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타 최강경영을 읽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요타 최강경영을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장 왜 도요타는 계속 변화하는 것일까?

2장 도요타식 개혁혁신의 전개방법

3장 계속 변화하는 도요타의 DNA

4장 키워드는 경영마인드

5장 변혁형 인재를 키우는 토양은 무엇일까?

6장 도요타 방식으로 보는 일본식 개혁

7장 진화하는 조직과 변혁형 인재

8장 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진 적극적인 집단을 만든다

9장 변혁의 중핵을 담당하는 리더의 요건

- 머릿말

본문내용

서 적극적이고 의욕적인 자세를 갖추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이밖에도 우리나라의 상황을 미루어 보았을 때, 도요타의 경영방식에서 눈여겨 볼 것들이 많았지만 이를 그대로 모방할 수 있는 현장은 하나도 없다. 도요타 방식의 핵심 철학처럼 도요타 방식은 지금도 개선되고 있으며 모든 문제의 해답은 개별 현장의 지혜에서 나오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후진적인 경영방식을 변혁하기 위해서는 무조건 선진적인 경영방식과 세계의 대세를 따를 것이 아니라, 편협한 사고방식에서 탈피하여 우리나라의 개별 현장에서 그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 지혜는 앞으로의 경영목표의 전부가 아니라 번갈아 시도해 감으로써 알맞은 것으로 계속해서 변화되어야 한다.
책에서는 전반적으로 도요타의 경영방식을 처음부터 끝까지 칭찬하고 있다. 마치 도요타의 경영방식이 아무런 하자가 없는 것처럼 비춰질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여기에서 우리는 다섯 번을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정말 도요타 경영방식은 절대적인 것일까? 우상화해도 되는 것일까?
그들은 "사람"이 기업혁신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열쇠가 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들은 "사람"이라는 요소를 경영혁신으로 이어지게끔 잘 이용하는 것처럼 보여준다. 물론 도요타의 경영방식에서 "사람"은 그들의 목표와 과정을 효율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 수단이다. 말 그대로 부의 생산을 위한 『수단』이었던 것이다. 이 수단적 도구로서 사람은 마치 사람이 아니라 로봇이 움직이는 것 같은 느낌마저 들었다.
실제로 도요타의 경영방식 하에서는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이라는 본질 외의 모든 것은 낭비라며 이를 없애려고 무자비하게 느껴질 정도로 철저하게 근로자 한 사람 한 사람의 작업을 간섭하고 있다. 시간을 지키기 위해서 노동자는 쉴 새 없이 일해야만 하였으며, 도요타공장의 작업교범에는 노동자가 작업 중 발을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가까지 상세하기 규정되어 있을 정도로 전형적인 테일러주의적 시간·동작연구에 기초하여 노동과정이 통제되고 있었던 것이다.'해고하지 않겠다'는 약속 아래 회사 지침대로 우직하게 제 할 일을 하면서도 낭비를 찾아내 없애는 근로자의 자발적인 희생과 노력 위에서만 가능하였던 것이었다. 도요타자동차의 노조는 1953년에 55일간 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파업을 벌인 뒤 50년이 넘도록 무파업 상태다. 도요타 노조는 당시 '노동자의 생활 안정과 기업의 발전은 자동차의 양 바퀴'라고 선언했다. 노조는 3년 연속 사상 최대의 이익을 냈는데도 최근 '기본급 동결과 성과급 2만엔 축소'라는 임금협상안을 내놓았다. 중국 등 임금이 싼 곳을 찾아 공장이 옮겨지는데 따른 고용불안보다 안정을 선택한 것이다. 단순한 생산 방식이 아니라 이를 가능케 하는 노사에 도요타의 성공 비결이 있는 셈이다. 다음은 강명상(한국표준협회 TPM.생산혁신팀)이 도요타의 현장을 설명한 것이다.
"전체 직원 1천5백명중 60%는 계약직입니다. 점심은 근로자들이 직접 사먹되,회사측은 30%만 지원합니다. 입사할 때 작업복을 두벌 주는데 닳아서 새로 사려면 비용의 절반을 개인이 부담해야 한다"
도요타주의로 상징되는 일본적 생산방식에 대해서는, 일본인 특유의 집단주의적 의식을 교묘하게 활용하여 노동자간 경쟁과 상호감시를 통해 과도한 노동을 강요함으로써 노동자를 착취하는 체제라는 극단적인 비판도 제기할 수 있다. 흔히 미국과 비교하여 높은 수준의 국민소득에도 불구하고 협소하기 짝이 없는 일본인의 주거·생활공간은 도요타주의의 특서오가도 일맥상통한다는 의견도 제기되는 것이다.
이에 "사람"을 위한 경영혁신은 무엇이고, 지금의 도요타의 경영혁신은 이에 대해 어떤 시사점을 주는지 충분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키워드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4.06.19
  • 저작시기2004.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562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