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학의 발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시각 교육(Visual Education)

2. 시청각 교육(Audio-visual Education)

3. 시청각 교육 통신 (Audiovisual Education & Communication)

4. 초기 수업공학

5. 교육 공학

요약 및 정리

본문내용

7)
(2) 수업개발(instructional development)
- 체제접근과 관련하여‘수업체제를 계획하고, 수행하며, 평가하고 활용하는 체제접근' 이라고 정의한다(미국교육공학회,AECT, 1979) .
- '교수·학습과 관련된 문제에 대하여 실용적인 해결책을모색하고, 수업계획에 대한 조직적, 체제적 접근을 의미한다’(Wittich와 Schuller, 1980)
(3) 초기수업공학의 한계
- 체제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기능은 물론 그 구성 요소들의 복합적이고 통합적인 조직의 본질을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으며
- 요소들간의 위계적인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적절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 이러한 한계점은 극복하기 위하여 수업공학의 이론적 체계는 교육공학 분야에서 중요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가지게 되어 새로운 모습을 갖추게 된다.
5. 교육 공학
(1) 교육공학의 정의
김종량(1995)은 교육공학은 교육적 요구에 터하여 교육과정상의 문제를 분석하고 교육목표의 수립, 교육내용 및 방법의 선정, 교육평가 및 관리체제의 개발 등에 요구되는 교육적 수단의 체계적 연구·개발 분야라고 할 수 있다고 하였다.
(2) 교육공학과 수업공학
수업공학은 교육의 몇 가지 제한적인 측면에만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교육 공학은 교육의 모든 과정과 관련되어 있다.
교육공학은 인간 학습에 포함된 모든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이에 대한 해결책을 고안, 실행, 평가, 관리하기 위하여 사람, 절차, 기술, 장치 및 조직을 포함한 복합적이고 통합적인 과정이라고 이해되어진다.
따라서 교육공학은 수업공학보다 좀더 상위의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3) 교육공학의 새로운 정의
미국교육공학회(AECT)의 정의를 정리해보면 결국 교육공학이란 인간의 학습을 촉진하기 위하여 학습 자원을 개발하고, 개발된 학습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하기 위하여 체제접근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미국교육공학회는 1963년 처음으로 교육공학의 정의를 공식적으로 내린 이후 몇 번에 걸쳐 수정을 해왔다. 1977년 교육공학을 공식적으로 정의하고 설명한 이래 사회의 발전 경향에 따라 교육공학 분야의 학문적 성격, 개념적 정의, 실제 현장과의 관련성, 활동 영역 등에 대한 장기간에 걸친 연구 활동의 결과로 교육공학분야는 Seels와 Richey의 노력에 의해서 1994년 새로운 정의를 가질 수 있었다.
수업 공학(교수공학, 교육공학)이란 학습을 위한 과정과 자원의 설계, 개발, 활용, 관리 및 평가에 관한 이론과 실제이다(Seels & Richey, 1994년).
요약 및 정리
첫째, 시각교육의 발달
- 언어 중심의 교육방법에서 구체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시각교육 중심으로 전환
- 교제의 구체성을 확대하기 위한 시각 보조물의 활용
- 시각자료를 통한 교수·학습의 효율성이나 시각자료의 제작, 활용, 평가보다는 시각자료 자체만을 강조
둘째, 시청각교육의 발달
- 영화, 라디오, 텔레비전, 슬라이드 녹음 등 시청각교재, 교구의 활용
- 시청각 매체를 수업 현장에 도입, 활용하여 풍부한 학습 경험을 제공
- 시청각 매체가 활용되는 교수학습과정을 간과했음.
셋째, 시청각커뮤니케이션의 발달
- 쌍방향적인 교수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능력을 최대한 개발시키는 방법
- 커뮤니케이션과 학습이론의 통합
- 학습자의 피드백 과정을 통해 상호적, 역동적인 교수방법
- 시청각통신 계획의 각 요소들과 교육통신 체계 요소들간의 상호작용 관계와 하나의 일관된 통합체제를 이루지 못했음
넷째, 초기의 수업공학
- 행동과학 이론과 체제접근 및 수업 개발 이론의 영향
- '행동목표', '준거지향 평가', '학습과제 분석' 등의 행동과학 이론을 적용
- 체제를 구성하는 각 요소들의 기능은 물론 그 구성 요소들의 복합적이고 통합적인 조직의 본질을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고 있음
- 요소들간의 위계적인 관계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적절히 제시하지 못하고 있음
다섯째, 교육공학으로의 발달
- 교육공학의 새로운 정의 정립:
"학습을 위한 과정과 자원의 설계, 개발, 활용, 관리 및 평가에 관한 이론과 실제"
- 오늘날은 교육공학이라는 용어보다 교수공학의 개념을 더 선호하게 되었다. 이것은 교육공학이라는 말이 실제 교육공학 관련 학자들의 주요 관심 영역에 비해서 보다 넓은 의미와 영역으로 인식되어 왔던 것도 하나의 원인이 된다.
- 교육공학 관련자들의 관심사 역시 점차 교수(혹은 수업)라는 측면에 더 가까워지고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5.03.27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2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