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체적 고용관행, 남성성, 그리고 가부장제 - 김 은 희(서울대 강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공동체적 고용관행

3. {가사일체}

4. 결론

본문내용

이 가장으로서의 위치를 재확인하는 것이며 여성의 아내로서 어머니로서 집에서 해야할 일이 따로 있음을 강조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소위 맞벌이 부부의 가정에서 가족을 대표하는 남편의 일이 더욱 중요해지게 되며 집안일을 하는 책임은 여전히 여성의 몫으로 남게 되는데 직장여성은 파출부나 시어머니, 또는 친정어머니의 도움을 받게 된다. 불평등한 가사의 분담은 나아가 직장에서의 여성의 차별로 이어지게 된다. 차별이 별로 없다는 교직사회에서도 남선생이 여선생보다 학교 일에 충실하다는 이유로 선호된다. 또한 여성의 일이 가장으로서 가족을 먹여 살리기 위한 것으로 인식되지 않는 것은 역설적으로 노동시장에서 가족을 부양해야 할 책임이 있다는 남자가 우선적으로 취업되는 성차별을 합리화해준다.
4. 결론
공동체적 고용관행이 겉으로 보기에 성과 관련없는 것같아 보이나 여성에게는 절대적으로 불리하다. 회사에의 강한 소속감, 끈끈한 인간관계등은 전통적인 양반사회에서 남성들이 "바깥일"을 하는데 있어 공동체적인 이익을 사사로운 생활보다 우선시할 것을 강조하는 유교적 윤리의식에 근거하고 있으며 이는 또한 아내의 "내조"를 전제로 하고 있다. 따라서 부부는 하나의 팀으로서 존재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때 직장인이 가장으로서 대표하는 직장인의 가족은 회사 조직의 한 부분이 된다. 한 30대 후반의 남자 면담자는 직장과 가정과 성역할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적절하게 표현한다: "남자는 직급이 올라갈수록 가정에 시간낼 수가 없다. 직급이 올라갈수록 회의가 많아지게 된다. 이것은 조직사회에서 반드시 필요하다. 남자는 가정보다 조직에 충실해야한다. 가정을 이끌어나가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게 필요하다. 가정까지 조직이 된다. 조직에 포함되는 것이다. 아내가 내조하지 않으면 조직에 커다란 힘이 될 수 없다. 가족까지 회사의 일원이 되어야 한다. 조직의 개체가 아이디어를 내고 창의적일 수 있는 바탕으로서의 가정의 이해가 필요하게 된다. 남편으로서의 바람은 집에서 희생이 필요하다. 나 혼자 잘 되자는 것이 아니라 조직에서 필요한 사람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일주일에 한두 번은 집에 곧장 간다. 주말에는 주로 약속 안하고 집에서 보내려고 한다" (김은희 1993:88). 기업은 이러한 문화의식에 바탕하여 근로자들의 가족의 복리를 증진시키고자 하나 이는 기존의 남편의 가장으로서의 지위를 재생산해내게 되며 이는 나아가 노동시장에서의 여성의 차별로 이어지게 된다.
《참고문헌》
김은희. 1993. 일, 가족, 그리고 성역할의 의미. {한국근현대가족의 재조명}, 한국사회사 연구회 논문집 제39집, 81-120p. 서울: 문학과 지성사.
Brandt, Vincent S.R.. 1971. A Korean Village:Between Farm and Sea. Cambridge: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Greenhalgh, Susan. 1985. "Sexual Stratification: The Other Side of 'Growth with Equity' in East Asia." Population and Development Review 11,2:265-314.
Hartman, Heidi. 1976. "Capitalism, Patriarchy, and Job Segregation by Sex." In Women and the Workplace: The Implications of Occupational Segregation, edited by Martha Blasall and Barbara Reagan, 137-70.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Kanter Rosabeth Moss. 1977. Men and Women of the Corporation. New York: Basic Books, Inc., Publishers.
Yanagisako, Sylvia Junko and Jane Fishburne Collier. 1987. "Toward a Unified Analysis of Gender and Kinship." In Gender and Kinship:Essays Toward a Unified Analysis, edited by Jane Fishburne Collier and Sylvia Junko Yanagisako, 14-50.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3.01.23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1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