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 활성화 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골프 관련세금의 대폭적 인하
2. 퍼블릭 코스의 대폭 확충
3. 퍼블릭 골프장의 지원 및 육성
4. 골프 대회의 활성화
5. 저렴한 골프 장비 보급
6. 전문지도자의 육성과 프로그램의 보급
7. 대중매체의 적절한 홍보
8. 국민의 인식 변화
9. 골프관련 통계의 대폭 정비가 시급
10. 골퍼들이 자제해야할 사항
11. 결론

본문내용

1. 골프 관련세금의 대폭적 인하

-우선 골프를 대중화시키기 위해서는 골프장에 대한 중과세율을 일반세율 수준으로 낮추면서 그린피를 인하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골프장이 체육시설임에도 불구하고 지난 1974년 대통령 긴급조치에 의해 사치성 재산으로 지방세가 중과된 이래 현재까지 취득세, 재산세, 종합토지세, 등이 일반세율의 5배에서 17배까지 중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각종 조세와 부과금 비용이 골프장 건설비의 25% 수준에 이르며,연간 골프장 매출액의 10%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같은 골프장에 대한 과중한 세금부담은 골프장의 수지 악화로 연결되고 있다. 따라서 골프대중화를 진전시키기 위해서는 골프장에 대한 중과세율을 예컨대 2~3년내에 일반세율 수준으로 낮춰야 할 것이다. 그렇게 될 경우, 골프장 운영기업은 "세금 부담의 축소 →골프장의 경영수지 개선 →그린피 인하"가 가능해지면서 골프대중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골프장의 경영수지가 크게 개선되면, 골프 장 진출업체의 확대로 골프장 수가 크게 늘어나면서 골프인구도 크게 늘리게 될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골프장 관련세금의 인하가 바로 곧바로 지방자치단체들의 세수 감소와 직결된다는데 있다.
1개 골프장이 납부하는 연간 지방세는 평균 10억원 선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입장에서 볼 때, 골프장은 중요한 수익원의 하나이기 때문에 지방자치단체들은 '골프장이 지방세를 늘리는 효자'라고 말하고 있다. 따라서 골프장에 대한 중과세율을 대폭 낮출 경우, 지자체의 세수는 단기적으로 줄어 들면서 지자체의 반발이 있겠지만 중장기적으로 그린피 인하로 내장객들이 늘어남에 따라 지역경제가 활성화되면서 지자체의 세수도 점차 회복될 것이다. 한편 외국인 투자가들은 부동산 시장의 개방에도 불구하고 한국내 골프장에 투자하는 것을 꺼리고 있는 주된 원인은 골프장에 대한 중과세 문제 때문이다. 미국의 세계적인 부동산 투자가인 도널드 트럼프 회장은 지난해 6월초 한국을 방문해서 "한국에는 세계적인 골프장이 많으나 과도한 세금이 투자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적한 적이 있다.

2. 퍼블릭 코스의 대폭 확충
-골프가 대중화되기 위해서는 일반국민들이 값싸고 손쉽게 즐길 수 있는 퍼블릭코스가 크게 확충 되어야 한다. 김대중 대통령의 골프대중화 언급 이후 문화관광부가 퍼블릭 코스의 건설과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골프장 이용객수는 소득수준의 향상, 골프장 수의 확대 등으로 크게 늘어나면서 '골프부킹 전쟁'이 일어나고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4.10.30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2717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