 것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그리고 그것은 예의 세계, 인간의 세계에 시종한 공자(孔子)의 사상, 곧 "공자께서 인간의 본성과 천도를 말씀하시는 것은 들어 볼 수 없었다.", "국민이 따를 정의를 살리기에 힘쓰고, 영혼들을 공경스럽게 다루되 그것을 멀리한다면 지혜롭다고 말할 수 있다."고 말하고, 또한 극기복례(克己復禮)를 말한 공자의 사상을 재확인한 것이다. 그러나 공자를 조술한 맹자는 천인(天人)이 연속의 입장에 있었던 것에 비하여, 순자(荀子)는 천인지분(天人之分)의 입장에 있었다.
순자(荀子)가 말하기를 군자는 그 자신에 속하는 것을 소중히 하고, 그 하늘에 속하는 것은 원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나날이 진보한다. 한편 소인은 그 자신에 속하는 것을 저버리고, 그 하늘에 속하는 것을 원한다. 그러므로 나날이 퇴보해 간다. 이와 같은 이유로 군자가 나날이 진보하는 것과 소인이 나날이 퇴보해 가는 것이 같으니, 군자와 소인의 현격한 차이가 바로 여기에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순자는 하늘과 인간과의 역할 분담을 명확히 자각하면 그 사람을 지인(至人)이라 부를 수 있다고 말하고, 곧 길흉화복은 하늘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에게 있다고 역설하는 것으로서, 이것도 하늘에 대하여 인간의 분(分) . 책임 . 역할을 자각하고 이를 수행해야 함을 주장하는 것이다.
순자에게 과학 정신이 있고 하늘을 정복하려고 하는 생각이 있다고 보는 경향도 있다. 그러나 순자는 '사람의 목숨은 하늘에 있다'고 한 것으로 미루어, 이것은 하늘의 분부, 곧 소위 만물을 제어(制御)하는 것이기는 하지만, 사람이 하늘을 정복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사람은 하늘과 직분(職分)을 다투지 않는 것이었다. 이것이 바로 천인지분의 사상인 것이다. 뒤집어 생각하면, 인간이 그 책임을 수행하여 하늘에 참여하는 것이며, 인간은 천명 밑에서 그 분을 다하여, 하늘과 서로 다투는 일 없이 하늘과 서로 돕는 것이었다.
인간의 완성자가 성인(聖人)이었다. 그리고 성인은 전지전능(全知全能)한 것으로 여겼다. 이 성인은 하늘로 부터 주어진 성(性) 위에 천부의 기능을 의식적으로 예(禮)에 준거하여 성실히 시분 발휘하고, 이와 같이 하여 위를 쌓아 올림으로써 천지에 참여하고, 신명(神明)에 통하는 것이다. 곧 인간은 하늘로부터 생겨나서 하늘로 되돌아가야 하는 존재였다.이 점으로 보아도 인간은 하늘 속에, 또는 하늘 아래에 있는 것으로서, 하늘로부터 독립한 것은 아니라는 것이 판명된다. 따라서 하늘의 명, 곧 만물 . 자연을 제어한다 해도 하늘을 정복할 수는 없다. 무릇 군자가 천명(天命)에 순응하고 있는 것, 곧 천 . 지 . 사계와 같은 상도를 갖추고 있는 것은, 육체로부터 분리된 마음의 독립을 진실로 한 존재이기 때문이다.
4. 성악설(性惡說)
순자(荀子)에 의하면 인간의 본성이 악(惡)하기 때문에 윤리가 필요하고 중요하다. 인간의 본성(本性)이 선(善)하다면 윤리는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순자(荀子)의 성악설(性惡說)에서 사용되는 성(性)이란 개념은 맹자(孟子)가 사용한 성선설(性善說)의 성(性)과 다르다. 이 관찰은 매우 중요하다. 맹자(孟子)가 말한 성(性)은 인간의 본능, 욕망을 가리키지 않고 인간의 이성과 성정(性情)을 지시한다. 그러나 순자(荀子)가 말한 성(性)은 인간의 본능. 욕망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그 본능과 욕망은 절제되어야 하며 교육에 의해서 교화(敎化)되지 않으면 안된다. 또한, 선(善)이란 개념도 맹자에 있어서는 인간 본성의 자연적인 발로이지만 순자에 있어서는 인위조작적(人爲造作的)인 것이다. 따라서 맹자가 말하는 성(性) . 선(善)의 개념과 순자가 말하는 성(性) . 악(惡)이란 개념은 근본적으로 다르다.
순자는 "인간으 본성은 원래 악(惡)한 것이다. 선(善)이란 인위적(人爲的)인 것으로 된 것이다" 라고 한다. 그 이유는 "인간은 나면서부터 이익을 추구하게 마련이다. 그대로 내버려두면 서로 싸우고 빼앗고 하여 양보란 없을 것이다. 또한 나면서부터 남을 미워하고 시기하게 마련이다. 그대로 내버려두면 남을 해치고 상하게 할 줄만 알고, 신의나 성실성은 없을 것이다." 인간이 타고난 이익 추구의 욕망, 인간이 타고난 증오와 시기, 그리고 감각적 욕망은 인간의 본성이 악한 근거이고 싸움과 혼란을 조장하는 뿌리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반드시 스승의 교화와 예의의 법도가 있어야 남에게 사양할 줄도 알고 사회의 질서를 지킬 줄도 알아 세상의 평화가 유지된다.
순자(荀子)는 맹자(孟子)의 성선설(性善說)을 비판했는데, 그 비판은 입론(立論)의 근거와 발상이 다르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그 타당성이 없다. 다만 순자(荀子)가 무엇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었는가를 관찰하기만 하면 된다.
순자는 욕망을 성이라 보아 그것은 악하다는 입장에서 맹자를 줄곧 비판하였다. 그러나 그가 욕망을 바탕으로 인간의 본성을 악하다고 말한 것으로 끝내 인간이 악할 수 밖에 없음을 말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어떻게든 인간을 적극적으로 선으로 이끌기 위한 전제로서 성악을 말했던 것이다. 순자 윤리학의 기본 틀은 '화성기위'이다. 성에 대한 적극적인 개조가 순자 인성론의 핵심이다. 이러한 개조가 순자 철학의 주조라고 할 수 있다.
---------------------------------------------------------------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2.12.10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0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