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말 문석봉의 유성의병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문석봉(문석봉)의 가계(가계)와 생애(생애)

Ⅲ. 유성의병(유성의병)의 이념(이념)

Ⅳ. 유성의병(유성의병)의 전개(전개)
1. 의병의 준비와 투옥
2. 의병진(의병진)의 결성과 공주부(공주부) 공격

Ⅴ. 맺음말

본문내용

고, 유성의병이 향촌세력의 지지기반 위에서 반침략 항일의병을 전개하였음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넷째, 문석봉은 한미한 선비의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뚜렷한 사승관계도 보이지 않는 등 '學統性(학통성)'도 약하다. 따라서 그의 경우는 단발령 공포 후 거의한 의병장들과는 달리 '尊華攘夷論(존화양이론)'에 철저한 斥邪儒生(척사유생)이라고 하기는 힘들다. 이로 보아 유성의병은 척사적 성격보다는 '主辱臣死(주욕신사)'의 勤王的(근왕적) 성격이 강한 면을 보여준다. 또한 유성의병에서 초기의병이 '儒生主導(유생주도)'라는 설명의 예외를 발견하게 되며, 초기 의병사에서 '非儒生(비유생) 義兵將(의병장)'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비록 준비단계에서 끝나고 말았지만 문석봉은 1895년 2월에 항일의병을 준비하였으며, '토왜죄'로 체포되어 실형을 받기까지 하였다. 이 사실은 을미사변 이전에도 항일의병이 준비되었음을 말해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미 1894년 갑오변란 이후 을미사변 전까지 安東(안동)·祥原(상원)·洪州(홍주)·砥平(지평) 등지에서 이른바 '甲午義兵(갑오의병)'이 준비 내지는 봉기되었음이 밝혀진 바도 있다. 따라서 문석봉의 1차 의병은 갑오의병의 범주에 포괄할 수 있으며, 이는 갑오의병의 성격 규명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참고문헌 >>
김상기, 『한말의병연구』, 일조각, 1997
김상기, 『조선말 문석봉의 유성의병』, 역사학회, 1992
김상기, 『한말 을미의병의 기점에 대한 소견』, 한국민족운동사연구, 1988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01.15
  • 저작시기200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404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